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논문검색시스템의 수요와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
Measuring the Economic Use Value of the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for Accessing Research Pape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3, 2022년, pp.313 - 334  

표순희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정연 (중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문선웅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AccessON)의 하위시스템인 OA 논문검색(Discover)의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OA 및 OA 지원시스템과 관련한 문헌연구, 가치측정을 위한 심층면담을 통해 해당 서비스의 가치를 시간절감가치로 규명하였고 국내 연구자 1,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자 개인의 연간 절감시간가치를 측정하였다. 가치 산출에 필요한 논문검색시간, 논문출판건수, 논문 한편 당 참고문헌 건수 등과 같은 요소들을 국내 연구자들의 실제 학술활동에 기반하여 측정하는 한편, 연도별 Discover 이용자 규모 및 총 이용량 등을 추정하여 총 이용가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연구자는 연간 2.84편의 논문을 출판하고, 논문 1편을 검색하고 이용하는데 30.13분이 소요되며 Discover로 인해 5.64분이 절감되어 연구자 1인은 연간 총 225분, 99,384원을 절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파악된 기초 데이터에 총 이용 추정치를 적용한 결과, 8년간의 사업기간 동안 총 820억 원의 경제적 가치가 산출되었고, OA논문을 의무기탁하는 법제화 상황에서는 추가적으로 113억 원의 가치가 창출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국가 OA논문 통합서비스플랫폼 사업 투자가 충분한 경제적 가치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학술연구 관련 경제성 평가에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국내 기반 데이터를 산출했다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use value of Discover, an access service of research papers and a subsystem of the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Access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on scholarly communic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4 academic and industrial researchers, the service valu...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23)

  1. Cha, Mikyeong, Song, Kyeong-Jin, & Kim, Na-Young (2017). A study on improving laws and regulations for open access of research papers from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1), 147-174. 

  2. KIm, Gyuhwan (2022).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open access to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based on articles cit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4), 207-223. 

  3. Kim, Hwan-Min, Kim, Hyesun, & Jeong, Jinwoo (2022). Trends of Korean OA publications. KISTI Issue Brief, 42, 1-12.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 

  4.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20). 2019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y Survey. Available: https://www.kistep.re.kr/board.es?mida10305080000&bid0002&actview&list_no25249&tag&nPage2 

  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0). Analysis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KESLI Consortium Business. 

  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9). A Study on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Open Access to Publicly Funded Research Papers.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22). About AccessON. AccessON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homepage. Available: https://accesson.kisti.re.kr/guide/koar/intro.do 

  8. Korea Legislation Institute (2017). A Legislative Study on the Diffusion of Open Accesses. 

  9.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5). Analysis of Economic Value and Social Effect of KCI Business. 

  10. Park, Seo Hyun & Jeong, Kyung Hee. ed. (2022). Share Your Knowledge: Korea Open Access Movement. Seoul: BBalgansogum. 

  11. Biglu, Mohammad-Hossein (2008). The Influence of References per Paper in the SCI to Impact Factors and the Matthew Effect. Scientometrics.March 2008 

  12. Elliott, Dondald S., Holt, Glen E., Hayden, Sterling W., & Holt, Leslie Edmonds (2007). Measuring your library's value. Chicago: ALA. 

  13. Fell, M. J. (2019). The economic impacts of open science: a rapid evidence assessment. Publications, 7(3), 46. https://doi.org/10.3390/publications7030046 

  14. Houghton, J. W. (2009). Open Access: What are the economic benefits? A comparison of the United Kingdom, Netherlands and Denmark. SSRN Electronic Journal. DOI:10.2139/ssrn.1492578 

  15. Houghton, J. W., Rasmussen, B., Sheehan, P., Oppenheim, C., Morris, A., Creaser, C., Greenwood, H., Summers, M. A., & Gourlay, A. (2009). Economic implications of alternative scholarly publishing models: Exploring the costs and benefits. JISC EI-ASPM Project. A report to the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16. Hwang, H., Seo, T., Han, Y., & Ko, S. (2019). Estimating the impacts of investment in a national open repository on funded research output in South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7(1), 39-51. https://doi.org/10.1633/JISTaP.2019.7.1.4 

  17. Jubb, M. (2011). Heading for the open road: costs and benefits of transitions in scholarly communications. Liber Quarterly, 21(1), 102-124. 

  18. Kingma, Bruce R. (2001).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a guide to economic and cost-benefit analysis for information professinals. 2nd ed.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19. Look, H. & Marsh, K. (2012). Benefits of Open Access to Scholarly Research to the Public Sector. London: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Available: https://wiki.lib.sun.ac.za/images/e/e3/Report-to-oauk-benefits-of-open-access-public-sector.pdf 

  20. Parsons, D., Willis, D., & Holland, J. (2011). Benefits to the Private Sector of Open Access to Higher Education and Scholarly Research. London: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Availble: https://wiki.lib.sun.ac.za/images/5/5c/Report-to-oauk-benefits-of-open-access.pdf 

  21. Tennant J. P., Waldner, F., Jacques, D. C., Masuzzo, P., Collister, L. B., & Hartgerink, C. H. J. (2016). The academic, ec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open access: an evidence-based review [version 3; peer review: 4 approved, 1 approved with reservations]. F1000Research 2016, 5: 632. https://doi.org/10.12688/f1000research.8460.3 

  22. Tenopir, C. & King, D. W. (2000). Towards electronic journals: realities for scientists, librarians and publishers, SLA Publishing 

  23. Tenopir, C., King, D. W., Edwards, S., & Wu, L. (2009). Electronic journals and changes in scholarly article seeking and reading patterns. Aslib Proceedings, 61(1), 5-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