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자연관찰로를 통한 생태교육적 장소정체성 형성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A Semiotic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Ecologically Educational Place Identity through Nature Trails in National Park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2년, pp.373 - 394  

김동렬 (대구교육대학교) ,  최송현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특징(기호)과 초등과학 환경 관련 핵심개념 및 환경교과의 생태교육 영역과의 연계성을 분석한 후, 바르트의 기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장소정체성 기호학적 해석모델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가능한 자연관찰로의 생태교육적 장소정체성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내장산국립공원의 원적골 자연관찰로, 소백산국립공원의 희방계곡 자연찰로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금산 자연관찰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관찰로의 해설판 중심의 주변환경과 생태교육 내용체계와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생태환경의 체계' 영역과 가장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자연관찰로의 장소정체성 형성 과정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장소성 형성에는 지리적 위치나 경관, 인공적 환경, 주변자연환경의 특징인 물리적 요소가 대부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감 형성은 지식과 애착 요소가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장소성과 장소감 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장소정체성은 행동적 내부 단계와 공감적 내부성 단계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장소정체성 형성의 다양성을 위해서는 환경교육 프로젝트 개발과 자연관찰로 환경의 특이성이 반영된 주변환경과 해설판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formation of ecologically educational place identity of nature trails in national parks,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ults can understand, by analyzing the connectivity between characteristics (signs) of nature trails and elementary science environment-relat...

주제어

표/그림 (23)

참고문헌 (36)

  1. 공영태, 김성규(2006). 일본의 초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서 보이는 환경교육 내용의 고찰. 과학교육연구, 29(1), 103-122. 

  2. 공영태, 김성규(201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산성비 관련 내용 진술의 비교 분석. 22(7), 811-821. 

  3. 교육부(2015). 중학교 선택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교육부(2015). 고등학교 교양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5. 김경용(2002).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6. 김동렬, 최송현(2021a).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해설판의 장소성 의미와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색: 월악산 국립공원 자연관찰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3-25. 

  7. 김동렬, 최송현(2021b).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해설판의 기호 간 상호관계와 전시 형식, 초등 과학교과와의 연계성 분석. 환경교육, 34(3), 251-271 

  8. 김민성, 윤옥경(2013). 장소감 측정고구의 개발과 적용: 초등학생의 성별 차이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17-28. 

  9. 김세리(2013). 시각과 이미지. 서울: 이담북스. 

  10. 김지희(2004). 장소정체성의 형성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서울 테헤란밸리를 사례로. 지리학논총, 44, 1-28. 

  11. 김태형(2013).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그래픽 디자인의 의미 분석: 롤랑바르트(Roland Rarthes)의 기호론, 신화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은(2017).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슬로건 티셔츠 분석.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5-76. 

  13. 김혜영, 김세준(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 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0, 185-217. 

  14. 김혜진(2018). 초등 지리교육에서 재현된 '장소감' 내용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75-287. 

  15. 박나은(2017). 마을 탐사 활동을 통한 장소감의 발달 특성, 사회과교육연구, 24(3), 115-130. 

  16. 박봉우, 이주희, 김범수, 이원희, 배현미(2001). 숲과 자연환경해설 안내. 서울: 수문출판사. 

  17. 박승규(2013).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대한지리학회지, 48(3), 453-465. 

  18. 서보욱, 김도연, 전부기, 이주형(2016).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 프로그램의 계절별 현황 및 겨울철 탐방객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3), 49-60. 

  19. 이나연, 권헌교, 심규원(2013). 국립공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자연환경안내도 인식 분석. 국립공원연구지, 4(2), 71-76. 

  20. 이석환(2007). 장소의 이해와 해석. 서울: 레인보우북스. 

  21. 이예지, 황희준(2014). 초등학교 공간에서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장소감 형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 학회논문집, 21(1), 13-22. 

  22. 이은영, 김보연(2020).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추상적 책표지 디자인에 관한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3), 357-362. 

  23. 이재석(2019).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역사계 박물관 전시 서사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형관, 배정한(2016).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도시 장소 정체성의 상실. 2016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3-4. 

  25. 조우, 유기준(2004). 탐방객 특성에 기초한 도시공원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97-305. 

  26. Barthes, R. (1972). Critical essays. Translated by Richard Howard.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7. Bell, P. A., Greene, T. C., Fisher, J. D., & Baum, A. (2001). Environmental psychology (5th ed.). Orlando, FL: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8. Deleuze, G. (2004). Difference and repetition [Difference et repetition]. Trans Paul Patton, London: Continuum Publishing Group. 

  29. Dorwart, C. E., Moore, R. L., & Leung, Y. F. (2009). Visitors' perceptions of a trail environment and effects on experiences: A model for nature-based recreation experiences. Leisure Sciences, 32(1), 33-54. 

  30. Ginting, N., Rahman, N. V., Subhilhar, S., & Wahid, J. (2018). The role of place identity in planning heritage tourism. The Indonesian Journal of Planning and Development, 3(2), 56-66. 

  31. Isfandiyary, F. H. (2017). The aspects of semiotics using barthes's theory on a series of unfortunate events movie poster. Diponegoro University. 

  32. Oktaviani, D., & Saudi, M. S. (2020). Analysis of tourism perception us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toward jayagiri hiking trail bandung. Solid State Technology, 63(3), 4009-4018. 

  33. Parsa, R. M., & Torabi, Z. (2015). Explaining the concept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Kuwait Chapter of Arabi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Review, 4(5), 27-43. 

  34. Relph, E. (179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35. Suksri, C., Phongkhieo, N. T., & Emphandhu, D. (2021).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learning experience in nature trail of national park visitors, Kasetsart. Journal of Social Science, 42(2), 339-344. 

  36. Tuan, Y. (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