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저서동물의 정량적 자료에 대한 정도관리 현실과 개선안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QA/QC) for Korean Macrozoobenthic Biological Dat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6 no.3, 2021년, pp.263 - 276  

최진우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송성준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류종성 (안양대학교 스마트창의융합대학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권봉오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응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저서동물은 해양의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에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복원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 있어서도 오염상태를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에 주요 구성원으로 들어가 있어서 많은 연안역에서 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1970년대 중반 이후 50년간 수행이 되었다. 이런 연구의 종 동정에는 생태전문가가 일정기간 분류에 대한 교육을 받아서 수행해 온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저서동물의 동정을 소홀히 하였거나 잘못 동정하여 정보축적에 혼선이 있었으며, 분류전문가 부족으로 저서생물 시료를 종 수준까지 다루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 같은 국가적인 연구조사에서도 저서동물에 대한 종 동정에 분류학 전문가의 참여가 적다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한 저서동물군집 자료에서 일부 분류군의 종 동정이 미흡하여 자료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해양생물의 정량적 자료 생성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1990년대 국가해양생물분석질관리계획(National Marine Biological Analytical Quality Control, NMBAQC Scheme) 이라는 정도 관리체계를 만들었고, 국가 해양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에 해양생물 분석역량을 측정하고, 미흡하면 재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러한 해양생물을 조정할 수 있는 기관과 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같은 공인기관이 존재하고 있어도 생태자료를 담당할 인력 부족으로 생태자료의 정도관리를 맡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서 단기적으로는 (1) 최소한 주요 우점종에 대한 종 동정을 분류전문가에게 확인을 받는 방안, (2) 가능하면 생물군별로 분류전문가를 연구조사에 참여시키는 방안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3) 다양한 분류전문가를 포함하는 (가칭) '(재단법인) 해양생물 분류협회'를 설립하여 생물자료에 대한 정도관리와 전문가 양성과 훈련을 주관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법인의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법제적인 문제는 학회나 공청회를 통하여 보완하는 방안이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benthic organisms have been used as the indicators for the environment assessment and recently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in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restoration. In Korean waters, the quantitative data on marine benthos was used as one of major components for the marine p...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9)

  1. 고철환, 강성길, 이창복, 1999. 송도갯벌과 영일만 조하대 저서동물의 군집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면적의 결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1): 63-70. 

  2. 국립생물자원관, 2021. www.nibr.go.kr 

  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2021. www.mabik.re.kr 

  4.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제31권 동물편(갯지렁이). 문교부, 764 pp. 

  5. 어장관리법, 2020.08.28. 시행. 

  6. 최진우, 서진영, 2007. 마산만 저서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역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생물지수의 적용. Ocean and Polar Research, 29(4): 339-348. 

  7. 해양생태계의 관리 및 보전에 관한 법률, 2020.08.28. 시행 

  8. Arias, A., A. Richter, N. Anadon and C.J. Glasby, 2013. Revealing polychaetes invasion patterns: Identification, reproduction and potential risks of the Korean ragworm, Perinereis linea (Treadwell),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31: 117-128. 

  9. Blake, J.A., 2009. Redescription of Capitella capitata (Fabricius) from West Greenland and designation of a neotype (Polychaeta, Capitellidae). Zoosymposia, 2: 55-80. 

  10. Borja A., J. Franco and V. Perez,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ine Pollution Bulletin, 40(12): 1100-1114. 

  11. Choi, J.-W. and J.-H. Lee, 1997. Secondary production of a nereid species, Perinereis aibuhitensis in the intertidal mudflat of the west coast of Korea. Bulletin of Marine Science, 60(2): 517-528. 

  12. Ellis, D., 1985. Taxonomic sufficiency in pollution assess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16: 459. 

  13. Forbes, E. and R. Goodwin-Austen, 1859. The Natural History of the European Seas. London: Van Voorst. 

  14. Grassle, J.P. and J.F. Grassle, 1976. Sibling species in the marine pollution indicator Capitella (Polychaeta). Science, 192: 567-569. 

  15. Hutchings, P. and E.K. Kupriyanova, 2018. Cosmopolitan polychaetes - Fact or fiction? Person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Invertebrate Systematics, 32: 1-9. 

  16. Jeong, M.-K., J.H. Wi and H.-L. Suh, 2019. A reassessment of Capitella species (Polychaeta: Capitellidae) from Korean coastal waters, wi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Marine Biodiversity, 48: 1969-1978. 

  17. Lee, J.-H., J.-G. Je and J.-W. Choi, 1992. Taxonomic review of Perinereis aihibutensis Grube, 1878 (Nereidae, Polychae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8: 1-10. 

  18. Muxica, I., A. Borja and J. Bald, 2007. Using historical data, expert judgement and multivariate analysis in assessing reference conditions and benthic ecological status, according to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55: 16-29. 

  19. Nishizawa, R., M. Sato, T. Furota and H. Tosuji, 2014. Cryptic invasion of northeast Pacific estuaries by the Asian polychaete, Hediste diadroma (Nereididae). Marine Biology, 161: 187-194. 

  20. Northeast Atlantic Marine Biological Analytical Control Scheme (NMBAQCS), 2021. www.nmbaqcs.org. 

  21. Park, T. and W. Kim, 2017.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or Asian populations of the 'cosmopolitan" Perinereis cultrifera (Annelida: Nereididae). Zoological Science, 34: 252-260. 

  22.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Annual Review, 16: 229-311. 

  23. Petersen, C.G.J. and P.B. Jensen, 1911. Valuation of the sea. I. Animal life of the sea bottoms, its food and quantity. Report of the Danish Biological Station to Board of Agriculture, 10: 1-76. 

  24. Petersen, C.G.J., 1918. The sea bottom and its production of fish food. Reports of the Danish Biological Station, No. 25: 1-62. 

  25. Seo, J.Y., H.-S. Lim and J.-W. Choi, 2014. Threshold value of Benthic Pollution Index (BPI) for a muddy healthy benthic faunal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 to Jinhae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9(3): 313-328. 

  26. Terlizzi, A., S. Bevilacqua, S. Fraschetti and F. Boero, 2003. Taxonomic sufficiency and the increasing insufficiency of taxonomic expertise. Marine Pollution Bulletin, 46: 556-561. 

  27. Thorsen, G., 1957. Bottom communities (sublittoral or shallow shel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 67: 461-534. 

  28. Weisberg, S.B., J.A. Ranasinghe, D.M. Dauer, L.C. Schaffner and J.B. Frithsen, 1997. An estuarine benthic index of biotic integrity (B-IBI) for Chesapeake Bay. Estuaries, 20(1): 149-158. 

  29. Wu, S.-K., 1967. The nereid worms of Taiwan. Bulletin of Institute of Zoology, Academia Sinica, 6: 47-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