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와 현실충격 및 극복력
A Study of Intention to Stay, Reality Shock, and Resilience among New Graduate Nur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0, 2022년, pp.320 - 329  

김소영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  현명선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일개의 대학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30일부터 2021년 1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는 현실충격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극복력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직 만족도, 현실충격, 임상경력, 극복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4.2%이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임상상황에 대한 사전경험이나 훈련을 통해 현실충격을 줄이고,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직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지체계와 근무환경을 구축하고, 신규간호사의 업무적응을 돕는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stay among new graduate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27 new graduate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43)

  1. 전재희, 염영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03-313, 2014. 

  2. 김진현, 배현지, 정수용, "간호사인력의 수급 현황과 중장기 추계,"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9권, 제2호, pp.1083-1097, 2017. 

  3. 병원간호사회, 2021년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22. 

  4. 이은희, 조경숙, 손행미,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 임상간호연구, 제20권, 제1호, pp.15-27, 2014. 

  5. L. Cowin,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J.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2, No.5, pp.283-291, 2002. 

  6. 손행미, 이은희, 조경숙,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05-216, 2017. 

  7. 최순옥, 김지현, "임상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42-152, 2013. 

  8. 전미경, 한수정, "간호사가 지각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532-541, 2019. 

  9. 윤희장,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측정도구 개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0. 임효진,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관련 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1. 신경미, 권정옥, 김은영,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92-301, 2014. 

  12. 김미정, 신수진, 이인영, "병원 신규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 주제범위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회지, 제32권, 제5호, pp.440-454, 2020. 

  13. 고영진, 한수정, "역경지수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실충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26권, 제5호, pp.457-467, 2020. 

  14. 박미미, 박지원,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2-41, 2016. 

  15. 김순이, 박영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03-111, 2020. 

  16. C. A. DuBois and J. F. Z. Gonzalez, "Implementing a Resilience-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ing Graduates," J.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Vol.34, No.5, pp.263-269, 2018. 

  17. 김은경, 정면숙, 김종경, 유선주,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사회화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26권, 제1호, pp.31-41, 2020. 

  18. 지은아, 김지수, "근무 기간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횢, 제24권, 제1호, pp.51-60, 2018. 

  19. 박점미, 신나연,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력,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277-284, 2019. 

  20. 권순정, 강문희,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7권, 제3호, pp.159-168, 2021. 

  21. 전주나, 이승희, "종합병원 신입간호사가 인식하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7권, 제4호, pp.291-300, 2021. 

  22. 이내영, 이선옥, 황진희,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4권, 제3호, pp.1479-1491, 2012. 

  23. 이선영, 이지현,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전문직관과 보상공정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4회, pp.677-693, 2020. 

  24. J. D. Szalmasagi, "Efficacy of a Mentoring Program on Nurse Retention and Transition into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tudies in Nursing, Vol.3, No.2, pp.31-39, 2018. 

  25. 김민정,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6. 고진희, 구미옥,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69-380, 2020. 

  27. 박광옥, 김종경, "임상 신규간호사의 상급 초보자에 서 적임자로 되어가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94-605, 2013. 

  28. 지은아, 김지수, "근무 기간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1-60, 2018. 

  29. 김미영, 서형은, 이지애, 박진화, "신규간호사의 일의 의미, 조직몰입, 전문직 자기이미지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제28권, 제1호, pp.54-65, 2022. 

  30. 송은정, 김미선, 이주희, 전미양, "신규간호사의 현실 충격과 교육전담간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6권, 제3호, pp.344-351, 2020. 

  31. 차보경, 최정,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05-416, 2015. 

  32. 황은희,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극복력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530-539, 2018. 

  33. E. B. Yilmaz,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truggling against Challenges Related to the Nursing Profession," Chinese Nursing Research, Vol.4, No.1, pp.9-13, 2017. 

  34. 김은영, 김선희, 오윤경,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동료지지, 일과 생활의 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9, 2021. 

  35. 송은정, 김미선, 이주희, 전미양, "신규간호사의 현실 충격과 교육전담간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6권, 제3호, pp.344-351, 2020. 

  36. 신수진, 김순희, "비판적 성찰 훈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의 경험," 질적연구, 제20권, 제1호, pp.60-67, 2019. 

  37. 이영희, 안혜영, "저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5권, 제3호, pp.331-343, 2019. 

  38. S. H. Chen, S. C. Chen, S. C. Lee, Y. L. Chang, and K. Y. Yeh, "Impact of Interactive Situated and Simulated Teaching Program on Novice Nursing Practitioners' Clinical Competence, Confidence, and Stress," Nurse Education Today, Vol.55, pp.11-16, 2017. 

  39. 오은주, 정경숙, "일 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감정소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467-477, 2019. 

  40.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제21권, 제2호, pp.112-122, 2019. 

  41. C. M. Eckerson, "The Impact of Nurse Residency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n Improving Retention and Satisfaction of New Nurse Hires: An Evidence-based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71, pp.84-90, 2018. 

  42. T. A. Hudgin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in Nurse Leaders," J. of Nursing Management, Vol.24, No.1, pp.E62-E69, 2016. 

  43. H. Wei, P. Roberts, J. Strickler, and R. W. Corbett, "Nurse Leaders' Strategies to Foster Nurse Resilience," J. of Nursing Management, Vol.27, pp.681-687,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