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딥러닝과 Landsat 8 영상을 이용한 캘리포니아 산불 피해지 탐지
Detection of Wildfire Burned Areas in California Using Deep Learning and Landsat 8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6/1, 2023년, pp.1413 - 1425  

서영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윤유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김서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강종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정예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최소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임윤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이양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산불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심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식생이 소실되며, 그 강도와 발생 형태에 따라 생태계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 생태계 변화는 다시 산불 발생을 유발하여 2차 피해를 야기한다. 따라서 산불 피해지에 대한 정확한 탐지 및 면적 산정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효율적인 산불 피해지 모니터링을 위해 산불 발생 후 실시간 지형 및 기상정보는 물론 피해지역의 영상을 대규모로 취득할 수 있는 위성영상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기반 모델부터 고성능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 모델에 이르기까지 딥러닝 알고리즘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산림원격탐사에서 이를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적용된 딥러닝 모델은 제한적이며 현업에서의 합리적인 활용을 위한 정량적 성능평가에 대한 보고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델에 따른 성능향상과 데이터 설계에 따른 성능향상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CNN 기반 모델의 U-Net, High Resolution Network-Object Contextual Representation (HRNet-OCR)을 활용하여 산불 피해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본 파장대역과 함께 식생활력도 및 지표의 수분함량 정도를 고려하고자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normalized burn ratio (NBR)와 같은 산불 관련 분광지수를 산출하여 입력 이미지로 사용하였다. U-Net의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이 0.831, HRNet-OCR이 0.848을 기록하여 두 모델 모두 우수한 영상분할 성능을 보였다. 또한, 밴드 반사도뿐 아니라 분광지수를 추가한 결과 모든 조합에서 평가지표 값이 상승하여 분광지수를 활용한 입력 데이터 확장이 픽셀 세분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딥러닝 방법론을 발전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산불 피해지에 대한 신속한 파악 및 복구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frequency of wildfires due to climate change is causing extreme loss of life and property. They cause loss of vegetation and affect ecosystem changes depending on their intensity and occurrence. Ecosystem changes, in turn, affect wildfire occurrence, causing secondary damage. Thus, ac...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U-Net, HRNet 모델 각각의 하이퍼파라미터 설정은 경험적 적정치를 부여하며 결과를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산불 피해지 탐지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U-Net은 iteration 15,000, batch size 4, learning rate 1e-03으로 설정하였으며 HRNet-OCR은 iteration 5,000, batch size 8, learning rate 1e-04로 모델을 훈련시켰다.
  • 특히 산불 피해지는 산불 발생 후 경과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아 폐합된 폴리곤(polygon) 형태가 아닌 식생회복에 따른 정도를 구분한 레이블 제작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피해정도를 반영하고자 캘리포니아 산불에 대해 직접 레이블링하여 정답 레이블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종 딥러닝 모델과 다양한 입력변수 조합에 대해 산불 피해지 탐지 성능을 비교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크게 산불피해지 입력자료 구축, 모델 생성, 피해지 비교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적인 단계는 Fig.
  • , 2020). 산불 피해지 영상의 경우 피해지 화소에 비해 배경인 비피해지 화소가 적게 분포하기 때문에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focal Loss를 적용해 background에 대해 과도하게 학습되는 것을 보정하고자 했다. 옵티마이저(optimizer)는 adaptive moment estimatio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과 최신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Landsat 8 기반 산불 피해지 탐지 모델을 제안하고 모델과 데이터 설계에 따른 성능 향상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산불 피해지에 대한 분광특성 지수를 산출해 훈련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탐지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현업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arvajal-Ramirez, F., Marques da Silva, J. R., Aguera-Vega, F., Martinez-Carricondo, P., Serrano, J., and?Moral, F. J., 2019. Evaluation of fire severity?indices based on pre- and post-fire multispectral?imagery sensed from UAV. Remote Sensing,?11(9), 993. https://doi.org/10.3390/RS11090993 

  2. Cha, S., Won, M., Jang, K., Kim, K., Kim, W., Baek,?S. et al., 2022. Deep learning-based forest fire?classification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CAS500-4.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8(6-1),?1273-1283. https://doi.org/10.7780/KJRS.2022.38.6.1.22 

  3. Chen, Y., Zhao, X., and Jia, X., 2015. Spectral-spatial?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data based on deep?belief network.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Sensing, 8(6), 2381-2392. https://doi.org/10.1109/JSTARS.2015.2388577 

  4. Choi, S. P., Kim, D. H., and Tateishi, R., 2006. Analysis of?forest fire damage areas using spectral reflectance?of the vege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4(2), 89-94. 

  5. Chuvieco, E., Mouillot, F., van der Werf, G. R., San?Miguel, J., Tanasse, M., Koutsias, N. et al., 2019.?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developments?for mapping burned area from satellite Earth?observ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225, 45-64. https://doi.org/10.1016/J.RSE.2019.02.013 

  6. Collins, L., McCarthy, G., Mellor, A., Newell, G., and?Smith, L., 2020. Training data requirements for?fire severity mapping using Landsat imagery and?random fores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245, 111839. https://doi.org/10.1016/J.RSE.2020.111839 

  7. Djalante, R., 2019. Key assessments from the IPCC?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 and?the implications for the Sendai framework for?disaster risk reduction. Progress in Disaster?Science, 1, 100001. https://doi.org/10.1016/j.pdisas.2019.100001 

  8. Domenikiotis, C., Dalezios, N. R., Loukas, A., and Karteris, M., 2002. Agreement assessment of?NOAA/AVHRR NDVI with Landsat TM NDVI?for mapping burned forested areas. International?Journal of Remote Sensing, 23(20), 4235-4246.?https://doi.org/10.1080/01431160110107707 

  9. Eidenshink, J., Schwind, B., Brewer, K., Zhu, Z.-L.,?Quayle, B., and Howard, S., 2007. A project for?monitoring trends in burn severity. Fire Ecology,?3, 3-21. https://doi.org/10.4996/FIREECOLOGY.0301003 

  10. Escuin, S., Navarro, R., and Fernandez, P., 2008. Fire?severity assessment by using NBR (Normalized?Burn Ratio) and NDVI (Normalized Difference?Vegetation Index) derived from LANDSAT TM/ETM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Sensing, 29(4), 1053-1073. https://doi.org/10.1080/01431160701281072 

  11. Fernandez, A., Illera, P., and Casanova, J. L., 1997.?Automatic mapping of surfaces affected by forest?fires in Spain using AVHRR NDVI composite?image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60(2), 153-162. https://doi.org/10.1016/S0034-4257(96)00178-2 

  12. Kim, S., Youn, Y., Jeong, Y., Kwon, C., Seo, K. W., and?Lee, Y.-W., 2022. Analysis of burned areas in?North Korea using satellite-based wildfire damage?indic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38(6-3), 1861-1869. https://doi.org/10.7780/kjrs.2022.38.6.3.10 

  13. Korea Forest Service, 2023. 2022 Wildfire statistics annual.?Available online: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1008&mnNKFS_06_09_05 (accessed on Apr.?17, 2023). 

  14. LeCun, Y., Boser, B., Denker, J. S., Henderson, D., Howard,?R. E., Hubbard, W. et al., 1989. Backpropagation?applied to handwritten zip code recognition. Neural?Computation, 1(4), 541-551. https://doi.org/10.1162/NECO.1989.1.4.541 

  15. Lin, T. Y., Goyal, P., Girshick, R., He, K., and Dollar,?P., 2020. Focal loss for dense object detection.?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Machine Intelligence, 42(2), 318-327. https://doi.org/10.1109/TPAMI.2018.2858826 

  16. Loboda, T., O'Neal, K. J., and Csiszar, I., 2007. Regionally?adaptable dNBR-based algorithm for burned area?mapping from MODIS data. Remote Sensing of?Environment, 109(4), 429-442. https://doi.org/10.1016/J.RSE.2007.01.017 

  17. Ma, L., Liu, Y., Zhang, X., Ye, Y., Yin, G., and Johnson,?B. A., 2019. Deep learning in remote sensing?applications: A meta-analysis and review. ISPRS?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152, 166-177.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19.04.015 

  18. Marlon, J. R., Bartlein, P. J., Carcaillet, C., Gavin, D.?G., Harrison, S. P., and Higuera, P. E., 2008.?Climate and human influences on global biomass?burning over the past two millennia. Nature?Geoscience, 1, 697-702. https://doi.org/10.1038/ngeo313 

  19. Marmanis, D., Datcu, M., Esch, T., and Stilla, U., 2016.?Deep learning earth observation classification using?ImageNet pretrained networks. IEEE Geoscience?and Remote Sensing Letters, 13(1), 105-109.?https://doi.org/10.1109/LGRS.2015.2499239 

  20. McLauchlan, K. K., Higuera, P. E., Miesel, J., Rogers,?B. M., Schweitzer, J., Shuman, J. K. et al., 2020.?Fire as a fundamental ecological process: Research?advances and frontiers. Journal of Ecology, 108(5),?2047-2069. https://doi.org/10.1111/1365-2745.13403 

  21. Park, S. W., Kim, H. W., Lee, S. J., Yun, Y. S., Kim, E.?S., Lim, J. H., and Lee, Y. W., 2018. Detection?of forest disaster areas using high-resolution?satellite images with fully convolutional network.?Landscape and Geography, 28(4), 87-101. http://doi.org/10.35149/jakpg.2018.28.4.006 

  22. Pise, N. N., and Kulkarni, P., 2008. A survey of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s. In Proceedings of th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Intelligence and Security, Suzhou, China, Dec.?13-17, pp. 30-34. https://doi.org/10.1109/CIS.2008.204 

  23. Pleniou, M., and Koutsias, N., 2013. Sensitivity of spectral?reflectance values to different burn and vegetation?ratios: A multi-scale approach applied in a fire?affected area.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and Remote Sensing, 79, 199-210.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13.02.016 

  24. Ronneberger, O., Fischer, P., and Brox, T., 2015.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image segmentation. In: Navab, N., Hornegger,?J., Wells, W., Frangi, A. (eds.), Medical image?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MICCAI 2015, Springer, pp. 234-241. https://doi.org/10.1007/978-3-319-24574-4_28 

  25. Roy, D. P., Wulder, M. A., Loveland, T. R., Woodcock,?C. E., Allen, R. G., Anderson, M. C. et al., 2014. Landsat-8: Science and product vision?for terrestrial global change research. Remote?Sensing of Environment, 145, 154-172. https://doi.org/10.1016/J.RSE.2014.02.001 

  26. Sun, K., Xiao, B., Liu, D., and Wang, J., 2019. Deep?high-resolution representation learning for human?pose estima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9?IEEE/CVF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Pattern Recognition (CVPR), Long Beach, CA,?USA, June 15-20, pp. 5686-5696. https://doi.org/10.1109/CVPR.2019.00584 

  27. Westerling, A. L., and Bryant, B. P., 2007. Climate change?and wildfire in California. Climatic Change, 87,?231-249. https://doi.org/10.1007/s10584-007-9363-z 

  28. Yeom, J.-M., Han, K.-S., and Kim, I.-H., 2010. The?study of land surface change detection using long-term SPOT/vegetation.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13(4), 111-124.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4.111 

  29. Youn, H. J., and Jeong, J. C., 2020. Classification of?forest fire damage grade using machine learning?and Sentinel-2.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106, 107-117. https://doi.org/10.15793/kspr.2020.106..006 

  30. Zhang, Y., Liu, H., and Hu, Q., 2021. TransFuse:?Fusing transformers and CNNs for medical image?segmentation. In: de Bruijne, M., Cattin, P. C.,?Cotin, S., Padoy, N., Speidel, S., Zheng, Y., Essert,?C. (eds.),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 MICCAI 2021, Springer,?pp. 14-24. https://doi.org/10.1007/978-3-030-87193-2_2 

  31. Zhu, X. X., Tuia, D., Mou, L., Xia, G. S., Zhang, L., Xu,?F. et al., 2017. Deep learning in remote sensing: A?comprehensive review and list of resources. IEEE?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Magazine, 5(4),?8-36. https://doi.org/10.1109/MGRS.2017.2762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