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료 곡물로 제조한 막걸리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aw Material Cereal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6, 2021년, pp.197 - 203  

성지연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미생물자원연구소) ,  이익희 (극동대학교 미디어영상제작학과) ,  김명진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현정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신지혜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선화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부가가치 막걸리 개발을 위해 4가지 원료 곡물(밀가루, 팽화미분, 멥쌀, 및 찹쌀)로 한국 전통막걸리를 제조하였다. 기능성소재로의 개발 가능성 조사를 위해 제조한 막걸리를 대상으로 이화학적 성상,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 함량, 그리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팽화미분 막걸리와 멥쌀 막걸리가 4종류의 막걸리 중 알코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16.5%). 4종류의 막걸리 중 팽화미분 막걸리의 총 페놀 함량이 5.2±0.06 mg GAE/mL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종류의 막걸리가 470-490 ㎍ QE/mL 수준으로 유사하게 높았다.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팽화미분 막걸리가 81.5%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팽화미분이 항산화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막걸리 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makgeolli,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were made of four kinds of raw material cereals (wheat flour, puffed rice, non-glutinous rice, and glutinous rice).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makgeolli as functional materials, their physicoc...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3)

  1. KFDA. (20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 Cheongwon Publishing. 

  2. G. Shimoga & S. Y. KIM. (2021). Makgeolli-The Traditional Choice of Korean Fermented Beverage from Cereal: An Overview on its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https://doi.org/10.1590/fst.43920. 

  3. S. H. Song et al. (2013).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Jornal of Microbiology Biotechnology. 23(1), 40-46. doi: 10.4014/jmb.1210.10001. 

  4.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Suwon :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Publishing. 

  5. S. J. Wang, H. J. Lee, J. Y. Cho, K. H. Park, & J. H. Moon.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rom Makgeolli.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ly. 44(1), 14-20. https://doi.org/10.9721/KJFST.2012.44.1.014. 

  6. S. J. Lee & W. C. Shin. (2011).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Makgeolli (Korean Paradox). Food Science Industry. 44(4), 2-11. 

  7. I. D. Suwarjo, A. F. Azzahra, & H. Suryadi. (2018). Isolation of Kojic Acid Producing Mold using Complex Carbon Sources. Pharmacognosy Journal. 10(6), 1089-1092. 

  8. J. S. Park & D. H. Kim. (2011). Composition Containing Concentrated Makgeolli for Antioxidation and Whitening Effect. Korean Patent. 10-2011-0015866. 

  9. M. S. Kim. (2011). Preparation Method of Cosmetic Soap using Rice Wine. Korean Patent. 10-2011-0105132. 

  10. J. Y. Gu, E. S. Kim & J. S. Lee. (2006). Natural Cosmetics using Brewer's Grains and a Method of preparing It. Korean Patent. 10-2006-0062665. 

  11. NTSTSI. (2005).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Seoul :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Publishing. 

  12. J. Kim, K. Sung, H. Bae & Y. Yi.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3), 266-271. 

  13. NTSTSI. (2014).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Seoul : National Tax Service Technological Service Institute Publishing. 

  14. G. L. Miller.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ytical Chemistry. 31, 426-428. https://doi.org/10.1021/ac60147a03. 

  15. O. Folin & W. Denis. (1912). On Phosphotungstic -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2), 239-243. https://doi.org/10.1016/S0021-9258(18)88697-5. 

  16. W. B. Davis.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ytical Chemistry. 19, 476-478. https://doi.org/10.1021/ac60007a016. 

  17. K. M. Cho & O. S. Joo.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Elaeagnus Multiflora Wine through the Thermal processing of Juic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1(2), 206-214. https://doi.org/10.11002/kjfp.2014.21.2.206. 

  18. C. W. Park, S. Y. Jang, E. J. Park, S. H. Yeo, O. M. Kim & Y. J. Jeong.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8, 884-890. https://doi.org/10.11002/kjfp.2011.18.6.884. 

  19. Y. H. Kwon, A. R. Lee, H. R. Kim, J. H. Kim, & B. H. Ahn. (2013).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1), 70-76. https://doi.org/10.9721/KJFST.2013.45.1.70. 

  20. R. Tsao. (2010).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12), 1231-1246. https://doi.org/10.3390/nu2121231. 

  21. Y. R. Song, B. U. Lim, G. S. Song & S. H. Bai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Omija Berries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7(3), 328-335. https://doi.org/10.9721/KJFST.2015.47.3.328. 

  22. Y. H. Kim. (2011). Clinical Application of Antioxidants. Surgical Metabolism and Nutrition. 2(1), 11-15. 

  23. H. K. Cho, J. Y. Lee, W. T. Seo, M. K. Kim & K. M. Cho.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4(6), 728-735. https://doi.org/10.9721/KJFST.2012.44.6.7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