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3 no.4, 2022년, pp.1 - 19  

권선희 (대진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의 접근성 문제인 디지털정보격차가 사회·문화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대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격차수준을 파악하고 정보의 접근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특성이 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정보격차는 감소하고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보기기의 접근성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정보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세부적인 계층별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와 디지털활용능력수준은 취약계층의 삶의 만족도와 일상생활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디지털 포용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정보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확대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untact culture spreads, the digital divide, which is a problem of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or the vulnerable, can appear as information inequalit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 This study identified the digital divide level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강이수 (2018).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성별 격차-여성노동의?쟁점과 현실. 페미니즘연구, 18(1), 143-179. 

  2. 구자순 (2007). 고령층여성의 디지털격차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11), 1-24. 

  3. 김동원, 김부철 (2006). 정보화마을의 성공요인을 통한 발전모델의 수립-경상북도 두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1), 1-30. 

  4. 김문조 (2020). AI LEODML 디지털 격차. 지역사회학, 21(1),?59-88. 

  5. 김문조, 김종길 (2002).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36(4), 123-155. 

  6. 김희경, 이현주, 박순미 (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7. 민영 (2011).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접근.활용.참여를?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8(1), 150-187. 

  8. 박소영, 김지원 (2019). 노년층 세대 내 디지털 정보격차 분석:?2010-2018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자료분석학회지, 21(5), 2407-2418. 

  9. 박영미 (2004). 정보복지를 위한 정보격차해소 정책에 대한?분석-정보가치배분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4(2), 119-143. 

  10. 서진완 (2002). 정부기관 정보화수준평가의 발전적 방안모색. 정보화정책, 9(3), 18-37. 

  11. 서형준, 명승환 (2016). 국내 정보격차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9(2), 151-187. 

  12. 안세환, 고강욱, 김영민 (2022). 디지털전환: D.N.A(Data,?Network, AI) 키워드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 지식경영연구,?23(3), 129-152. 

  13. 양정미, 장현미 (2014). 소비자의 인터넷 접근성 및 활용능력이 상품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8(2),?160-190. 

  14. 오지안, 유재원 (2018).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32(2), 319-344. 

  15. 윤정섭, 손은정 (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양극화.?미래연구포커스, 50(3), 7-12. 

  16. 이명진, 박기태 (2009).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함의. 정보화정책, 16(3), 3-17. 

  17. 이향수, 이성훈 (2018). 농어민의 정보격차와 소득수준에?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1), 13-20. 

  18. 장석준 (2016). 노년층 디지털 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1(2), 149-170. 

  19. 장현용, 박상철, 고준 (2020). 온라인 교육 수용 환경에서?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 근거이론 적용. 지식경영연구,?21(2), 77-100. 

  20. 전대성 (2015). 노년층의 정보화 역량유무가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9(3), 389-409. 

  21. 정인관 (2021). 한국의 디지털 불평등: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2019분석. 인문사회21, 12(2), 1875-1886. 

  22. 정충식 (2012). 전자정부론. 서울경제경영. 

  23. 진상기 (2013).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 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147-174. 

  24. 진성현, 박동준 (2017). 21세기 디지털 조직 전략실천에 대한 생태론적 고찰. 지식경영연구, 18(3), 201-230. 

  25. 차성민 (2007). 정보격차해소법제에 관한 고찰. 한국비교정부학보, 11(2), 413-432. 

  26. 최계영 (2017). 4차 산업혁명과 ICT(KISDI Premium Report).?정보통신정책연구원. 

  27. 최두진, 고정현, 김은정, 장주병, 박세은 (2006). 정보격차?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연구보고서,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8. 최예나 (2015). 정보격차가 인터넷기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연구-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235-257. 

  29. 황주희 (2019). 장애인의 정보 활용 격차가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26(3), 53-68. 

  30. Castells, M. (2000). The information age: Economy,?society and culture. Volume I-The rise of the network?society (2nd ed.). Oxford: Blackwell. 

  31. Correa, T., Hinsley, A. W., & De-Zuniga, H. G. (2010).?Who interacts on the Web?: The intersection of users'?personality and social media use. Computers in Human?Behavior, 26(2), 247-253. 

  32. Di Maggio, P., Hargittai, E., Celeste, C., & Shafer,?S. (2004). Digital inequality: From unequal access to?differentiated use. In K. Neckerman (Ed.), Social?inequality (pp. 355-400). NY: Russell Sage Foundation. 

  33. Moon, Y., Hong, A., & Hwang, J. (2017). A study on?the effect of user's personality and accessibility on?digital literacy.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formation?Society, 18(2), 33-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