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형/비정형 데이터 기반 사회재난 안전 플랫폼 설계
A Design of the Social Disasters Safety Platform based on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3 = no.57, 2022년, pp.609 - 621  

이창열 (Department of Computer Enginnering, Dongeui University) ,  박길주 (MiraeIT Inc.) ,  김정곤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  김태환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Yong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자연재난은 행정안전부가 재난관리 주관기관으로 관리체계가 잘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사회재난은 그 관리가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어 통합적인 관점의 관리가 부실한 상태이다.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 구성과 플랫폼 개발을 통하여 지자체 등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각 부처별로 분산된 재난 정보로 사고조사 보고서(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재난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할 수 있는 DB 구축과, 인명 피해 중심의 사회 재난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통한 재난 관리체계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사고 진행에 대한 인명 피해 예측과 사고 원인 추론 체계를 제시한다. 연구결과: 정형 및 비정형 재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설계, 인명중심 사회재난 위험성 평가 방법 제시, 그리고 실시간 재난 모니터링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는 체계 설계,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결론: 사회재난 정보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과 사고조사를 통한 인명피해 원인과 위험도를 제시하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atural Disaster has well formed framework more than social disaster, because natural disaster is controlled by one department, such as MOIS, but social disaster is distributed. This study is on the design of the integrated service platform for the social diaster data. and then, apply to th...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이러한 관점에서 첫째 사회재난에 대한 플랫폼과 같은 시스템 구축으로 사회재난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며, 둘째 이러한 플랫폼은 비정형 데이터의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며, 셋째 위험성 평가를 통한 재난 관리 효율화를 인명 중심의 위험성 평가를 도입하여 지자체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본 연구는 첫째 사고조사 보고서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표준 입력 체계를 제시하고, 직접 연계, 간접연계(입력) 체계를 마련하였고, 둘째 풍부한 정보가 담겨져 있는 사고조사보고서 등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자동 추출하는 AI 기반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셋째 기존 사회재난의 위험성 평가에 인명 피해 관련 사항을 연계한 인명 중심의 위험성 평가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 표준화는 위 그림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수행하였고, 부처별 사고조사보고서의 공통 데이터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특히 재난 위험도 평가를 위한 발생위험, 피해 정도, 재난 원인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Gumi City (2018). Final Report of the Disaster Response Standard Framework. South Korea. 

  2. Incheon Metropolitan City (2020). Disaster Resources Stock up Plan. South Korea. 

  3. Lee, C.Y., Kim, T.-H. (2021). "A study of the standard structure for the social disaster and safety incidents data."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4, pp 817-828. 

  4. MOIS (2016). Disaster Accident Management Operation Support System. South Korea. 

  5. MOIS (2018a). Development of Social Disaster Risk Index, South Korea. 

  6. MOIS (2020a). Development of Social Disaster Risk Analysis Model and Applying to the Local Governments. South Korea. 

  7. MOIS (2020b). Development of Social Hazard Diagnosis Model for Local Governments. South Korea. 

  8. NDMI (2018a). Development of Horizon Scanning Technology for Weak Signal of Future Emerging Disaster based on Big Data. South Korea. 

  9. NDMI (2018b). Risk Register Report, 11-1741056-000004-14, South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