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적용 가능성 검토
Review of Remote Sensing Applicability for Monitoring Marine Microplastic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3, 2022년, pp.835 - 850  

박수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김창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정성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장성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김수빈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하태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한경수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양민준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모든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이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 해양 미세플라스틱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는 대규모의 실시간 관측이 가능한 원격탐사 기술을 해양 플라스틱 모니터링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해양 미세플라스틱 원격탐사 관련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중대형 해양 플라스틱 원격탐사 연구만 일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국외에서 수행된 해양 플라스틱 원격탐사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국내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시 원격탐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여 앞으로 국내에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plastics have arisen as a worldwide environmental concern, becoming ubiquitous in all marine compartments, and various researches on monitoring marine microplastic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Recently, application of a remote detection technology that enables large-scale real-tim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양 플라스틱 원격탐사에 관한 주요 성과를 정리하고 국외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해양 미세플라스틱에서의 원격탐사 적용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고 미세플라스틱 관련 국내 연구의 방향성과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해양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원격탐사를 적용한 국내외의 연구사례 조사를 통해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원격탐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에서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에 원격탐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광대역 광원 및 고출력 레이저 등을 광원으로 이용하여 SNR을 높이고 근거리 원격탐사 플랫폼과 결합하여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원격탐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해당 연구는 해양에서 거대 플라스틱을 탐지, 식별, 특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원격탐사로 고품질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해양 플라스틱 식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 적용 결과, 많은 수의 픽셀이 플라스틱의 스펙트럼과 유사하게 나타났다(87%, 77%, 100%, 83%). 해당 연구는 해양에서 거대 플라스틱을 탐지, 식별, 특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원격탐사로 고품질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해양 플라스틱 식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 또한, 미세플라스틱과 해수의 기여도를 구분하여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 100% 미세플라스틱에서 가장 높은 반사율과 흡수 스펙트럼이 확인되었으며, 75%, 50%, 25%, 해수의 순서로 낮게 측정되었다. 해당 연구의 저자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습식 미세플라스틱과 건식 미세플라스틱의 반사율과 흡수 특성의 차이를 활용하여 해양 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원격탐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S. K., K. E. Kim, J. S. Kim, S. G. Park, and M. T. Lim, 2004. Geophysics Exploration, Proc. of 2004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Conference, Chuncheon, Korea, Apr. 30-May 1, vol. 1, pp 1-97. 

  2. Balsi, M., M. Moroni, V. Chiarabini, and G. Tanda, 2021. High-resolution aerial detection of marine plastic litter by hyperspectral sensing, Remote Sensing, 13(8): 1557. https://doi.org/10.3390/rs13081557 

  3. Biermann, L., D. Clewley, V. Martinez-Vicente, and K. Topouzelis, 2020. Finding plastic patches in coastal waters using optical satellite data, Scientific Reports, 10(1): 1-10. https://doi.org/10.1038/s41598-020-62298-z 

  4. Cincinelli, A., C. Scopetani, D. Chelazzi, E. Lombardini, T. Martellini, A. Katsoyiannis, M. C. Fossi, and S. Corsolini, 2017. Microplastic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Ross Sea (Antarctica): Occurrence,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by FTIR, Chemosphere, 175: 391-400.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17.02.024 

  5. Claessens, M., S. De Meester, L. Van Landuyt, K. De Clerck, and C. R. Janssen, 2011.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in marine sediments along the Belgian coast, Marine Pollution Bulletin, 62(10): 2199-2204.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1.06.030 

  6. Cole, M., P. Lindeque, E. Fileman, C. Halsband, R. Goodhead, J. Moger, and T. S. Galloway, 2013. Microplastic ingestion by zooplankt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7(12): 6646-6655. https://doi.org/10.1021/es400663f 

  7. Davaasuren, N., A. Marino, C. Boardman, M. Alparone, F. Nunziata, N. Ackermann, and I. Hajnsek, 2018. Detecting microplastics pollution in world oceans using SAR remote sensing, Proc. of 2018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Valencia, Spain, Jul. 22-27, pp. 938-941. https://doi.org/10.1109/IGARSS.2018.8517281 

  8. Freitas, S., H. Silva, and E. Silva, 2021. Remote hyperspectral imaging acquisition and characterization for marine litter detection, Remote Sensing, 13(13): 2536. https://doi.org/10.3390/rs13132536 

  9. Garaba, S.P., J. Aitken, B. Slat, H.M. Dierssen, L. Lebreton, O. Zielinski, and J. Reisser, 2018. Sensing ocean plastics with an airborne hyperspectral shortwave infrared imag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2(20): 11699-11707. https://doi.org/10.1021/acs.est.8b02855 

  10. Garaba, S.P. and H.M. Dierssen, 2018. An airborne remote sensing case study of synthetic hydrocarbon detection using short wave infrared absorption features identified from marine-harvested macroand microplastic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05: 224-235. https://doi.org/10.1016/j.rse.2017.11.023 

  11. Goddijn-Murphy, L., S. Peters, E. Van Sebille, N.A. James, and S. Gibb, 2018. Concept for a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algorithm for floating marine macro plastics, Marine Pollution Bulletin, 126: 255-262.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7.11.011 

  12. Guffogg, J.A., S.M. Blades, M. Soto-Berelov, C.J. Bellman, A.K. Skidmore, and S.D. Jones, 2021. Quantifying marine plastic debris in a beach environment using spectral analysis, Remote Sensing, 13(22): 4548. https://doi.org/10.3390/rs13224548 

  13. Guven, O., K. Gokdag, B. Jovanovic, and A. E. Kideys, 2017. Microplastic litter composition of the Turkish territorial waters of the Mediterranean Sea, and its occurrenc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fish, Environmental Pollution, 223: 286-294. https://doi.org/10.1016/j.envpol.2017.01.025 

  14. Han, S.H., D.G. Kim, H.Y. Jung, and S.H. Kim, 2019. Study on Real Time Sensor Monitoring Systems Based on Pulsed Laser for Microplastic Detection in Tap Water,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8(5): 294-2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369/JSST.2019.28.5.294 

  15. Huth-Fehre, T., R. Feldhoff, T. Kantimm, L. Quick, F. Winter, K. Cammann, W. Van den Broek, D. Wienke, W. Melssen, and L. Buydens, 1995. NIR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rapid identification of post consumer plastics, Journal of Molecular Structure, 348: 143-146. https://doi.org/10.1016/0022-2860(95)08609-Y 

  16. Jambeck, J.R., R. Geyer, C. Wilcox, T.R. Siegler, M. Perryman, A. Andrady, R. Narayan, and K.L. Law, 2015.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 into the ocean, Science, 347(6223): 768-771. https://doi.org/10.1126/science.1260352 

  17. Jang, S., J.-H. Kim, and J. Kim, 2021. Detection of Microplastics in Water and Ice, Remote Sensing, 13(17): 3532. https://doi.org/10.3390/rs13173532 

  18. Kim, H.-M., H. Yoon, S. Jang, and Y. Chung, 2017. Detection method of river floating debri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spectral senso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1): 537-5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7.33.5.1.7 

  19. La Daana, K.K., R. Officer, O. Lyashevska, R.C. Thompson, and I. O'Connor, 2017. Microplastic abundanc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along a latitudinal gradient in the Atlantic Ocean, Marine Pollution Bulletin, 115(1-2): 307-314.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6.12.025 

  20. Law, K.L., N. Starr, T.R. Siegler, J.R. Jambeck, N.J. Mallos, and G.H. Leonard, 2020. The United States' contribution of plastic waste to land and ocean, Science Advances, 6(44): eabd0288. https://doi.org/10.1126/sciadv.abd0288 

  21. Masoumi, H., S.M. Safavi, and Z. Khani, 2012.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lastic resins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and Industrial Engineering, 6: 213-220. https://doi.org/10.5281/zenodo.1076916 

  22. Peiponen, K.-E., J. Raty, U. Ishaq, S. Pelisset, and R. Ali, 2019. Outlook on optical identification of micro-and nanoplastics in aquatic environments, Chemosphere, 214: 424-429.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18.09.111 

  23. Smith, M., D.C. Love, C.M. Rochman, and R.A. Neff, 2018. Microplastics in seafood and the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Current Environmental Health Reports, 5(3): 375-386. https://doi.org/10.1007/s40572-018-0206-z 

  24. Topouzelis, K., D. Papageorgiou, A. Karagaitanakis, A. Papakonstantinou, and M. Arias Ballesteros, 2020. Remote sensing of sea surface artificial floating plastic targets with Sentinel-2 and unmanned aerial systems (plastic litter project 2019), Remote Sensing, 12(12): 2013. https://doi.org/10.3390/rs12122013 

  25. Topouzelis, K., A. Papakonstantinou, and S.P. Garaba, 2019. Detection of floating plastics from satellite and unmanned aerial systems (Plastic Litter Project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79: 175-183. https://doi.org/10.1016/j.jag.2019.03.011 

  26. Van Cauwenberghe, L., A. Vanreusel, J. Mees, and C.R. Janssen, 2013. Microplastic pollution in deepsea sediments, Environmental Pollution, 182: 495-499. https://doi.org/10.1016/j.envpol.2013.08.013 

  27. Wang, W. and J. Wang, 2018. Investigation of microplastics in aquatic environments: an overview of the methods used, from field sampling to laboratory analysis, TrAC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108: 195-202. https://doi.org/10.1016/j.trac.2018.08.026 

  28. Zhang, Y., M. Hallikainen, H. Zhang, H. Duan, Y. Li, and X. San Liang, 2018. Chlorophyll-a estimation in turbid waters using combined SAR Data with hyperspectral reflectance Data: A case study in Lake Taihu, Chin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11(4): 1325-1336. https://doi.org/10.1109/JSTARS.2017.2789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