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김치 인식이 호의적 태도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Elementary Schoolchild's Cognition about Kimchi on Favorable Attitude and Intak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660 - 670  

최은옥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이창현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이 태도와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김치에 대한 인식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우수성', '정체성', '세계화' 인식으로 구성하였고, 각 인식별로 김치에 대한 선호와 비선호를 나타내는 '태도'와의 영향 관계와 '태도'가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김치의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은 '호의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수성' 인식은 '호의적 태도'에 유의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호의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김치에 대한 '호의적 태도'는 '김치 섭취 빈도'와 '김치 섭취량'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김치 섭취 증진을 위해서는 김치의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을 자극하는 교육 콘텐츠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 그 기본이 되는 내용은 김치의 우수성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elementary schoolchild' cognition, attitude, and the frequency and amount of kimchi consumed.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we define cognition as being composed of benefit, identity, and globalization. We examined how each cognition affected 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치에 대한 인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김치에 대한 태도가 섭취빈도와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전국 32개 초등학교 42개 학급의 2학년부터 6학년 9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유효한 872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김치 문화를 지속적으로 지키기 위해 계승의 주체이면서 미래 김치 소비의 주역이 될 아동들의 김치 섭취를 장려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동들의 김치 섭취를 제고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김치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아동들의 김치 섭취 제고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본 연구는 세계김치연구소 기관고유사업(KE2103-1-1)의 연구비를 지원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 가설 2
  • 가설 3
  • 가설 1. 초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인식은 호의적 태도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2. 초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호의적 태는 섭취빈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3. 초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호의적 태도는 섭취량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박건영, "김치의 영양학적 평가와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69-182, 1995. 

  2. 최홍식, "김치의 생리적 성분과 건강 기능성,"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제4권, 제1호, pp.2-10, 2005. 

  3. https://unipass.customs.go.kr/ets/. 

  4. https://www.hsph.harvard.edu/news/hsph-in-the-news/healthy-food-immune-system/. 

  5. 세계김치연구소, 김치학총서 1 -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문학적 이해, 2013. 

  6. 농림축산식품부,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원트, 국민 식생활 실태조사, 2017-2019. 

  7. https://www.khidi.or.kr/nutristat 

  8. 배정해, 이경애, "퓨전요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76-389, 2012. 

  9. 정경아, "학령기 아동의 식생활 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181-198, 2009. 

  10. 강명희, 이정숙, 김혜영, 권세혁, 최영선, 정해랑, 곽동경, 조양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지, 제45권, 제4호, pp.372-389, 2012. 

  11. 김혜영, 권세혁, 이정숙, 최영선, 정해랑, 곽동경, 박주연,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제45권, 제4호, pp.390-399, 2012. 

  12. https://finance.sina.com.cn/tech/2020-11-28/doc-iiznezxs4100936.shtml. 

  1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4220:2020, Pao cai (salted fermented vegetables) - Specification and test methods, 2020. 

  14.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15. 이지호, 이종주, "외식산업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 연구," 관광학연구, 제3권, 제1호, pp.193-209, 2006. 

  16. J. Brug, E. De. Vet, J. De. Nooijer, and B. Verplanken, "Predicting Fruit Consumption: Cognitions, Intention,and Habits," J.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Vol.38, No.2, pp.73-81, 2006. 

  17. 권수아, 정난희, "광주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33-147, 2017. 

  18. GW Allport, Attitudes.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Edited by C. Murchison, Worcester, MA: Clark Univ. Press, pp.798-844, 1935. 

  19. TM Newcomb, "The prediction of interpersonal attra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11, No.11, pp.575-586, 1956. 

  20.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Reading, Mass : Addison-Wesley Pub. Co, 1975. 

  21.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22.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23.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the Millenium Edition, Tenth Edition, Prentice-Hall, New Jersey, USA, 2000. 

  24. 박종오, "유통업체 브랜드 가치가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8호, pp.159-173, 2013. 

  25. 최은옥, 권용민, "과학 실험 활동을 적용한 김치 체험콘텐츠가 아동의 섭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68-376, 2016. 

  26. 권수아, 광주 지역 중학생의 김치 인식과 섭취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7. 한재숙, 김혜영, 김정숙, 서봉순, 한준표, "초등학생의 김치에 대한 의식과 선호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pp.259-265, 1997. 

  28. 문기숙, 군산시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의 김치에 대한 섭취실태와 인지도,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9. 지현정, 남은숙, 박신인, "초등학생의 김치 섭취에 대한 의식 및 기호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72-582, 2008. 

  30. 김은주, 초등학생들의 김치 기호도 향상을 이한 조리방법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1. 정성진, 창녕지역 초등학생의 김치 관련 기호도 및 섭취빈도조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2. 김나연, 최미자, "대구지역 남자 중학생의 김치 기호도 및 인지도," 과학논집, 제37권, pp.23-36, 2011. 

  33. 김문희, 전남 진도지역 초등학생의 학교급식용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섭취실태조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4. 조아라, 강옥주, 정효숙, "창원지역 초등학교 학생과 어머니의 김치에 대한 의식 및 섭취실태 조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제17권, 제3호, pp.276-286, 2011. 

  35. 박영미, 창원지역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의 김치 기호도 및 섭취실태 조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6. 박남희, 부산지역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7. 안광호, 이지은, 전주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형성의 이중경로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5호, pp.67-89, 2009. 

  38. 이용철, 안상훈, "친환경 레스토랑의 소비가치가 고객 만족,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9호, pp.169-183, 2017. 

  39. 손인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추구혜택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0. B. Y. Park, H. l. Hwang, J. Y. Chang, S. W. Hong, S. H. Lee, M. Y. Jung, S. O. Sohn, H. W. Park, and J. H. Lee, "Identifcation of 2-hydroxyisocaproic acid production in lactic acid bacteria and evaluation of microbial dynamics during kimchi ripening," Scientific Reports, Vol.7, Article No.10904, 2017. 

  41. H. J. Choi, N. K. Lee, and H. D. Paik, "Health Benefi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ith Respect to Immunomodulatory Effect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4, No.3, pp.783-789, 2015. 

  42. S. H. Kwak, Y. M. Cho, G. M. Noh, and A. S. Om, "Cancer Preventive Potential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Weissella cibaria, Lactobacillus plantarum),"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9, No.4, pp.253-258, 2014. 

  43. H. Y. Kim, J. L. Song, H. K. Chang, S. A. Kang, and K. Y. Park, "Kimchi Protects Against Azoxymethane/Dextran Sulfate Sodium Induced Colorectal Carcinogenesis in Mice," Journal of Medical Food, Vol.17. No.8, pp.833-841, 2014. 

  44. H. Y. Lee and G. H. Kim, "Changes in the Levels of γ-Aminobutyric Acid and Free Amino Acid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29, No.6, pp.671-677, 2013. 

  45. Anna Haukioja, "Probiotics and Oral Health," European Journal of Dentistry, Vol.4, No.3, pp.348-355, 2010. 

  46. 류복미, 류승희, 양영철, 이유순, 전영수, 문갑순, "김치종류별 식이가 hairless mouse 피부의 행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3권 제9호, pp.1469-1475, 2004. 

  47. M. S. Kwon, S. K. Lim, J. Y. Jang, J. E, Lee, H. K. Park, N. H. Kim, M. S. Yun, M. Y. Shin, H. E. Jo, Y. J. Oh, S. W. Roh, and H. J. Choi, "Lactobacillus sakei WiKim30 amelior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by inducing regulatory T cells and altering gut microbiota structure in mice," Frontiers in Immunology, Vol.9, No.1905, 2018. 

  48. H. M. Cha, S. K. Kim, M. C. Kook, and T. H. Yi, "Lactobhacillus paraplantarum THG-G10 as a potential anti-acne agent with anto-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aerobe, Vol.64, No.102243, 2020. 

  49. J. E. Lee, J. Y. Jang, M. S. Kwon, S. K. Lim, N. H. Kim, J. H. Lee, H. K. Park, M. S. Yun, M. Y. Shin, H. E. Jo, Y. J. Oh, B. H. Ryu, M. Y. Ko, W. H. Joo, and H. J. Choi, "Mixture of two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modulates the gut microbiota structure and regulatory T cell response in diet-induced obese mice,"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Vol.62, No.1800329, 2018. 

  50. 이효원, 나예슬, 조미숙, "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11-120, 2016. 

  51. 최주연, 류상희,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319-334, 2010. 

  52. 정나영, 김경원, "서울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양지식, 식태도와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5-66, 2009. 

  53. 구복자, 이경애,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을 위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01-213, 2000. 

  54. 송영옥, 김은희, 김명, "어린이의 김치의식에 관한 실태조사(II) - 김치섭취에 대한 의식 및 섭취실태," 한국영양식량학회지, 제24권, 제5호, pp.765-770, 1995. 

  55. 김현아, "정상체중군과 비만군 아동의 가족요인과 식습관, 사회인지적 요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제10권, 제3호, pp.300-310, 2004. 

  56. 진아라, 신준호, 허영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식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33-148, 2012. 

  57. 민은희, 류상희,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녹색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45-60, 2012. 

  58. 정해원, 류상희,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한 식생활교육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73-90, 2013. 

  59. 장숙현, 김지현,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91-11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