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면적차광과 부분차광이 콩 엽록소 형광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verall Shading and Partial Shading on the Response of Chlorophyll Fluorescence of Soybea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3 no.3, 2021년, pp.163 - 168  

조유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조은이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정재혁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  윤창용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안규남 (전남농업기술원 식량작물연구소) ,  조재일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은 식물 광합성에 반드시 요구되는 에너지이다. 차광의 종류를 전면차광과 부분차광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콩의 엽록소 형광을 관측하여 광합성능을 평가하였다. 전면차광에서는 SPAD값으로 대표되는 엽록소 농도와 광이용효율을 표현하는 ETR (Electron Transport Rate)이 크게 낮아졌다. 차광 박스 제거 후에 SPAD와 ETR 모두 대조구와 같은 정도가 되었으나, 열 소산 기작을 나타내는 NPQ (Non-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는 높아졌다. 이렇게 전면차광을 겪었던 콩의 광이용효율은 회복했지만, 높아진 NPQ가 광인산화 효율을 떨어뜨리므로 실제 노지 광합성량은 필연적으로 낮아질 것이다. 부분 차광에서도 SPAD와 ETR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NPQ는 높은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도시 농업 또는 영농형 태양광과 같은 부분차광 조건의 광합 성량은 단순히 작물의 광이용효율과 누적 광 에너지량으로 계산한 추정값보다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experiment under shading condition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crops to light in terms of photosynthesis. There are two types of shading: overall shading and partial shading. In this study,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soybean was observed under ...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2)

  1. An, K., C. Yoon, S. Shin, S. Kim, and J. Cho, 2021: Characteristics of paddy rice by planting density under agrophotovoltaic module structure. Proceeding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of Conference, 175pp. 

  2. Cho, Y., H. Kim, E. Jo, D. Oh, H. Jeong, C. Yoon, K. An, and J. Cho, 2021: Effect of partial shading by agrivoltaic systems panel on electron transport rate and non-photochemical quenching of crop. Kore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rest Meteorology 23(2), 100-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Gardner, Frank P., R. Brent Pearce, and Roger L. Mitchell, 2017: Physiology of Crop Plants. Scientific publishers, 19pp. 

  4. Han, H., and J. Ryoo, 1988: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corn and sorghum species I. Effect of shading on photosynthetic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8(1), 6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irose, T., and M. J. A. Werger, 1987: Maximizing daily canopy photosynthesis with respect to the leaf nitrogen allocation pattern in the canopy. Oecologia 72(4), 502-526. 

  6. Kim, H., S. Jee, J. Kim, M. Kang, S. Yun, M. Kim, J. Kim, Y. Lee, J. Son, G. Song, H. Jeon, and J. Chung, 2020: Rice and electric power production by adjusting the module angle of grid-connected agro-photovoltaic plan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91pp. 

  7. Kim, K., S. Kim, B. Huh, and K. Yoon, 1991: Effects of shading at heading stage on yield components in r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36(2), 127-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urchie, E. H., and K. K. Niyogi, 2011: Manipulation of photoprotection to improve plant photosynthesis. Plant Physiology 155(1), 86-92. 

  9. Sin, P., W. Sang, J. G. Baek, Y. H. Lee, D. W. Gwon, J. H. Kim, J. I. Jo, and M. C. Seo, 2019: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soybean at different growth stag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129pp. 

  10.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Species Biology (SSSB), 2003: Introduction to Plant Physiological Ecology. Hiroyuki, M. and K. Naoki (Eds.), Bun-ichi Sogo Shuppan Co, 252-253. 

  11. Xiong, D., J. Chen, T. Yu, W. Gao, X. Ling, Y. Li, S. Peng, and J. Huang, 2015: SPAD-based leaf nitrogen estimation is impa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crop leaf characteristics. Scientific report 5(1), 1-12. 

  12. Yoon, C., S. Choi, K. N. An, J. H. Ryu, H. Jeong, and J. Cho, 2019: Preliminary experiment of the change of insolation under solar panel mimic shading ne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358-3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