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효과
Bioactive Effects of Domestic Cherry Tomato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567 - 575  

최석현 (서원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리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보았다. Summerking, Qutiquti 및 Minichal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56±1.88 mg/g, 12.50±1.92 mg/g 및 11.65±1.85 mg/g,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각각 4.58±1.03 mg/g, 4.19±0.40 mg/g 및 4.30±0.49 mg/g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두 뚜렷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본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도 생육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bioacive effects of three domestic cherry tomato cultivar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of Summerking, Qutiquti, and Minichal cultivar were 12.56±1.88, 12.50±1.92, 11.65±1.85 mg/g and 4.58±1.03, 4.19±0.40, 4.30±0.49...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세가지 품종의 방울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효과 및 암세포 억제활성 등 생리활성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재배되는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을 검증하여 식품학적 가치가 규명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방울토마토가 생식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N. Davies and G. E. Hobson, "Constituents of tomato fruit -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nutrition, and genotype,"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15, No.3, pp.205-280, 1981. 

  2. M. Friedman, "Tomato glycoalkaloids : role in the plant and in the die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0, No.21, pp.5751-5780, 2002. 

  3. H. B. Lee, C. B. Yang, and T. J YU,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 No.1, pp.36-43, 1972. 

  4. M. S. Lenucci, D. Cadinu, M. Taurino, G. Piro, and G. Dalessandro, "Antioxidant composition in cherry and high-pigment tomato cultivar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4, No.7, pp.2606-2613, 2006. 

  5. S. H. Choi, S. H. Lee, H. J. Kim, I. S. Lee, N. Kozukue, C. E. Levin, and M. Friedman, "Changes in free amino acid, phenolic, chlorophyll, carotenoid, and glycoalkaloid contents in tomatoes during 11 stages of growth and inhibition of cervical and lung human cancer cells by green tomato extrac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8, No.13, pp.7547-7556, 2010. 

  6. G. Edward, B. R. Eric, L. Yan, J. S. Meir, and C. W. Walter, "A prospective study of tomato products, lycopene and prostate cancer risk,"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Vol.94, No.5, pp.391-398, 2002. 

  7. E. Giovannucci, "Tomato products, lycopene, and prostate cancer: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5, No.8, pp.2030S-2031S, 2005. 

  8. S. Oshima, F. Ojima, H. Sakamoto, Y. Ishiguro, and J. Terao, "Supplementation with carotenoids inhibits singlet oxigen-mediated oxidation of human plasma low-density lipoprotei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44, No.8, pp.2306-2309, 1998. 

  9. L. Frusciante, P. Carli, M. R. Ercolano, R. Pernice, A. Di Matteo, V. Fogliano, and N. Pellegrini, "Antioxidant nutritional quality of tomato,"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Vol.51, No.5, pp.609-617, 2007. 

  10. W. Stahl, U. Heinrich, S. Wiseman, O. Eichler, H. Sies, and H. Tronnier, "Dietary tomato paste protects against ultraviolet light-induced erythema in human,"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1, No.5, pp.1449-1451, 2001. 

  11. P. Polazza, R. E. Simone, A. Catalano, and M. C. Mele, "Tomato lycopene and lung cancer prevention: From experimental to human studies," Cancers, Vol.3, No.2, pp.2333-2357, 2011. 

  12. S. H. Kim, D. H. Kim, and D. S. Kim, "Comparison of ascorbic acid, lycopene, β-carotene and α-carotene contents in processed tomato products, tomato cultivar and part,"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7, No.4, pp.263-272, 2011. 

  13. Y. A. Rha, M. S. Choi, and S. J. Park,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20, No.3, pp.137-147, 2014. 

  14. V. Dewanto, X. Wu, K. K. Adom, and R. H. Liu,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50, No.10, pp.3010-3014, 2002. 

  15. W. Brand-Williams, M. E. Cuvelier, and C. Berset,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of evaluates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28, No.1, pp.25-30, 1995. 

  16.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26, No.9/10, pp.1231-1237, 1999. 

  17. J. B. Ahn, "Characterization of lycopene, β-carotene, and phenolic compounds of domestic cherry tomato cultivars,"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22, No.1, pp.9-16, 2018. 

  18. H. S. Na, J. Y. Kim, H. J. Park, G. C. Choi, S. I. Yang, J. H. Lee, and J. Y. Gho, "Phytochemical contents of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by region," Korean Journal of Food Presevation, Vol.20, No.4, pp.451-458, 2013. 

  19. M. Minoggioa, L. Bramatia, P. Simonettib, C. Gardanab, L. Iemolia, E. Santangelod, P. L. Mauria, P. Spignoe, G. P. Soressic, and P. G. Pietta, "Polyphenol Patter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Tomato Lines and Cultivars,"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Vol.47, No.2, pp.64-6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