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 분석: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스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Adults' News Literacy Level: Focusing on News Use Behavior Based on Digital Med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23 - 30  

양길석 (가톨릭대학교 교직과) ,  서수현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  옥현진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뉴스의 수용, 생산, 공유 능력(뉴스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진단과 뉴스 리터러시 향상 방안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0 언론수용자 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경변인(도시화 정도,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고 뉴스 리터러시 관련 활동의 양과 뉴스 리터러시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으며 집단 간 차이도 두드러졌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 관련 활동의 양과 뉴스 리터러시 수준 간의 상당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 전반의 뉴스 리터러시 향상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성인 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뉴스 리터러시 교육 지원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hift to the digital media era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to accept, produce and share news through digital media(news literacy), but there is a lack of diagnosis of the level of news literacy among Korean adults and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news literacy. This study analyz...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8)

  1. Y. Kim & D. Choi. (2020). Digital literacy competency modeling for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3), 885-908.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3.885 

  2. H. Kim & J. Shim. (2020). Digital literacy of elderly people and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30(2), 153-180. 

  3. OECD (2013). OECD skills outlook: First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Paris: OECD Publishing. DOI: 10.1787/9789264204256-en 

  4. H. Ok. (2014). Explo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Literacy.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49, 73-103. DOI: 10.26589/jockle..49.201403.73 

  5. J. Park, H. Ok & J. Kim. (2017). A survey of expert opinion on adult literacy curriculum development. Writing Research, 35, 7-38. DOI: 10.31565/korrow.2017..35.001 

  6. J. Yang, S. Choi, & K. Kim. (2015). News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Seoul: Communication Books. 

  7. S. Won & Y. Yoon. (2016). A study on news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digital age. KSW, 11(4), 101-111. DOI: 10.21097/ksw.2016.11.11.4.101 

  8. H. Jeong et al. (2016). Media literacy as 21st century key compet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11-238. DOI: 10.22251/jlcci.2016.16.11.211 

  9. Korea Press Foundation (2020). Media users in Korea 2020.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10. H. Chung. (2008). Changes of literacy and model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 semiotics perspectiv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4), 149-172. DOI: 10.15708/kscs.26.4.200812.007 

  11. K. Yang, S. Seo & H. Ok. (2020).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ctivit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5), 639-664. DOI: 10.24159/joec.2020.26.5.639 

  12. J. Lie & D. Park. (2016). Re-conceptualization of news literacy in the social network journalism era.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32(2), 171-206. DOI: 10.16935/ejss.2016.32.2.006 

  13. S. Yang et al. (2014). Digital society and commun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14. Statistics Korea (2020). Registration status of periodicals. https://www.index.go.kr 

  15. J. Lee. (2021). Explorato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provision of universal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ra of fake new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5(1), 85-106. DOI: 10.4275/KSLIS.2021.55.1.085 

  16. S. Lim. (2020). The necessity and plan for emphasizing information ethical accountability in fact-checking of 'Fake News.' Journal of Ethics, 131, 127-154. DOI: 10.15801/je.1.131.202012.127 

  17. K. Kim et al.(2018). Digital media literacy. Paju: Hanulmplus. 

  18. Joint of related ministries of Korea (2020). Press release: 'Digital world without exclusion' blueprint confirmed. South Korea Policy Briefing. https://www.korea.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