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복지대상자의 생활 및 건강에 대한 연구: 성별, 자녀유무, 가구형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Life and Health Status of Welfare Recipients after COVID-19: Focus on Group Differences by Gender, Living with Children and Household Typ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7, 2022년, pp.384 - 394  

김희주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장연진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복지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자녀유무, 가구형태)에 따른 생활 및 건강 문제들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구에 거주하는 행복e-음 대상자 중 5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생활영역, 신체적, 정신적 건강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t-test와 ANOVA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과 자녀 돌봄, 여가 및 문화활동, 전반적인 사회활동의 제한과 관련된 어려움에서 성별과 자녀유무 또는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19 이전 보다 이후에 정신건강 상태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블루와 죽음에 대한 생각과 관련해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사회에서 필요한 복지서비스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OVID-19 affected life and health of welfare recipients by comparing groups associated with sex, living with children, and household type and suggest directions for welfare policy and services. Researchers collected a random sample of 500 recipients from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복지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동거 자녀 유무, 가구 형태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어려움과 건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00구 복지대상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Mutter, 재난불평등: 왜 재난은 가난한 이들에게만 가혹할까(장상미 역), 파주: 동녘, 2016. 

  2.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30권, 제4호, pp.113-145, 2020. 

  3. 여유진, "소득보장정책 전망과 과제: 취약계층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291호, pp.23-34, 2021. 

  4. J. Patel. A. Nielsen, F. Badiani, A. Assi, S. Unadkat, B. Patel, R. Ravindrane, and H. Wardle, "Poverty, inequality and COVID-19: the forgotten vulnerable," Public Health, Vol.183, pp.110-111, 2020. 

  5. 손병돈, 문혜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누구에게 집중되었는가?," 한국사회복지학, 제73권, 제3호, pp.9-31, 2021. 

  6. 박정란, 황세인, "코로나19 상황하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연구," 생애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01-118, 2021. 

  7.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손서희,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3-20, 2020. 

  8. 신영미, 권순범, "코로나19로 인한 빈곤가정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행복감의 관계," 아동과 권리, 제25권, 제2호, pp.227-245, 2021. 

  9. J. Fegert, B. Vitiello, P. Plener, and V. Clemens, "Challenges and burden of the coronavirus 2019 (COVID-19) pandemic for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 narrative review to highlight clinical and research needs in the acute phase and the long return to normalit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Vol.14, pp.1-11, 2020. 

  10. 김영란, 코로나19 시기 가족생활과 가족 정책 의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pp.2-36, 2020. 

  11. K. Power,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the care burden of women and families," Sustainability: Science, Practice and Policy, Vol.16, No.1, pp.67-73, 2020. 

  12. S. S. Park, "Caregivers' mental health and somatic symptoms during COVID-19," Journals of Gerontology: Seroes B, Vol.75, No.4, pp.e235-e240, 2020. 

  13. P. Willner, J. Rose, B. S. Kroese, G. H. Murphy, P. Langdon, C. Clifford, H. Hutchings, A. Watkins, S. Hiles, and V. Cooper,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care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33, No.6, pp.1-11, 2020. 

  14. A. Maslow and K. J. Lewis, "Maslow's hierarchy of needs," Salenger Incorporated, Vol.14, p.987, 1987. 

  15. B. J. Ryan, D. Coppola, D. V. Canyon, M. Brickhouse, and R. Swienton, "COVID-19 community stabilization and sustainability framework: An integration of the Maslow hierarchy of needs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pp.1-7, 2020. 

  16. 이혜임, 강상조, "COVID-19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60권, 제3호, pp.247-259, 2021. 

  17. 심민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 대한내과학회지, 제95권, 제6호, pp.360-363, 2020. 

  18. 김진희, "코로나19 유행의 건강형평성, 건강도시에 서의 함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7권, 제4호, pp.81-89, 2020. 

  19. A. Carvalho and S. de Sousa, "Impact of social distancing on mental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an urgent discussion," Int J Soc Psychiatry, Vol.66, pp.625-626, 2020. 

  20. 백은미, "코로나 시대의 취약계층근로자의 건강권보호," 비판건강정책, 제1권, 제1호, pp.26-32, 2021. 

  21. 조숙인,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영유아 정신건강지원 방안," 육아정책포럼, 제65권, pp.20-27, 2020. 

  22.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청소년 종합상담시스템 '다들어줄 개' 상담 현황 결과, 2020. 

  23. 주석진, "코로나 19로 인한 생활변화가 아동과 보호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70권, 제2호, pp.67-99, 2021. 

  24. 이언숙, 신호철, 양윤준, 조정진, 안귀여루, 김석현, 윤영숙, 국민건강영양조사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validity 조사, 질병관리본부, 2010. 

  25. 오은진,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여성 노동자 특성과 소득보장정책의 성인지성 검토, 한국여성정책연구,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