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종대산 5종 돌미역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s Sourced from Different Areas in Taejongda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6, 2021년, pp.559 - 567  

김호준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  야야파라 HPS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융합부) ,  조원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융합부) ,  남형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융합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종대 구역별 바람맥이, 굴통머리, 참물개, 조홍택, 고래등 구역에서 채취한 자연산 돌미역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의A+M 및 MeOH 추출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44±0.04 mg/g 및 0.66±0.13 mg/g으로 5종 돌미역들 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굴통머리 돌미역은 30.1%의 n-6 지방산 및 10.0%의 총 n-3 지방산을 함유하였고 5종 돌미역 중 가장 높은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을 함유하였다. 5종 돌미역 추출물들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모든 돌미역 A+M 추출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MeOH 추출물보다 높았고 그 중 굴통머리A+M 추출물에 의한 소거능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5종 돌미역A+M 및 MeOH 추출물을 0.05 및 0.025 mg/ml의 농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은 측정시간 120분이 지남에 따라 높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바람맥이 및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A+M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굴통머리 구역의 돌미역이 높은 함량의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높은 함량은 세포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 및 DPPH 소거능과 상관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또한 굴통머리 구역 돌미역은 높은 함량의 EPA와 DHA를 함유하고 있어 향후 해조류유래 n-3 지방산 활용 기능성 식품 혹은 지역 대표 수산식품으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s sourced from five different areas (Barammaegi, Gultongmeori, Chanmulgae, Johongtaek, and Goraedeung) in Taejongdae, Youngdo, Busan.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and phen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종대 구역별 바람맥이, 굴통머리, 참물개, 조홍택, 고래등 구역에서 채취한 자연산 돌미역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5종의 돌미역의 항산화 활성에 대해 규명하고 향후 이를 이용한 지역 특산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k, J. Y. and Lim, S. Y. 2016.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J. Life Sci. 26, 948-954. 

  2. Chae, S. K., Kang, G. S., Ma, S. J., Bang, K. W., Oh, M. W. and Oh, S. 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Sa, Seoul, pp. 381-382. 

  3. Cho, M. L., Yoon, S. J. and Kim, Y. B. 2013.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Undariopsis peterseiana. Ocean Polar Res. 35, 273-280. 

  4. Choe, S. N. and Choi, K. J. 2000. Fatty acid composition of natural lipids and polar lipids in the parts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Kor. J. Food Nutr. 13, 553-557. 

  5. Choi, I. Y., Song, Y. J. and Lee, W. 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28, 871-876. 

  6. Choi, J. S., Bae, H. J., Kim, Y. C., Park, N. H., Kim, T. B., Choi, Y. J., Choi, E. Y., Park, S. M. and Choi, I. S. 2008. Nutrition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uatifida) in market. J. Life Sci. 18, 387-394. 

  7. Folch, J., Lee, M. and Stanley, G. S. 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8. Hong, J. S., Kwon, Y. J., Kim, Y. H., Kim., M. K., Park, I. W. and Kang, K. H. 1991. Fatty acid composition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and Pare (Enteromorpha compressa). J. Kor. Soc. Food Nutr. 20, 376-380. 

  9. Im, Y. G., Choi, J. S. and Kim, D. S. 2006. Mineral contents of edible seaweed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Kor. Fish Soc. 39, 16-22. 

  10. Jang, J. R., Kim, K. K. and Lim, S. Y. 2008.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onion with drying methods. J. Life Sci. 18, 1271-1277. 

  11. Kwak, C. S., Kim, S. A. and Lee, M. S.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12. Kim, B. M., Jun, J. Y., Park, Y. B. and Jeong, I. 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5, 1097-1101. 

  13. Kim, D. S., Lee, D. S., Cho, D. M., Kim, H. R. and Pyeun, J. 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 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J. Kor. Fish Soc. 28, 270-278. 

  14. Kim, J. H., Kang, H. M., Lee, S. H., Lee, J. Y. and Park, L. Y. 2015.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Kor. J. Food Preserv. 22, 290-296. 

  15. Kim, J. W., Kwon, Y. R. and Youn, K. 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4, 716-721. 

  16. LeBel, C. P., Ischiropoulos, H. and Bondy, S. C.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 7'-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 227-231. 

  17. Lee, I. K., Shim, S. C., Cho, H. O. and Rhee, C. O. 1971. On the components of edible marine algae in Korea-I. The components of several edible brown algae. J. Kor. Agric. Chem. Soc. 14, 213-220. 

  18. Lee, S. Y., Ahn, J. W., Hwang, H. J. and Lee, S. B. 2011. Seaweed biomass resources in Korea. KSBB J. 26, 267-276. 

  19. Lee, Y. J. 2004. A study on mineral and alginic acid contents by different parts of sea mustards (Undaria pinuatifida). Kor. J. Food Culture 19, 691-700. 

  20. Morrison, W. R. and Smith, L. 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 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21. Na, H. S., Kim, J. Y., Park, J. S., Choi, G. C., Yang, S. I., Lee, J. H., Cho, J. Y. and Ma, S. J. 2014.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e extracts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 method. Kor. J. Food Preserv. 21, 62-68. 

  22. Park, S. J., Min, K. J. and Park, T. G.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Agarum cribrosum. Kor. J. Food Nutr. 25, 842-849.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4. Rice-Evans, C. A., Miller, N. J.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5. Salem, N., Reyer, M. and Karanian, J. 1996. Losses of arachidonic acid in rat liver after alcohol inhalation. Lipids 31, 153-156 

  26. Seo, Y. H., Kim, I. J., Yie, A. S. and Min, H. 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zy corn (zeamays L.). Kor.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27. Sohn, J. W. 2009. A study on Korean seaweed foods by literature review. Kor. J. Food Nutr. 22, 75-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