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봉 철원도성의 고지형과 구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aleotopographic and Structural Analyses of Cherwon Castle in Taebong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2, 2021년, pp.38 - 55  

허의행 (수원대학교 박물관) ,  양정석 (수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봉 철원도성은 현실적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조사와 연구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현재 고고학계에서 이용되고 있는 고지형분석 방법론의 적용과 해석을 통해 도성의 구조와 내부 공간 구획의 여러 모습을 파악하였다. 태봉 철원도성은 외성의 북쪽 구릉지성 지형에서 시작하여 남서방향으로 흘러 내려온 다섯 줄기의 평탄한 구릉지형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내·외성벽은 각 구릉의 능선 줄기를 중심으로, 궁성벽은 그러한 능선 줄기의 중심 구릉지에 축조하였다. 각 성벽에는 여러 방향의 성문과 문지 등이 확인되는데, 도성 내부 건물의 방향과 지형 형태에 맞추어 설치한 것으로 파악된다. 도성 내 궁성은 평면 사다리꼴의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궁전지와 관련 건물지 그리고 배수관련 지형 등이 확인된다. 궁전의 동서방향으로는 추정 도로와 함께 성문의 위치도 확인되었다. 궁성과 내성의 공간은 각각의 구릉 지형에 맞추어 평탄대지를 조성하고 건물지를 배치하였다. 내성의 남쪽에는 연못지로 추정되는 저수지가 궁성에서 내성의 중심을 잇는 수직 선상에 자리하는 모습이다. 내성과 외성 사이에는 건물지 흔적은 잘 관찰되지 않지만 평탄한 대지 지형의 존재로 그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다. 태봉 철원도성의 전체적인 구조는 북동 방향으로 약 9도 치우쳐 평면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구릉성 지형의 형태를 따라 설계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남서벽의 꺽임 현상 또한 습지성 지형을 회피를 의도한 것으로 파악된다. 아직 도성 내부의 건물지 기능과 성격이 불명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 활용의 모습도 분명치 않다. 하지만 내성은 궁전과 함께 관아 건물지로서의 이용 공간으로서, 외성과 내성 사이 공간은 일반민의 생활 공간으로서 구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리제로서의 구획 흔적도 구릉성 지형의 존재로 인해 그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일부 지형은 평탄한 지대가 넓게 확인되고 있어 정연한 공간 구획의 모습을 배제할 수는 없다. 각 성벽의 축조 선후 시기나 방식 등도 아직 명확치 않지만, 적어도 지형을 이용한 도성의 축조와 내부 공간 구조의 활용을 이해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rwon Castle is located in Pungcheonwon, Cherwon,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Currently, it is split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DMZ) between the two Koreas. It attracts attention as a symbol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as cultural heritage that serves as data in making import...

주제어

표/그림 (21)

참고문헌 (18)

  1. 수원대학교박물관, 2009, 「용인 서봉사지 사역조사보고서」. 

  2. 심정보, 2019, 「태봉국 철원도성의 축조 기법과 공간 구성」, 「문물연구」 36집, 동아문화재단. 

  3. 양정석, 2016, 「新羅 王京의 地理學的 理解를 위한 基本 槪念의 檢討-도시형태론과 도시체계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80, 호서사학회. 

  4. 유병하.나병호, 2015, 「궁예도성과 견훤도성」, 「대외관계로 본 후백제」, 공감. 

  5. 이기석, 2016, 「철원 풍천원과 태봉국 도성지의 지리」, 지리모노그래프2. 

  6. 이기석, 2020, 「鐵原 楓川原의 지리와 태봉국 都城址의 방리제」, 「학술원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59-1. 

  7. 이재, 2018, 「철원도성 연구의 현단계」, 「남북 공동의 문화유산: DMZ 태봉 철원도성」, 철원군.태봉학회. 

  8. 이재, 2019, 「비무장지대 문화유적 현황과 보존방안」, 「문화재」 52권 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9. 이홍종, 2015,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 경관」,「고고학」 14, 중부고고학회. 

  10. 이홍종.高橋 學, 2006, 「행정중심복합도시 평야지역 내 고지형 및 유적분포 예측조사 보고서」, 한국고고환경연구소. 

  11. 정호섭, 2018, 「왜 태봉 철원도성인가?」, 「철원 DMZ 궁예도성 남북 공동발굴 추진 정책 세미나」, 남북역사학자협의회. 

  12. 정호섭.구문경, 2014, 「태봉국 도성 복원의 추진방안」, 강원발전연구원. 

  13. 조인성, 2018, 「태봉 철원도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라 왕경에서 고려 개경으로 -월성과 만월대-」, 국립문화재연구소. 

  14. 하일식, 2015, 「남북한 역사 서술에서 태봉의 위상」, 「DMZ의 평화적 이용과 남북 역사 문화 교류」, 남북역사학자협의회. 

  15. 허의행, 2017, 「풍납토성의 구조와 내부 공간 구획의 고지형적 접근」, 「호서고고학」 38, 호서고고학회. 

  16. 허의행, 2020, 「3D 지형 분석을 통해 본 능허대와 주변의 고지형」, 「백산학보」 116, 백산학회. 

  17. 허의행.이홍종, 2018, 「DMZ 내 유적 조사 방법론」, 「DMZ 문화재 보존 및 조사연구 발전방안 학술 심포지엄」, 국립문화재연구소. 

  18. 허의행.장우영, 2020, 「충주 고구려비의 건립 위치에 대한 고고지리학적 접근」, 「선사와 고대」 63, 한국고대학회.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