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National Certification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8 no.1, 2021년, pp.103 - 122  

박하현 (반여종합사회복지관) ,  박혜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14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10문항,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 필요성 인식 11문항, 기대효과 8문항, 자격관리 7문항, 기타 의견 서술 1문항,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에 대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채용기관 관계자들의 음악치료 인식도가 낮다고 느낄 때 국가자격증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민간자격증의 남발이 음악치료 전문성 및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 환경이나 처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국가자격증을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의 참여자가 국가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단일화된 국가자격증으로의 전환이 야기할 수 있는 제한점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가자격증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 awareness of the music therapy national certification (MTNC).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usic therapis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and 143 completed surve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qu...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7)

  1. Baek, O. S.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qualifications.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8(1), 205-226. 

  2. Brusica, K. E. (2003). Music therapy (B. C. Choi,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9). 

  3. Choi, J. A. (2016). Music therapists'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2), 31-48. 

  4. Kim, N. Y. (2016). A study on the legislation of art therapy -Approval of visual art therapy as a complementary and substitutional medical therapy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5. Kim, S. H. (2008). A questionnaire-based survey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introducing music therapist qualifying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6. Kim, S. J. (2015).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rtification system and professionalism: Settlement of rehabilitation therapy system in the developed countries. Panel discussion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Association, Retrieved from https://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00734 

  7. Kim, W. S., & Kim, S. H. (202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speech-language therapist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9(1), 85-91. 

  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6). Job Analysis of Music Therapists (Report No. 2006-11). Retrieved from https://www.krivet.re.kr/ku/da/kuBBAVw.jsp?gnE1-E120140903 

  9.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2020). Summary of Budget for FY2020 (Report No. 11-1051000-000020-10). Retrieved from https://www.moef.go.kr/com/bbs/detailComtPolbbsView.do?menuNo5020200&searchNttId1MOSF_000000000040526&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39 

  10.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Music Therapists (2020). To be an expert in Korean certified music therapist. Retrieved from http://nakmt.or.kr/page/s0202.php 

  11. Seo, I. H. (2012). Issues following promotion to national qualification for language rehabilitation. Retrieved from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120611024654851250#z 

  12. Seo, J. H., Kim, H. S., Kim, D. K. & Kim, S. J. (2000). Private Qualification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s://www.krivet.re.kr:8443/repository/handle/201303/959 

  13.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mended by Act No. 15904, Dec. 11, 2018) article 72-2. 

  14. Enforcement decree of the medical technologists, etc. Act (Newly Inserted by Act No. 14219, May 29, 2016) article 2-2-4. 

  15.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Amended by Act No. 11722, Apr. 5, 2013) article 2-1, 2-5. 

  16.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 (Amended by Act No. 11722, Apr. 5, 2013) article 17-1. 

  17. Medical service ACT (Amended by Act No. 8852, Feb. 29, 2008) article 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