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분석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낙동강 하굿둑 염분 예측
Prediction of Salinity of Nakdong River Estuary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for Time Series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4 no.4, 2022년, pp.128 - 134  

우정운 (인제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  김연중 (인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윤종성 (인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굿둑은 올해 2022년 해수 유입기간을 매월 대조기마다로 확대, 하굿둑 상류 15 km 이내로 기수역 조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목표 기수역 조성구간 및 염수피해 방지를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 Long Short-Term Memory(LSTM)을 적용하여 낙동대교(하굿둑 상류 약 5 km)지점의 염분 예측을 수행하였다. 창녕·함안보 방류량 등 낙동강 하구역의 시·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입력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Sequence length에 따른 정도 변화를 통해 낙동강 하구역의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모델을 구축하였다. 예측 정확도는 결정계수(R-squred)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equence length가 12일 때 R-squred 0.997, RMSE 0.122로 가장 정도가 높았으며, 선행 예측시간은 12시간 간격까지 R -squred 0.93 이상으로 높은 정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kdong river estuary is being operated with the goal of expanding the period of seawater inflow from this year to 2022 every month and creating a brackish water area within 15 km of the upstream of the river bank. In this study, the deep learning algorithm Long Short-Term Memory (LSTM) was applied ...

주제어

참고문헌 (15)

  1. Ahn, J.M., Lee, K. and Lyu, S. (2020). Effect of changes in watershed runoff characteristics on salinity intrusion in estuary using EFDC. KSCE J. Civ. Eng., 24(1), 87-98. 

  2. Barzegar, R., Aalami, M.T. and Adamowski, J. (2020). Short-term water quality variable prediction using a hybrid CNN-LSTM deep learning model.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34(2), 415-433. 

  3. Blumberg, A.F. and Mellor, G.L.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Models, 4, 1-16. 

  4. Chen, W., Liu, W., Huang, W. and Liu, H. (2017). Prediction of salinity variations in a tidal estuar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s. Comput. Water Energy Environ. Eng., 06, 107-128. 

  5. Han, C.-S., Park, S.-K., Jung, S.-W. and Roh, T.-Y. (2011). The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3(1), 101-108 (in Korean). 

  6. Hochreiter, S. and chmidhuber, J. (1997).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9(8), 1735-1780. 

  7. Jeong, S., Lee, S., Hur, Y.T., Kim, Y. and Kim, H.Y. (2022). Development of seawater inflow equations considering density difference between seawater and freshwater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5(5), 383-392 (in Korean). 

  8. Kim, T. (2020). Study on th Behavior Analysis of Salt W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Inje University. 

  9. Kim, T. and Lee, W.-D. (2022). Review on ap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in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J. Ocean Eng. Technol., 36(3), 194-210. 

  10. Lee, S.-M., Park, K.-D. and Kim, I.-K. (2020).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Chl-a prediction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focusing on water quality and quantity factors).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34, 277-288 (in Korean). 

  11. Melesse, A.M., Khosravi, K., Tiefenbacher, J.P., Heddam, S., Kim, S., Mosavi, A. and Pham, B.T. (2020). River water salinity prediction using hybrid machine learning models. Water, 12, 2951. 

  12. Park, S. and Kim, K. (2021). Prediction of DO concentration in nakdong river estuary through case study based on long short term memory model.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33(6), 238-245 (in Korean). 

  13. Parsa, J., Etemad-Shahidi, A. and Hosseiny, S. (2007). Evaluation of computer and empirical models for prediction of salinity intrusion in the bahmanshir estuary. J. Coast. Res., 50(SI), 658-662. 

  14. Seo, I.W. and Yun, S.H. (2016). Forcasting water quality by ANN model at the downstream of cheongpyeong dam. KSCE 2016 CONVENTION PROGRAM, 41-42. 

  15. Yang, H., Lee, K., Choo, Y. and Kim, K. (2020). Underwater acoustic research trends with machine learning: Ocean parameter inversion applications. J. Ocean Eng. Technol., 34(5), 371-3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