$\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적소분석 연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의 이용자 충족을 중심으로
Niche Analysis in Social Media with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ppply in Facebook, Instagram, YouTube, Pinterest, Twitter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22 no.2, 2021년, pp.89 - 107  

차현주 (Media Culture Content Research Institu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권상희 (Dep.of Media and C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요 소셜(social) 미디어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에 대한 적소분석을 통해 어떠한 경쟁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적소이론을 활용하여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24명의 이용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관계성, 사회성, 편의성, 일상성, 오락성 등 5가지 차원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적소이론을 이용한 미디어의 적소폭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이 사회성(.627) 및 편의성(.636)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유튜브는 일상성(.670)과 오락성(.615)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스타그램은 관계성(.520)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적소중복의 경우, 페이스북과 유튜브 간의 경쟁이 관계성(1.826)과 사회성(2.696)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핀터레스트와 트위터 간의 경쟁은 일상성(1.937)과 오락성(2.263)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쟁을 보였으며, 유튜브와 트위터 간의 경쟁은 편의성(2.583)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적소이론을 이용한 미디어 간의 경쟁우월성을 비교한 결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는 핀터레스트와 비교하여, 관계성, 사회성, 편의성, 일상성, 오락성에서 경쟁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는 트위터에 비해 일상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경쟁적 우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s the empirically analyzes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five social media by analyzing the proper SNS service such as Facebook, Instagram, YouTube, Pinterest, and Twitter.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use and satisfaction of social media for SNS users by using the proper theory....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연결망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채택요인들에 주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심리적 요인인 이용과 충족 측면에서 각 소셜 미디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유사한 서비스 간 경쟁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해당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왜 이용했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설명하며 그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의 이용충족 측면에서 요인별로 적소폭, 적소중복, 경쟁우위를 산출한 결과는 향후 각 소셜 미디어 서비스들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소 이론을 이론적 틀로 적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뉴미디어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를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각 서비스별 적소를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적소 이론을 통해 이용자의 이용충족에 따른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 간 경쟁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소 이론을 이론적 틀로 적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뉴미디어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를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각 서비스별 적소를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적소 이론을 통해 이용자의 이용충족에 따른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 간 경쟁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연결망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채택요인들에 주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심리적 요인인 이용과 충족 측면에서 각 소셜 미디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유사한 서비스 간 경쟁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ATISTA, "Number of Social Network Users Worldwide from 2010 to 2021", 07, 2017 

  2. STATISTA, "Leading Social Networks Worldwide as of September 2017", 2017. 

  3. Seol, J. A., "Social media evolution and social impact," Proceedings of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 Information Studies Conference, 12, 35-57, 2009. 

  4. Koh, M. J., & Youn, S. M., "Investigation on the Business Model of Multi-Channel Network of Online Platform,"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3(1), 59-94, 2016.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757026# 

  5. Korea Communications Agency,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policy research function for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in KCC, 2014. 

  6. Kim, H. P., Trend keyword. People and Thought, 2015. 

  7. Hwang, H.J., "Will Twitter Be a Channel for Business and Customer Communication,"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9. 

  8. Dimmick, J., Patterson, S., & Albarran, A., "Competition between the Cable and Broadcast Industries: A Niche Analysis," Journal of Media Economics, 5(1), 13-30, 1992. https://doi.org/10.1080/08997769209358215 

  9. Dimmick, J., & Rothenbuhler, E., "The Theory of the Niche: Quant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Industries," Journal of Communication, 1984.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4.tb02988.x 

  10. Dimmick, W. J.,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 NJ: Lawrence Erlbaumn Associates, 2003. 

  11. Katz, E., Blumler, J. G., & Gurevitch, M.,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37(4), 509-523, 1974. https://www.jstor.org/stable/2747854 

  12. Xue Wang "Competition of Portal Site: Focused on Niche Theory about Users" Satisfaction of Services," Seo Seok Social Scineces Research, 6(2), 75-115, 2013. https://oak.chosun.ac.kr/bitstream/2020.oak/10071/2/%ED%8F%AC%ED%84%B8%EC%82%AC%EC%9D%B4%ED%8A%B8%20%EA%B0%84%20%EA%B2%BD%EC%9F%81%20%3A%20%EC%9D%B4%EC%9A%A9%EC%9E%90%EC%9D%98%20%EC%84%9C%EB%B9%84%EC%8A%A4%20%EC%B6%A9%EC%A1%B1%EC%97%90%20%EB%8C%80%ED%95%9C%20%EC%A0%81%EC%86%8C%EC%9D%B4%EB%A1%A0%EC%9D%84%20%EC%A4%91%EC%8B%AC%EC%9C%BC%EB%A1%9C.pdf 

  13. Hellman, H., & Soramaki, M., "Competition and Content in the U.S. Video Market,"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7(1), 29-49, 1994. http://dx.doi.org/10.1207/s15327736me0701_3 

  14. Kweon, S. H, & Kim, W. G., "The Competition of New Interpersonal Mediaon the Theory of the NicheFocused on the Gratification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of Mobile Phone and Internet Media,"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 21(1), 47-97, 200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109964&languageko_KR 

  15. Noh, K. Y., & Lee, M. Y., "Media Competition between Blog and Internet Media : A Niche Analysi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3), 318-345, 2005. 

  16. Li, S. C., "New media and market competition: A niche analysis of television news, electronic news, and newspaper news in Taiw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5(2), 259-276, 2001. http://dx.doi.org/10.1207/s15506878jobem4502_4 

  17. Jung, J. M., & Park, J. K., " Business News Competition for User Gratification - A Niche Analysis of Network TV, Newspaper, Internet, and SN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 26(2), 205-246, 2012. 

  18. Kweon, S. H, Kang, Y. H., & Oh, K. S.., "A Study on the Competition and Effectiveness of Broadcast Program Genres: Focusing on Program Competition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New Media Broadcasting," Social Science, 42(1), 33-69, 2009. 

  19. Kim, S. P., "A study on gratification and niche factors of comics considering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web based cartoon medium and the print medium," Hongik Un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