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사고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AI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AI Literac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6 no.3, 2023년, pp.12 - 19  

이주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  원용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  신윤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AI literac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beginner. This program consists of 17 session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BCDE" model and is a project-based program. This program was...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교육부(2020). 인공지능, 학교 속으로!, 2020년 9월 14일 보도자료. 

  2. 교육부(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보도자료. 

  3. 김갑수(2019).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629-637. 

  4. 김갑수.박영기(2017).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1), 137-147. 

  5. 김성원.이영준(2022).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7(3), 225-238. 

  6. 김수환.김성훈.김현철(2019). 해외 인공지능 교육동향과 학습?도구 분석.?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2), 25-28. 

  7. 김민경.허지연.박은정(2014). 초등수학에서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모형 설계, 적용 및 그 교육적 의미.?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189-209. 

  8. 김태령.류미영.한선관(2020).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프레임워크 기초 연구.?인공지능연구 논문지, 1(1), 31-42. 

  9. 손원성(2020). 인공지능(AI)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SW교육 수업안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4(5), 453-462. 

  10. 신승기(2019).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교육?프레임워크 및 인지적학습환경 설계.?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3(6),?639-653. 

  11. 윤지현.김문희.강성주(2022). 초?중등 컴퓨터 비전공 현장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AI 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탐색 연구.?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4), 1-18. 

  12. 이정인.유재봉(2016).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교육적?방향 탐색.?교육학연구, 54(4), 1-20. 

  13. 전용주(2022). 고등학교 '인공지능 기초' 교과서의 학습목표?및 내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1), 1-16. 

  14. 정기민(2021). 인공지능 리터러시 기반의 설명가능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효과.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3(1), 1-12. 

  15. 최현종(2021).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한 인공지능 사고력 교육에 관한 고찰.?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3), 57-65. 

  16. 홍미선.조정원(2022).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경험학습?기반 인공지능 교육의 설계 원리 및 개념모형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3), 61-77. 

  17. 홍선주 외(2021).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 교육과정평가원(PIM 2021-5-16). 

  18. AI4K12, AI Components. https://ai4k12.org (검색일자: 2022. 11.19.) 

  19. How, M. L. & Hung, W. L. D.(2019). Educing AI-thinking?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STEAM) education.?Education Sciences,?9(3), 184. https://doi.org/10.3390/educsci9030184 

  20. Jonassen, D. H.(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II-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45(1), 65-94. 

  21. Kong, S. C., Cheung, W. M. Y. & Zhang, G.(2021).?Evalu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course for?university students with diverse study backgrounds.?Computers?and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2, 100026. 

  22. Long, D., & Magerko, B.(2020, April). What is AI literacy??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In?Proceedings?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systems, 1-16. 

  23. Reigeluth, C. M.(2010).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models (2 vol.). NY: Routledge. 

  24. Shin, S.(2021). A study on the framework design of?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Education Technology,?11(9), 392-397. 

  25. Steinbauer, G. et al.(2021). A differentiated discussion?about AI education K-12. KI-Kunstliche Intelligenz,?35(2),?131-137. 

  26. Touretzky, D. S. et al.(2022). Artificial intelligence?thinking in k-12.?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in?K-12: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Physical Computing,?153-180. 

  27. Wing, J. M.(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of the ACM,?49(3), 33-35. 

  28. Zeng, D.(2013). From Computational Thinking to AI?Thinking.?IEEE Intelligent Systems,?28(6), 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