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료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노인의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Using Healing Garden on Fall Efficacy in the Elderl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3, 2021년, pp.359 - 363  

박우권 (경복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미영 (렛그린미래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 정원을 이용한 원예작업치료가 노인의 낙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P 요양원에서 2019년 4월부터 8월까지는 노인 시설 이용자 31명에게 적용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31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 프로그램은 매주 4회는 낙상교육과 근력운동으로 구성된 낙상 프로그램과 매주 1회는 치유정원에서 원예작업프로그램을 총 15주 동안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매주 5회 30분씩 낙상교육을 총 15주 동안시행하였다. 실험군의 낙상 효능감은 프로그램 시행 전 평균이 29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34.50점으로 5.50점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낙상프로그램만 진행한 대조군은 시행 전 평균 28.87점에서 실시 후 평균 32.50점으로 3.63이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이 결과를 통해 치료정원을 활용한 원예프로그램은 낙상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정원을 활용한 원예작업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 예방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dening programs using therapeutic gardens on the fall efficacy of the elderly. This study was applied to 31 elderly facility users from April to August 2019 at a nursing home P located in Gyeonggi-do. Among the 31 participants who particip...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9)

  1. Statistics Korea. (2016). 2016 "Report for a senior citizen statistics", Retrieved February 24, 2017. 

  2.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0).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education rehabilitation program", Healthy care for weak old people. Retrieved November 20, 2014. 

  3. Robbins, A. S., Rubenstein, L. Z., Josephson, K. R. (1989). "Predictor of falls among elderly people. Results of two population-based studies. Arch Intern Med", Vol. 149, No. 7, p. 1628-1661,1989. https://doi.org/10.1001/archinte.149.7.1628/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4. Chang, C.M., Kang, H. S. (2004).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elderly those who experienced a fall or no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ing.Vol. 7, No. 1, pp. 48-57, 2004. 

  5. Myung. S.. M. (2014). "Relations among Knowledge, Fear and Efficacy of Fall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Kor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 21, No. 2, pp. 139-147, 21(2): 139-147. 2014.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2.139 

  6. Cumming, R.G., Salked, G., Thaomas, M.(2000). "Prospective study of the impact of fear of fall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F-36 score, and nursing home admission", Journal of Gerontology Amercial Biological Science Mdeicine. Vol. 55, No. 5, pp. 299-305,2000. https://doi.org/10.1093/gerona/55.5.M299 

  7. Bandura, A. (1997). "Self-effacicacy: Toward a unifying therap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 191-215. 

  8. Lee. Y. J. (2018). "Influence of Self-Rat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Behavior in Urba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2, pp. 81-87, 2018. https://doi.org/10.17703/JCCT.2018.4.2.81 

  9. Luthar, S.S., Zigler, E, "Vulnerability and competence: a review of research on resilience in childhood", Am Jouranal Therapy. Vol. 61, No. 1, pp. 6-22, 1991. https://doi.org/10.1037/h0079218 

  10. Kim. M .Y., Lim. D. H, "The Effect of Horticultural Program Using Vertical Garden on Helpen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Disoder",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iture Technology. Vol. 7, No. 2, pp.291-296, 2021. https://doi.org/10.17703/JCCT.2021.7.2.291 

  11. Marcus, C. C., Barnes, M. J. (1999). Marcus, C.C. and M.J. Barnes. 1999. "Heading garde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12. Kim, M. Y.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Vol. 28, No. 5, pp.884-890, 2010. 

  13. Son, K.C. (1999). "Horticultural therapy", J. Reh. Psychol, 6(1):25-44. 

  14. Demerchant, E. A., J.O. Beamish. (1995). "Universal design in residential space. J.American Association of Housing Educations", 22:12-30. 

  15. Yardley, L., Beyer, N., Hauer,K.., Kempen,G., PiotZiegler, C., Todd, C.(2005)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Falls Efficacy Scale-International (FES-I)", Ageand Ageing. 34:614-619. 

  16. Jung, H, H,. Seung, K , L, .Dong, H ,L. (2010). "Development of the Korean Fall Efficacy Scale (FES-K) for the Elderly", The Korean hournal of Physcial Education. 49(3),193-201. 2010. 

  17. Kaplan, R., S. Kaplan. (1983). "Cognition and enviroment: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Praeger Publishers". New York, USA. 

  18. Relf, D. (1981). "Dynamics of horticultural therapy". Rehab Lit. 42(5-6):147-150. 

  19. Kavangh, J. 1998. "Outdoor space and Adaptive Gardenins:Degin, Techique and Tool". 287-3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