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서 자동인증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의료정보플랫폼 연구
A Study o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Big Data Processing and Edge Computing for Supporting Automatic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23 no.3, 2022년, pp.87 - 95  

함규성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강민구 (Department of IT Contents, Hanshin University) ,  주수종 (Department of Computer.Software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스마트기술의 발달로 의료정보플랫폼에서 환자의 생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인증 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에 있어 환자상황과 이동단말기를 고려한 인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허가를 위해 빅데이터 처리에지컴퓨팅 기반의 자동인증지원 의료정보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 연구된 자동인증 시스템은 응급상황에서 사용자인증과 이동단말기인증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위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인증된 의료진과 이동단말기에 부여하는 인증 시스템이다. 환자의 고혈압, 당뇨와 같은 환자상태를 고려한 응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기법을 제안한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또한 환자의 빠른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에지컴퓨팅을 의료정보 서버 앞단에 두어 의료정보 서버 대신 에지컴퓨팅에서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의료정보 서버는 입력된 환자정보와 축적된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판단수치를 도출하고, 에지컴퓨팅에 전달하여 환자 맞춤형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의료정보플랫폼은 빅데이터 처리와 에지컴퓨팅을 통해 환자상태를 고려하고 응급상황을 빠르게 판단하였으며, 자동인증을 통해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인증과, 환자상황과 의료진의 역할에 따른 접근권한 부여를 통해 환자정보를 보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i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patient's biometric data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accumulated into databas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s. Medical staff can easily access patient information after simple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환자 맞춤형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의료정보 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고혈압, 당뇨, 부정맥과 같은 환자상태를 고려한 환자 맞춤형 응급 상황 판단 수치를 도출하여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이를 에지 컴퓨팅시스템에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의료정보 접근에 대해 자동인증을 적용하여 사용자인증과 이동단말기인증에 대한 동시 인증 및 빠른 인증과 접근 투명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에지컴퓨팅과 빅데이터기술을 적용한 자동인증 지원 의료정보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의료정보 서버에 축적된 환자 생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만성질환에 따른 응급상황 판단수치 도출을 통해 환자맞춤형 응급상황판단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의료정보 접근허가를 위해 4차산업혁명 기술인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 컴퓨팅 기반에 자동인증을 지원하는 의료 정보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응급상황의 빠른 판단을 위해 에지 컴퓨팅을 의료정보 서버 앞단에 두어 환자 응급상황을 판단한다.
  • 그러나 본 혈압 혈당 데이터에 포함된 FBS, SBP, DBP, BMI와 같은 생체데이터 속성들이 실시간 데이터(Real-Time) 개념보다는 정적(Static) 데이터에 가깝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혈압 혈당데이터를 의료정보 빅데이터에 대한 처리방법 연구 및 의료정보플랫폼에 적용 및 활용방안 제시로 연구범위를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 질병과 각 생체데이터 속성을 분석하여 환자 질병과 각 생체데이터별 응급상황 수치를 구분하여 환자상황판단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P. Pace, G. Aloi, R. Gravina, G. Caliciuri & A. Liotta, "An Edge-Based Architecture to Support Efficient Applications for Healthcare Industry 4.0"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15, No.1, pp.481-489, 2019. https://doi.org/10.1109/TII.2018.2843169. 

  2. Carol Habib, Abdallah Makhoul, Rony Darazi, Raphael Couturier, "Health risk assessment and decision-making for patient monitoring and decision-support using Wireless Body Sensor Networks", Information Fusion, Vol.47, pp.10-22, 2019. https://doi.org/10.1016/j.inffus.2018.06.008. 

  3. M. W. L. Moreira, J. J. P. C. Rodrigues, V. Korotaev, J. Al-Muhtadi and N. Kumar, "A Comprehensive Review on Smart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Health Care", IEEE Systems Journal, Vol.13, No.3, pp.3536-3545, 2019. https://doi.org/10.1109/JSYST.2018.2890121. 

  4. Yu, KH., Beam, A.L. & Kohane, I.S,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Nat Biomed Eng, Vol.2, pp.719-731, 2018. https://doi.org/10.1038/s41551-018-0305-z 

  5. Wang, S., Cheng, S., Zhou, X. et al. "Construction of medical equipment-based doctor health monitoring system", J Med Syst, Vol.43, No.138, 2019. https://doi.org/10.1007/s10916-019-1255-z 

  6. Noman Q. Al-Naggar, Husam Mohammed Al-Hammadi, et al. "Design of a Remote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Multiple Physiological Parameters Based on Smartphone", Journal of Healthcare Engineering, Vol.2019, 2019. https://doi.org/10.1155/2019/5674673 

  7. Hyeob Kim, "Blockchain,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38, No.7, pp.25-31, 202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70617 

  8. Ham, Gyu-Sung, and Su-Chong Joo. "Development of Authentication Service Model Based Context-Awareness for Accessing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22, No.1, pp99-107, 2021. 

  9. Yi Yu, Jingsha He, Nafei Zhu, et al. "A new method for identity authentication using mobile terminals", Procedia Computer Science, Vol.131, pp.771-778, 2018. https://doi.org/10.1016/j.procs.2018.04.323. 

  10. J. Song, B. Lee, K. T. Kim and H. Y. Youn, "Expert System-based Context Awareness for Edge Computing in IoT Environment"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18, No.2, pp.21-30, 2017. https://doi.org/10.7472/jksii.2017.18.2.21. 

  11. J. Moon, S. Kum and S. Lee, "A Platform Providing Interactive Signage Based on Edge-cloud Cooperatio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20, No.2, pp.39-49, 2019. https://doi.org/10.7472/jksii.2019.20.2.39. 

  12. I. V. Pustokhina, D. A. Pustokhin, D. Gupta, A. Khanna, & G. N. Nguyen, "An Effective Training Scheme for Deep Neural Network in Edge Computing Enabled Internet of Medical Things (IoMT) Systems" in IEEE Access, Vol.8, pp.107112-107123, 2020. https://doi.org/10.1109/ACCESS.2020.3000322. 

  13. M. A. Rahman, M. S. Hossain, N. A. Alrajeh and N. Guizani, "B5G and Explainable Deep Learning Assisted Healthcare Vertical at the Edge: COVID-I9 Perspective" in IEEE Network, Vol.34, No.4, pp.98-105, 2020. https://doi.org/10.1109/MNET.011.2000353. 

  14. Min Chen, Wei Li, Yixue Hao, Yongfeng Qian and Iztok Humar, "Edge cognitive computing based smart healthcare system",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Vol.86, pp.403-411, 2018. https://doi.org/10.1016/j.future.2018.03.054. 

  15. Su-Chong Joo, "Automatic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Dynamic Context for Transparent Access for Medical Information", Patent Number : 10-2026018, Registration Data : 2019.9.20. https://doi.org/10.8080/1020260180000 

  16. G.S. Ham, S.C. Joo,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Patient's Situations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JISC, Vol.45, No.5, pp.914-925. 2020. https://doi.org/10.7472/JKSII.2020.21.4.25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NHISS) Korea. https://nhiss.nhis.or.kr/bd/ab/bdabf003cv.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