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에듀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민간 에듀테크 콘텐츠의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유형과 연계하여 -
A Study on the Types of Private EduTech Content for establishment of integrated platform of K-EDU - In conjunction with fu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ypes -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20 no.3, 2021년, pp.11 - 24  

하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정책학과, (사)한국교육행정연구원(KEAI)) ,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K-에듀 통합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국내·외 민간기업의 에듀테크 트랜드와 콘텐츠 현황을 조사하고,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 양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일선학교에서 각 교과목별 교수-학습방법과 가장 적합성이 뛰어난 콘텐츠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 조사 및 2021년 교육박람회 참가 기업 관계자와의 현장 인터뷰를 통해 해외 22개(28종), 국내 46개(88종) 등 총68개 기업에서 생산한 에듀테크 콘텐츠 총116종에 대하여 미래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양식과의 상호 연결(matching)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du-tech trends and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companies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K-EDU integrated platform,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fu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styles, and provi...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3)

  1. 교육부(2020.08.05.). K-에듀 통합플랫폼 구축방안 마련을 위한 정보화전락계획(ISP) 수립 기본계획(안). 

  2. 교육과학기술부(2011.06.29.). '인재대국을 향한 교실혁명'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 

  3. 김성희(2021). 디지털 빅데이터 교실에서 스마트 교육의 실제와 활용, KEIA, 15(4). 

  4. 이영수(2020.10.27.), 교육부, 학생 학습정보를 기업에 제공하는 방안 추진, 쿠키뉴스. 

  5. 이상언(2021.04.02), 교육격차 줄일 AI 혁신 막는 전교조의 자가당착, 중앙일보, 23. 

  6. 전형배 외(2021). AI 기반 교육 현황과 기술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 정광훈(2018). 교육용 콘텐츠 관리체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사업보고 CP 2018-16. 

  8.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2018). 에듀테크의 기술 및 콘텐츠 동향. 

  9. 조진일 외(2019). 미래형 학교시설 기준 및 자동 산정 스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 TR 2019-64.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0). K-에듀 통합플랫폼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실행계획(안). 

  11. 홍선주 외(2020).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DACO(2021). 에듀테크(EduTech) 기술 및 시장동향과 주요 국가별.기업별 사업 전략. 

  13. J.Bersin(2017), "The Disruption of Digital Learning: Ten Thing We Haver Learned", 구글검색.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