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AC를 통해 알아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의사
Intention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dentified by AAC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10, 2021년, pp.427 - 434  

김남숙 (동명대학교) ,  박주홍 (부산복지개발원) ,  김보름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를 통해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에 기초자료가 될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의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발달장애인에 포용적인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훈련된 조사원이, AAC 설문지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전문기관에서 추천받은 당사자 74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분석했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에는 주거와 취업 등 지역사회 차원의 여건 조성, 적성과 기호를 고려한 일자리 등이 중요하며 시민으로서의 권리행사 등 사회참여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대리인을 통한 연구결과와 다른 것으로, 향후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이 의사결정 지원에 의한 당사자의 욕구에 기초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일상적 삶'을 지향해야 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needs and intention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AC for supporting their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realizing an inclusive community. From August 7 to September 11, 2020, trained researchers conducted...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7)

  1. Statistics Korea. (2021).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KOSIS(Online). https://kosis.kr/ 

  2. J. O. Shin. (2020). Research on Ways to Promote Community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531-540. DOI : 10.14400/JDC.2020.18.6.531 

  3. S. H. Kim et al. (2017).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y 2017.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Analysis of the living condition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 study on statistical construction methods.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Collins, J., (2015). From hospital to home: the drive to suppor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61(2), 76-82 

  6. J. Heo, S. J. Lee. (2018). A Research Trend on the Studies related to Parent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8(4), 295-318. DOI : 10.21024/pnuedi.28.4.201812.295 

  7. J. H. Kim, H. O. Park. (2020). A Research Trend on the Studies Related to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4), 1-26. DOI : 10.34262/kadd.2020.24.4.26 

  8. Y. R. Kim. (2017). A Literature Review of Future Planning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19(2), 51-76. DOI- n/a 

  9. S. D. Hong, E. H. Jo. (2018). Research Trend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9(3), 95-113. DOI : 10.20972/kjee.29.3.201809.95 

  10. W. Y. Ha, Y. S. Kim. (2020). FGI Analysis for Participants in Community Care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4), 53-75. DOI : 10.34262/kadd.2020.24.4.75 

  11. S. E. Seo, W. I. Cho. (2020). A Critical Study on the Social Usefulness as a Theory of Treatment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Focus on the Veterans Code from the Film "CHEER UP, MR. LE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4), 77-96. DOI : 10.34262/kadd.2020.24.4.96 

  12. S. I. Jung. (2020). For All Who Want to 'Speak'-Diachronic Study of Tendency of AAC Users' Perception and Demand Changes. Journal of Korean Disability Studies, 5(1), 35-63. DOI- n/a 

  13. Y. D. N. Lee. (2019). A Meta-analysis of Single-case Research Designs on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1), 173-196. DOI : 10.24005/seci.2019.12.1.173 

  14. J. A. Kim, S. J. Yeon. (2019). A Case Study on the AAC intervention Using Community Adapted Activiti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AC Research & Practice, 7(1), 153-171. DOI : 10.14818/aac.2019.6.7.1.153 

  15. M. O. Kim, M. A. Jung & J. H. Park (2020). The Study on the Practitioners' Experiences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50, 169-197. DOI- n/a 

  16. J. H. Park, K. R. Lee & E. R. Lee. (2012). Study on the surve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upport plan. Busan: Bus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17. J. H. Park, N. S. Kim, D. R. Kim & B. R. Kim. (2020). Study on the survey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of Busan Metropolitan city. Busan: Bus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