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간호과학 수업에서 액션러닝 적용 사례연구 : 성찰일지 내용분석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in Basic Nursing Science: by Contents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8, 2021년, pp.397 - 404  

주은경 (케이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초간호과학 수업에 적합한 액션러닝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에서 기초간호과학 수업에 참여한 학생 100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19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기초간호과학 수업은 팀 당 5-6명, 총 18개 팀이 액션러닝을 진행하였고. 수업 후 성찰일지를 수집한 후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액션러닝 기반 기초간호 과학 수업에 대한 경험은 45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8개의 주제,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고, 4개의 범주는 「해부학에 대한 자신감」, 「성장하는 팀워크」, 「학습법을 터득함」, 「진행과정의 어려움」이었다. 액션러닝 적용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팀워크, 자기 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다른 간호학 교과목에서도 액션러닝을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해 볼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fter designing an action learning class suitable for basic nursing science class and applying it. A total 100 freshmen nursing students taking a basic nursing science class of K university in S city participated in t...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22)

  1. H. H. Hyun, M. S. Lee & Y. H. Hong(2016).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teaching - learning metho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7(2), 17-30. 

  2. S. E. Choi &E. A. Kim.(2016).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 90-99. https://doi.org/10.4040/jkan.2016.46.1.90 

  3. S. O. Kim. & M. S. Kim.(2016).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107-119. 

  4. I. S. Park & D. K. Kim.(2009). Effect of TBL on oral prophylaxis educ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Dental Health, 33(1), 125-133. 

  5. Y. H. Kim & H. Y. Kim.(2018).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Action Learning-based Nursing Education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Adm, 24(1), 73-84. 

  6. Marquardt, M. J.(2000). Action learning in action: Transforming problems and people for world-class organizational learning (H. C. Bong, Trans.). Palo Alto, CA: Davies-Black Publishing. 

  7. S. I. Ko & K. W. Chang.(2014). Case stud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by action learning.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88, 256-581. 

  8. K. W. Chang, E. H. Koh & S. I. Ko.(2015).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action learning in school.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7(3), 429-455.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429 

  9. Gordon S Findlater, Fanney Kristmundsdottir, Simon H Parson, & Thomas H Gillingwater (2012). Development of a supported self- directed learning approach for anatomy education.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5(2), 114-121. 

  10. K. S. Jang & S. J. Park, Y. J. Choi. (2012).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J Korean Acad Nurs Adm, 18(4), 442-451. 

  11. Y. M, Kim & Y. H. Kim.(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J Korea Contents Assoc, 10(6), 313-322. 

  12. J. H. Kim & M. K. Park.(2014).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4), 482-490. doi: 10.5977/jkasne.2014.20.4.482] 

  13. S. I. Ko, K. W. Chang. (2014). Case Stud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by Action Learning.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9(6), 256-281. 

  14. J. W. Creswell.(2010).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eoul: Hakjisa. 

  15. S. H. Park, Y. S. Ahn & J. Y. Jung.(2010). systemic action learning. Seoul: Hakjisa. 

  16. Krippendorff, K.(2004). Content analysis. SAGE Publications CA. 

  17. H. T. Jeong.(2015). Instruction Design Based on Action-Learning in Moral Subject : Focus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High School. The 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36, 101-128. 

  18. S. H. Kim & J. S. Park.(2021). A Study on Intention to Solve the Problem via the Prior Experience of Creativity Programs based on the Action Learning Method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6), 73-83. 

  19. K. C. Hong.(2015). A Case Study on the Action Learning for College Classes.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1(2), 63-89. 

  20. K. S. Chang, E. A. Kim & H. Y. Park.(2015).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119-128. 

  21. H. S. Jung & S. H. Moon.(2021). An Analysis of Action Learning Process in Education Programs for Senior Officials, Engineers, Chief Executive Offic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87-104. 

  22. J. S. Kim.(2019). Effects of Action Learning Based Nursing Research Cla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3), 1,627 - 1,6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