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리터러시 평가항목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Media Literacy Evaluation Items in Early Childhood Anim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365 - 373  

장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여 요구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초점집단면접(FGI)을 거쳐 평가항목의 문항을 도출한 후 내적합치도와 기술통계 현황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정규성을 확보한 측정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유아동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도구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상황에 맞게 습득하는 능력,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정보를 비교·구분하는 비판적 수용 능력, 애니메이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태도, 애니메이션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지적 능력 향상, 애니메이션의 내용과 주제에 대한 공감능력, 애니메이션을 통해 타자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태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에 대한 수용자의 요구를 인식하고 이를 위한 체계적인 지표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aims to derive data-based requirement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animation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questions of assessment items through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a...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7)

  1. H. J. Yang & N. H. Kim (2010). A Study on the Movements of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nalysis of Preferred Experience of Childrens Museum according to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1), 37-45. 

  2. K. S. Park. (2004). Animation narrative structure and animation strategy. Seoul : Non Hyung. 

  3.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4. S. G. Hong (2019). Defining core competencies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ased on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priorities of the profession.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3(2), 7-18. 

  5. J. Y. Chung, K. S. Kim, T. H. Kang, S. C. Ryoo, H. J. Yun & M. S. Sun. (2014). A Needs Assessment Analysis of New Teacher's Job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4), 373-396. 

  6. H. M. McLuhan. (2011). Understanding Media. Seoul : Communication Books. 

  7. S. R. Kim & C. J. Hun. (2016). By Basic Plane Figure, An Analysis Study on Appearance Type of Character in Domestic Kids TV Anim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397-405. 

  8. J. E. Lee & E. J. Cho.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Text-Based Media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38(1), 77-93. 

  9. Y. E. Kim. (2005). Study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28). 77-100. 

  10. M. H. Kim & M. L. Ahn (2003).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hecklist,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9(1), 159-192. 

  11. M. S. Yang & H. K. Kim (2016). Development a Scale for e-Learning Digital Litera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2(3), 485-507. 

  12. H. J. Ok & B. Y, Kim etc (2016). A Study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Assessmen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52(0), 251-283. 

  13. S. H. Park (2012)., A Case Study on Cine-literac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2012.03, 269-288. 

  14. S. J. Lee (2009). A Study of Developing Film Education Programs, Major in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A. L. Oh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film on education through Cine-Literacy, Chongju University. 

  16. A. C. Lee (2019). Film Education in Schools and Film Literacy, Cine forum, 32, 151-181. 

  17. E. Y. Jang. (2018). A study on the Education Use of Animation in Literacy Based on the Media Literacy Approach. Cartoon & Animation Studies, 51. 35-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