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집적과 지역 간 격차 요인 분석
Factors in Spatial Clustering and Regional Disparity of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4, 2022년, pp.377 - 397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구본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양적 성장에 주목하였을 뿐 공공도서관의 성장 추세가 지역 간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그러한 격차를 발생시킨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갖지 못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분포 패턴을 파악하고, 그러한 분포를 야기시킨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집중이 계속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분포 역시 지역 간 격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공급 결정요인 분석 결과, 인구증가율과 사업체수, 재정자립도는 정(+)의 영향을, 1인당 지방세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중에서도 지역의 경제력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능력이 공공도서관 분포의 지역 간 격차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그동안의 공공도서관 공급이 공급자의 편의로 결정되어 온 현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focus was on quantitative growth, while it did not have much interests in whether its growth trend are have deviations by region, and if that is a fact, what factors caused such a dispari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5)

  1. Cha, Mi-Kyeong & Song, Kyeong-Jin (2010). A study o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system to bridge the regional gap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49-160.?? 

  2. Cho, Keumju (2021).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indicators of public library?operation and usag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use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by?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4), 79-102.?? 

  3. Choi, Won-Chul, Lee, Jong-Gun, & Lee, Man-Hyung (2013). Measuring efficiency and impact indicators of urban public service provisions based on the DEA methods in city and county governmen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9(1), 49-65.?? 

  4. Hyun, Seunghyun & Yoon, Sung-Sig (2011). Analysis of competitiveness and determinants of contracting-out in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3(2), 5-27.? 

  5. Jung, Jae-Myung (2015). The analysis on efficiency for public libraries in Kyongsangnamdo. The?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9(2), 141-171.?? 

  6. Kang, Sung-Chul & Kim, Do-Yup (2011).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contracting-out in local public services: utilization of the logit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1), 273-291.?? 

  7. Kim, Hun-Min & Kim, Hee-Young (2004). The determinants of urban public service distributions?within the Korea cities.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12, 109-128.?? 

  8. Kim, Hyun-Joong, Lee, Jong-Gil, & Yeo, Kwan-Hyun (2015). Regional disparities and determinants of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Studies, 16(4), 109-127.?? 

  9. Koo, Bon-Jin & Chang, Durk-Hyun (202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and the disparities in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2), 189-208.?? 

  10. Koo, Bon-Jin & Chang, Durk-Hyun (2021).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4), 67-87.?? 

  11. Lee, Sangsoo & Han, Ha-Neul (2010).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public?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by DEA and Tobit mode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1(2), 111-131.?? 

  12. Oh, Seon-Kyung (2022). A study on the status and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y i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3(2), ?215-239.?? 

  13. Park, Beom-Jun & Park, Hyung-Jun (2015). The study if determining factor in arts and culture public service delivery sector choice in Korea local govern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Quarterly, 27(4), 1061-1084.?? 

  14. Park, Il-Jong & Yoo, Kyeong-Jong (2009). A study of the information disparity through libraries among four regional groups in Korea on the subject of three types of libraries.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57-80.?? 

  15. Yoon Hee-Yoon (2022).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6(1), 5-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