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3 no.2, 2022년, pp.5 - 31  

김미나 (성동초등학교) ,  강은영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book curation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and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then to propose a plan to activate book curation in school libraries. A list of 304 school libraries in the Busan area was secured us...

주제어

표/그림 (25)

참고문헌 (21)

  1. Act on library Act. No. 17706. 

  2. Ahn, C. H. (2016).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Competencies for Public Library Curation Servic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3. Baek, J. W. & Pyo, S. H. (2020).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3), 115-139. http://dx.doi.org/10.4275/KSLIS.2020.54.3.115 

  4. Baek, J. W. (2018).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 collection: focusing on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4), 51-69. http://dx.doi.org/10.4275/KSLIS.2018.52.4.051 

  5. Cho, S. Y. (2020).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Career Book Curation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for Information Literacy and Career Maturity.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6. Chung, Y. R. & Lee, J. Y. (2017).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27-45.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2.027 

  7. Jang, H. S. (2019).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Book Curation in Public Librarie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8. Kim, J. H. (2020). The Effect of Event Collection Experience on Self-Determining Reading Motivation: Focused on 5th and 6th Grader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9. Kim, M. J., Lee, B. K., & Lim, J. H. (2020). Analysis of priorities for the provision of book curation service by teacher librarian using AH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3), 303-324. http://dx.doi.org/10.16981/kliss.51.3.202009.303 

  10. Kim, Y. S., Park, Y. S., & Lee, Y. J. (2018). Book Curation: Talk with the Books. Gyeonggi-do Library Series 21, Suwon: Gyeonggi-do Cyber Lib. 

  11. Kwak, W. J. & Noh, Y. H.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ation services of specialized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1), 53-7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9.30.1.053 

  12. Kwak, W. J. & Noh, Y. H. (2020). A study on user-library relationship with the library cur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1), 137-162. http://dx.doi.org/10.14699/kbiblia.2020.31.1.137 

  13. Lee, E. J. & Kim. G. Y. (2017).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event collection programs: focusing on Korean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73-110.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1.073 

  14. Lee, G. H. (2021).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y Book Curation Service: Focus on the Pocheon area.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15. Lee, S. M. (2019).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nhancing School Librarians' Expertise and Improverment Measures: Focusing on the Goyang-si in Gyeonggi-do.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16. Ministry of Education (2019). 3rd Comprehensive school Library Advancement Plan (2019-2023). 

  17. Park, Y. H. (2016). A study on the book recommendation standards of book- curation service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79-303. http://dx.doi.org/10.16981/kliss.47.201603.279 

  18. Philip, G.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Lee, J. K. & Jung, Y. J. translated. Seoul: Global Contents. 

  19.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2019).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19-2023). Sejong: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20. Pyo, S. H. & Baek, J. W. (201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me collections through book curation: in-depth interview with public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4), 189-211. http://dx.doi.org/10.4275/KSLIS.2019.53.4.189 

  21. Steven, R. (2019). Curation Nation: How to Win in a World Where Consumers are Creators. Lee, S. Y. translated. Seoul: Econom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