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초음료를 첨가한 파우치형 곤약젤리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ouch-type Konjac jelly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containing vinegar drink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5, 2021년, pp.613 - 618  

김청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연정 ((주)뉴트리아이 교육센터) ,  김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초음료가 함유된 젤리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식초음료 함량, 구연산삼나트륨 함량, 겔화제 함량에 따라 3단계에 나눠 제조공정에 따른 살균전후의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식초 음료의 함량을 달리한 젤리는 식초음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pH는 급격히 낮아졌고 살균 후는 살균 전 보다 경도(hardness)가 현저히 낮아져 제형이 유지되지 않았다. 이는 pH와 높은 산도의 영향으로 보여 진다. 산도조절제인 구연산삼나트륨의 함량을 달리한 실험 결과 pH는 구연산삼나트륨의 첨가 함량의 증가는 살균전후 모두 구연산삼나트륨의 함량과 젤리의 경도(hardness)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살균 공정 후 젤리는 살균보다 경도(hardness)는 낮아져 pH와 살균 가열 조건이 겔화의 품질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겔화제의 함량을 달리한 젤리의 경도(hardness)는 살균전후 모두 겔화제 첨가 함량의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식초음료의 스파우트 젤리임을 고려할 때 제품 관능 속성에 부합될 수 있도록 pH 3.5-3.7, 글루코만난과 카라기난의 혼합겔의 함량은 0.4-0.5%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containing vinegar drink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is study. The jelly, which differs from the contents of the vinegar drink, sharply decreased the pH. After sterilization, hard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formulation was not maintained, w...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2)

  1. Brenner T, Achayuthakan P, Nishinari K. Linear and nonlinear rheology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Pt. I. Young's modulus, ring extension and uniaxial compression tests. J. Texture. Stud. 44: 66-74 (2013) 

  2. Brenner T, Wang Z, Achayuthakan P, Nakajima T, Nishinari K. Rheology and synergy of kappa-carrageenan/locust bean gum/konjac glucomannan gels. Carbohydr. Polym. 98: 754-60 (2013) 

  3. Cho Y, Choi MY.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34-142 (2009) 

  4. Choi EH, Kim DS, Choi SK, Park KB. Optimiz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lsamic vinegar jelly with various gelling agents. Culi. Sci. & Hos. Res. 19: 151-163 (2013) 

  5. He XJ, Wang H, Amadou I, Qin XJ. Textur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hydrolyzed konjac glucomannan and kappa-carrageenan: Effect of molecular weight, total content, pH and temperature on the mixed system gels. Emir. J. Food Agric. 24: 200-207 (2012) 

  6. Huang HY, Lin KW. Influence of pH and added gums on the properties of konjac flour gels. Int. J. Food Sci. 39: 1009-1016 (2004) 

  7. Jeong EJ, Cha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onion peel extracts. Culi. Sci. & Hos. Res. 26: 186-193 (2020) 

  8. Jeong JS, Kim ML. Quality evaluation of citrus jelly prepared using concentrated citrus juice. Korean J. Food Cook Sci. 24: 174-181 (2008) 

  9. Jeong JS, Park SJ, Son BG. Qualiy characteristics of jelly using fresh puree of snasuyu (Corni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83-91 (2017) 

  10. Kawano A, Takahashi T, Ogoshi H. Characteristics of saliva and an agar gel bolus from young and elderly subjects. J. Home Econ. 56: 301-307 (2005) 

  11. Kim IC.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96-402 (1999) 

  12. Kim JY, Ok E, Kim YJ, Choi KS, Kwon O. Oxidation of fatty acid may be enhanced by a combination of pomegranate fruit phytochemicals and acetic acid in HepG2 cells. Nutr. Res. Pract. 7: 153-159 (2013) 

  13. Kim K-B, Han K-H. A Study of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 7-15 (2020) 

  14. Kondo T, Kishi M, Fushimi T, Ugajin S, Kaga T. Vinegar intake reduces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obese Japanese subjects.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1837-43 (2009) 

  15. Lee JH, Park SJ, Son SH.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odified starch and carrageenan complex as stabiliz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72-676 (1993) 

  16. Li G, Qi L, Li A, Ding R, Zong M. Study on the kinetics for enzymatic degradation of a natural polysaccharide, konjac glucomannan. Macromol. Symp. 216: 165-178 (2004) 

  17. Lim EJ, Cha GH. Study on manufacturing of vinegar through literatures of the Joseon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25: 680-707 (2020) 

  18. Meng F, Luo L, Ning H, Zuo J. Advances in the research of κ-carrageenan. Polym. Bull. 49-56 (2003) 

  19.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Approval criteria of dysphagia diet (厚生 省 特別用途食品の表示許可等について, えん下困難者用食品の規格基準). 10-20 (2009) 

  20. Moon HK, Lee SW, Moon JN, Yoon SJ, Lee S, Kim GY.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Cook Sci. 28: 797-804 (2012) 

  21. Park BS, Han MR, Kim AJ.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jelly using darae extract for childre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3: 561-568 (2013) 

  22. Sakakibara S, Yamauchi T, Oshima Y, Tsukamoto Y, Kadowaki T. Acetic acid activates hepatic AMPK and reduces hyperglycemia in diabetic KK-A(y) mic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44: 597-60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