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대학 교수·학습 개선방안 도출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of University in Online Class Environment since COVID-19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3, 2022년, pp.11 - 21  

박동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이길재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강소윤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김수진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안은비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장서진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대학은 개강 연기, 전면적 비대면 온라인 수업 체제를 도입 및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학습경험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의 질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SEL) 결과 중 C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수업, 녹화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녹화 수업보다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의 인식 및 태도가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녹화 수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backgrou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classes by analyz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spects on onlin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주제어

참고문헌 (23)

  1. D. J. Lee & M. S. Kim. (202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onlin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59-377. 

  2. J. Y. Jung. (2020). A Study on the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in the Post Corona. The Educational Research for Tomorrow, 33(3), 171-192. DOI: 10.35283/erft.2020.33.3.171 

  3. J. S. Cho & Y. M. Jeon. (2019). A Case Study on Effect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 524-534. DOI : 10.5392/JKCA.2019.19.01.524 

  4. M. W. Yu. (2021).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method and course division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resence in the synchronous universities online clas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5. H. J. Lee. (2021). A Study on the Effects of Feedback Media and Types on Academic interests,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6. Y. R. Lim, J. Y. Kim, J. W. Hwang & D. S. Park. (2020). Exploring Teach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Non-face-to-face Lecture in College: Focusing on Learner Experienc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30(4), 23-54. DOI : 10.21024/pnuedi.30.4.202012.23 

  7. I. S. Cho. (2020). Issues and Improvement Tasks of Distance Learning at Universities. NARS Current Issues and Analysis, 147, 1-17. 

  8. H. S. Lee. (202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23(3), 377-395. DOI : 10.30807/ksms.2020.23.3.007 

  9. S. M. Kim. (2020).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 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6), 1091-1100. DOI : 10.9728/dcs.2020.21.6.1091 

  10. H. J. Kwon. (2021). Workers' and Managers' Views on Contactless Work : An Application of Co-orientation Model.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1. J. C. Shin, J. S. Joeng & T. S. Shin. (2008). Caus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Facto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1), 287-313. 

  12. H. J. Kim, J. W. Ko & M. S. Kim. (2012. July). A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ir Valu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9(2), 109-127. 

  13. C. J. Kim & J. W. Cheong. (2001). Experiental learning: Its concept, theory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7(1), 1-15. 

  14. P. G. Baek. (2012).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Mainly with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431-466. 

  15. J. S. Kim & M. H. Kang.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2), 29-56. DOI : 10.15753/aje.2010.11.2.002 

  16. T. J. Park & I. J. Rah. (2016). A Content Analysis on Learning Experience of K-MOOC (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 Focused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2), 446-457. DOI : 10.5392/JKCA.2016.16.12.446 

  17. H. J. Jung, Y. H. Shin, Y. M. Kang & E. J. Lee. (2019). Development of Quality Certification Standards for MOOC.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4), 739-748. 

  18. Y. H. Hwang, K. J. Mun & Y. B. Park. (2016). Study of Perception on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oftware Inquiry Activity: Focus on using Scratch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325-335. DOI : 10.14697/jkase.2016.36.2.0325 

  19. S. K. Kim, J. U. Yu & S. H. Paik. (2020). The Effect of Science Class Emphasizing Digital Literacy on the Science Attitude and Perception of Growth of Key Competencies in 7th Grad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227-236. DOI : 10.14697/jkase.2020.40.2.227 

  20. J. K. Kim & E. J. Moon. (2016). Learne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ree Types of Coaching Instruction in Liberal Arts Englis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13-38. 

  21. T. J. Seong et al. (2020). Latest Introduction of Education. Soeul: Hakjisa. 

  22. J. W. Ko, H. J. Kim & M. S. Kim. (2011). The Impact of Students' College Experiences on Students'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169-194. 

  23. Y. C. Kim & E. C. Lee. (2015).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658-671. DOI : 10.5392/JKCA.2015.15.11.6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