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생태계 보호 기반의 해양 미세플라스틱 위해성평가 전략
Governance Strategy for Marine Microplastic Risk Assessment based on Ecosystem Protection 원문보기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v.8 no.1, 2023년, pp.87 - 92  

정지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심원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김문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환경 내 어디에나 존재하며 크기, 모양 또는 유형의 표준화된 입자가 아니다. 따라서 독성자료를 바탕으로 해수, 퇴적물 등 해양환경의 다차원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하는 위험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 미세플라스틱의 특징과 영향을 조사하였고, 해양환경 미세플라스틱의 분포와 생물영향에 따른 위해도 평가 프레임워크(초안)를 제안하고 있다. 환경 미세플라스틱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독성 데이터는 독특한 형태와 유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험실 노출 생물과 관리해야 하는 생물 종도 다르다. 실제적으로, 지금까지의 수집된 연구결과는 위해성평가에 활용하기에 독성 데이터 품질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기도 하며, 전통적인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는 데 있어 고려할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미세플라스틱 관리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해양환경의 미세플라스틱 오염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해양환경의 미세 플라스틱 특성에 기초한 위해성평가 기법 구축에 대한 추가 연구가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plastic particles are ubiquitous in the environment and not standardized particles of size, shape, or type. Therefore, it is very limited to establish a risk assessment framework that accurately evaluated and manage the multi-dimension of marine environment including seawater and sediment based...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실제, 모든 미세플라스틱의 특성에 대한 독성자료도 미흡하며, 더욱이 위해성평가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태계 오염빈도가 높은 미세플라스틱의 특성(크기, 모양, 재질)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독성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한다.
  • 따라서 미세플라스틱은 생태계 영향기반의 생물서식 매질에 따라 체계적이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양환경오염 미세플라스틱으로부터 연안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다음의 3가지 고려사항을 제안하고, 해양생태계 보호기준을 시범도출 하는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실, 미세플라스틱은 환경 중에 존재하는 화학오염물질과 매우 다른 특성(비균질성/입자/비정형화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통적인 위해성평가 방법으로 정확하게 보호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 본 저자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해양오염현황 및 생물영향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해양환경을 관리보호하기 위한 위해성평가 프로세스 등을 제시 하였다. 위해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과학자 그룹과 환경을 관리하는 주체인 이해당사자(국가/지자체 등)간의 소통을 통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근거로서, 이해당사자는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도출된 과학적 근거를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평가, 조치, 결정 등을 거쳐 사실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위해도(risk characterization) 수준에 맞는 조치와 결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omar C, Sureda A, Capo X, Guijarro B, Tejada S, Deudero S. 2017. Microplastic ingestion by Mullus surmuletus Linnaeus, 1758 fish and its potential for causing oxidative stress. Environ Res 159: 135-142. 

  2. Andrady AL. 2011.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 Pollut Bull 62: 1596-1605. 

  3. Avio CG, Gorbi S, Milan M, Benedetti M, Fattorini D, D'Errico G, Pauletto G, Bargelloni L, Regoli F. 2015. Pollutants bioavailability and toxicological risk from microplastics to marine mussels. Environ Pollut 198: 211-222. 

  4. Barboza LGA, Gimenez BCG. 2015.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current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Mar Pollut Bull 97: 5-12. 

  5. Barboza LGA, Lopes C, Oliveira P, Bessa F, Otero V, Henriques B, Raimundo J, Caetano M, Vale C, Guilhermino L. 2020. Microplastics in wild fish from North East Atlantic Ocean and its potential for causing neurotoxic effects, lipid oxidative damage, and human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ingestion exposure. Sci Total Environ 717: 134625. 

  6. Besseling E, Redondo-Hasselerharm P, Foekema EM, Koelmans AA. 2019. Quantifying ecological risks of aquatic micro-and nanoplastic. Crit. Rev. Environ Sci Technol 49: 32-80. 

  7. Burns EE, Boxall AB. 2018. Microplasti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Evidence for or against adverse impacts and major knowledge gaps. Environ Toxicol Chem 37: 2776-2796. 

  8. Everaert G, Van Cauwenberghe L, De Rijcke M, Koelmans AA, Mees J, Vandegehuchte M, Janssen CR. 2018. Risk assessment of microplastics in the ocean: Modelling approach and first conclusions. Environ Pollut 242: 1930-1938. 

  9. Fonte E, Ferreira P, Guilhermino L. 2016. Temperature rise and microplastics interact with the toxicity of the antibiotic cefalexin to juveniles of the common goby (Pomatoschistus?microps): Post-exposure predatory behaviour,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Aquat Toxicol 180:?173-185. 

  10. Frias JP, Sobral P, Ferreira AM. 2010. Organic pollutants in?microplastics from two beaches of the Portuguese coast.?Mar Pollut Bull 60: 1988-1992. 

  11. Gambardella C, Morgana S, Ferrando S, Bramini M, Piazza V, Costa?E, Garaventa F, Faimali M. 2017. Effects of polystyrene microbeads in marine planktonic crustaceans. Ecotoxicol Environ?Saf 145: 250-257. 

  12. Geyer R, Jenna R, Jambeck LKL. 2017. Production, use, and fate?of all plastics ever made. Science Advances 3.7 

  13. Gray AD, Weinstein JE. 2017. Size-and shape-dependent effects?of microplastic particles on adult daggerblade grass shrimp?(Palaemonetes pugio). Environ Toxicol Chem 36: 3074-3080. 

  14. Guilhermino L, Vieira LR, Ribeiro D, Tavares S, Cardoso V, Alves A,?Almeida JM. 2018. Uptake and effects of the antimicrobial?florfenicol, microplastics and their mixtures on freshwater?exotic invasive bivalve Corbicula fluminea. Sci Total Environ?622-623: 1131-1142. 

  15. Hermabessiere L, Dehaut A, Paul-Pont I, Lacroix C, Jezequel R,?Soudant P, Duflos G. 2017. Occurrence and effects of plastic?additives on marine environments and organisms: A review.?Chemosphere 182: 781-793. 

  16. Isobe A, Iwasaki S, Uchida K, Tokai T. 2019 Abundance of non-conservative microplastics in the upper ocean from 1957 to 2066. Nat Comm 10: 417. 

  17. Jambeck JR, Geyer R, Wilcox C, Siegler TR, Perryman M, Andrady?A, Narayan R, Law KL. 2015. Plastic waste inputs from land?into the ocean. Science 347: 768-771. 

  18. Jung JW, Park JW, Eo S, Choi J, Song YK, Cho Y, Hong, SH, Shim?WJ. 2021.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microplastics in?coastal, shelf, and deep sea waters with a consideration of?environmentally relevant size and shape. Environ Pollut 270: 116217. 

  19. Kim K, Hwang J, Choi JS, Heo Y, Park JW. 2019. The effects of microplastics on marine ecosystem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orean J Environ Biol 37: 625-639. 

  20. Koelmans AA, Besseling E, Foekema E, Kooi M, Mintenig S, Ossendorp BC, Redondo-Hasselerharm PE, Verschoor A, Van Wezel AP, Scheffer M. 2017. Risks of plastic debris: unravelling fact, opinion, perception, and belief. Environ Sci Technol 51: 11513-11519. 

  21. Lusher A, Hollman P, Mendoza-Hill J. 2017. Microplastics in fisheries and aquaculture: status of knowledge on their occurrence and implications for aquatic organisms and food safety.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615. 

  22. Oliveira M, Ribeiro A, Hylland K, Guilhermino L. 2013. Single and combined effects of microplastics and pyrene on juveniles (0+group) of the common goby Pomatoschistus microps(Teleostei, Gobiidae). Ecol Indic 34: 641-647. 

  23. Savoca MS, McInturf AG, Hazen EL. 2021. Plastic ingestion by marine fish is widespread and increasing. Glob Change Biol 27: 2188-2199. 

  24. Shim WJ, Thomposon RC. 2015. Microplastics in the ocean. Arch Environ Contam Toxicol 69: 265-268. 

  25. Strungaru SA, Jijie R, Nicoara M, Plavan G, Faggio C. 2018. Micro (nano) plastics in freshwater ecosystems: abundance, toxicological impact and quantification methodology. Trends Anal Chem 110: 116-128. 

  26. Teuten EL, et al. 2009. Transport and release of chemicals from plastics to the environment and to wildlife. Philos Trans R Soc B 364: 2027-2045. 

  27. Zhu Z, Wang S, Zhao F, Wang S, Liu F, Liu G. 2019. Joint toxicity of microplastics with triclosan to marine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Environ Pollut 246: 509-517. 

  28. Ziajahromi S, Kumar A, Neale PA, Leusch FD. 2017. Impact of microplastic beads and fibers on waterflea (Ceriodaphnia dubia)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on: implications of single and mixture exposures. Environ Sci Technol 51: 13397-134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