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HACCP 핵심 성과지표 분석
Analysi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for smart HACCP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4 no.2, 2021년, pp.73 - 81  

서연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  박정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  고지훈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책국) ,  이제명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책국) ,  황수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책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 HACCP을 통한 기록관리 자동화는 센서를 이용하여 중요관리점(CCP)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한계기준 이탈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알람기능 구현을 통해 개선조치에 이르기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식품업체의 HACCP 업무운영 효율성·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수작업에 대한 병원성미생물의 교차오염도를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여 식품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사자의 비의도적 실수와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해 소비자에게 식품안전에 대한 보다 신뢰성 높은 믿음을 줄 수 있다. 이렇듯 스마트 HACCP은 정부·기업·소비자 모두에게 공공의 이익을 가져다줄 새로운 미래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Agency of HACCP Accreditation and Services(KAHAS) has been focused on strengthen food safety manage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food industry. As a solution, the institution has launched the smart HACCP project, which is highly praised to be an innovation i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K...

주제어

참고문헌 (19)

  1. Kim EY, Park MS. A Study on the Limits of Manufacturing Innov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SM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the Limitations and Examples of Pohang SME's Smart Factory Introduction. J. Sci. Technol. stud. 18: 269-306 (2018) 

  2. Kim SJ. Food safety manage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HACCP!. Safe Food Vol12(2):3-8 (2017) 

  3. Lee HJ, Kim YJ, Yim JG, Kim YW, Lee SH. Analysis of Field Conditions and Requirements for Deploying Smart Factory. J. Korean Soc. Precis. Eng. 34: 29-34 (2017) 

  4. Lee JH, Shin JH. A Study on Cloud-based Asset Administration Shell Integration for Smart Factory. Proc. ITFE Summer Conf. 142-143 (2020) 

  5. Shin YJ.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art Food Packaging. The Mon. packag. world. 299: 48-55 (2018) 

  6.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17개 시.도. 제3차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종합계획 (2016) 

  7. 국립축산과학원. 축산 스마트팜 해외사례와 데이터 분석 (2019) 

  8.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도 이젠 스마트팩토리 시대! 식품산업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세미나 개최 (2018) 

  9. 식품의약품안전처. 2020년 식중독 발생 최저치 기록, 이유는? (2021)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503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10.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고시. (2020)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5030&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11. 중소기업벤처부.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2018) 

  12. 중소기업벤처부. 업종별 특화(식품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공고(2021) 

  1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2019 업종별 특화(식품업종) 스마트 HACCP 성과지표 분석 (2020a) 

  14.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2020 업종별 특화(식품업종)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수행계획서 (2020b) 

  15.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스마트 HACCP 도입 효과성 모델 개발 사업 (2020c) 

  16.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스마트 HACCP 표준모듈 개발을 위한 시장조사 결과보고서 (2020d) 

  17.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제외국 HACCP 제도조사 보고서(2020e) 

  18.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AHAS). 스마트 HACCP 등록준비 가이드(2020f) 

  19.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HACCP 관련 통계. Available from: https://www.haccp.or.kr/site/haccp/sub.do?key2626. Accessed April. 20, 20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