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스트레스 대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tress Coping, and Bullying on Clinical Nurses'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32 no.1, 2023년, pp.9 - 19  

송효숙 (대전보건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임소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th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tress coping,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64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간호사의 이직의 주된 요인이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Song & Lim, 2020)을 추가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조직적 요인은 간호조직문화로, 개인적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로, 직장 내 괴롭힘은 조직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특성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설정하고, 주요 변수들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목적하에 수행된 연구결과는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스트레스 대처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 및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내병원 간호사의 이직관리 정책을 보다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보건의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간호사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인사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스트레스 대처와 이직의도의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과 스트레스 대처가 그들의 이직의도 간의 관계 및 영향 변수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스트레스 대처와 이직의도를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간호사 인사관리 전략 혹은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다시 말해, 조직적 요인은 간호조직문화로, 개인적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로, 직장 내 괴롭힘은 조직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특성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설정하고, 주요 변수들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목적하에 수행된 연구결과는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스트레스 대처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 및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내병원 간호사의 이직관리 정책을 보다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보건의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간호사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인사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Cimiotti, J. P., Sloane, D. M., Smith, H. L., Flynn, L., &?Neff, D. F. (2011). Effects of nurse staffing and nurse education?on patient deaths in hospitals with different nurse work environments. Medical Care, 49(12), 1047-1053. https://doi.org/10.1097/MLR.0b013e3182330b6e 

  2. Baek, G. R. (2014). Effect of hospital nurses' professionalism,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intention of?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Seoul. 

  3. Brook, J., Aitken, L., Webb, R., MacLaren, J., & Salmon, D. (2019).?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nterventions to reduce turnover?and increase retention of early career nurses: A systematic?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91, 47-59.?https://doi.org/10.1016/j.ijnurstu.2018.11.003 

  4. Cho, H. H., & Kim, E. Y. (2020).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culture, organizational health, and job crafting on intent to stay?among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Administration, 26(2), 172-180.?https://doi.org/10.11111/jkana.2020.26.2.172 

  5. Choi, S. H., Jang, I. S., Park, S. M., & Lee, H. Y. (2014).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206-2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206 

  6. Estryn, B. M., Heijden, B. I., & Hasselhom, H. M. (2010). Longitudinal analysis of personal and 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with turnover among nurses. Nursing Research, 59(3), 166-177.?https://doi.org/10.1097/NNR.0b013e3181dbb29f 

  7. Ha, D. K., & Sung, M. H. (2018). Impact of job stress, coping behavior, hardiness on burnout in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4), 315-223. https://doi.org/10.5807/kjohn.2018.27.4.215 

  8. Hayes, L. J., O'Brien-Pallas, L., Duffield, C., Shamian, J., Buchan,?J., Hughes, F., et al. (2012). Nurses turnover: A literature review-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7),?887-90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1.10.001 

  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21, February 9).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Retrieved?February 9, 2021, from:?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wr_id8086 

  10. Hwang, H. J. (2021).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self-leadership?and stress-coping type on resilienc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8), 679-691.?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8.679 

  11. Kang, H. S., & Kim, Y. Y. (2016).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n?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the Korea?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141-151.?https://doi.org/10.5762/KAIS.2016.17.1.141 

  12. Kang, S. J., & Kim, S. Y. (2011).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parenting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508-515. 

  13. Kim, M. J. (2015). Effec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job satisfaction and leadership style on turnover intention of?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33(1), 95-115. https://doi.org/10.31148/kjmnr.2015.33.1.95 

  14. Kim, M. R. (2007).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335-344. 

  15. Kim, M. S., Han, S. J., & Kim, J. H. (2004). The development of the?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The Journal of?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2), 175-184. 

  1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New York: Springer. 

  17. Lee, M. A., Ju, Y. H., & Lim, S. H. (2020). A study on the intent to?leave and stay among hospital nurses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8(2), 332-341.?https://doi.org/10.1111/jonm.12929 

  18. Lee, Y. J., Bernstein, K., Lee, M. H., & Nokes, K. M. (2014). Bullying?in nursing workplace: Applying evidence using a conceptual?framework. Nursing Economics, 32(5), 255-267. 

  19. Lee, Y. O., & Kang, J. E. (2018). Rel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30(1), 1-17. https://doi.org/10.7475/kjan.2018.30.1.1 

  20. Lee, Y. S., Lee, Y. J., Ha, J. Y., & Jo, M. J. (2021).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and empowermen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1),?1-11. https://doi.org/10.11111/jkana.2021.27.1.1 

  21. Menaghan, E. G. (1982). Measuring coping effectiveness: A panel?analysis of marital problems and coping efforts. Journal of Health?and Social Behavior, 23(3), 220-234.?https://doi.org/10.2307/2136631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August 30).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20. Retrieved August 30, 2021, from:?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1682 

  23. Mobley, W.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Bost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 

  24. O, G. S., & Han, J. S. (1990). A study on the grief and coping pattern?of mothers who have a chronically ill child. Korean Nursing,?29(4), 73-88. 

  25. Ozturk, H., Sokmen, S., Yilmaz, F., & Cilingir, D. (2008). Measuring mobbing experiences of academic nurses: Development of?a mobbing scal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Practitioners, 22(9), 435-442.?https://doi.org/10.1111/j.1745-7599.2008.00347.x 

  26. Pearlin, L. I.,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of Health and Social Behavioral, 19(1), 2-21.?https://doi.org/10.2307/2136319 

  27. Shin, E. S., An, M., Choi, M. L., Lee, A. K., Jeon, E. A., Jeoung, Y.?M., et al. (2017).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among clinical nurses: Focused on resilience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23(3), 302-311.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3.302 

  28. Sim, Y. S., Shim, G. S., Sim, B. H., & Sung, J, H. (2021). Effects of?meaning of work, job embeddedness, and workplace bullying?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4), 227-235.?https://doi.org/10.11111/jkana.2021.27.4.227 

  29. Song, H. S., & Lim, S. H. (202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ullying measurement in Korean nurses' workplace. Journal of?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5), 478-487.?https://doi.org/10.11111/jkana.2020.26.5.478 

  30. Won, H. J.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the leadership of managers, and nurses'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the workplace, and intent to lea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