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Study on Test Standard for Measuring AI Literacy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8 no.7, 2023년, pp.39 - 46  

Mi-Young Ryu (AI Education Research, Gyoe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eon-Kwan Han (Dept. of Computer Education, Gyoe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지능 소양 능력의 측정을 위한 검사 기준의 설계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AI 소양의 핵심 영역을 선정하고 세부 기준을 설계하였다. 검사 기준의 영역은 AI의 개념, 실제와 영향 3가지로 구분하고 세부 항목은 AI의 개념 33문항, AI의 실제 13문항, AI의 영향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기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2번에 걸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기준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AI소양 검사 기준은 총 3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소양 검사 기준은 AI소양 능력 측정을 위한 자기 체크리스트나 AI역량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the test standard to measure AI literacy abilities. First, we selected key areas of AI literacy through the related studies and expert FGI and designed detailed standard. The area of the test standar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I concept, p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인공지능 리터러시 검사를 위한 정량적인 기준을 개발함으로써,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인공지능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위한 기반 연구로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기준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ttps://www.msit.go.kr? 

  2.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ttps://www.korea.kr/briefing? 

  3. H. Burgsteiner, M. Kandlhofer. & G. Steinbauer. "Irobot: Teaching the bas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igh schools. In Proceeding of the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30(1), 2016.? 

  4. M. Ghallab. Responsible AI: Requirements and challenges. AI Perspectives, 1(1), pp. 1-7, 2019.? 

  5.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Policy Direction and Core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20.? 

  6. Jae-jin Lee and Seong-uk Kim..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22, No. 5, 2019.? 

  7. Bon-Kwan Gu. "What is Digital Literacy", Korea Press Foundation, No.2, pp. 4-9, 2017.? 

  8. B. Street, What's "new" in New Literacy Studies? Critical approaches to literacy in theory and practice. Current issues in comparative education, 5(2), 77-91, 2003.? 

  9. Kyung-hee So.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m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5, No. 3, pp. 1~21, 2007.? 

  10. S. R. Parry(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Training, July. pp. 48-56.? 

  11. D Long, B Magerko. "What is AI literacy? 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Proceedings 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Honolulu, HI, USA) (CHI '20): (pp. 1-16).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ew York, NY, USA. https://doi.org/10.1145/3313831.3376727.? 

  12. Yu-mi Yi and Youn-soo Park..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AI Literacy and Designing a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Lang. & Lit., Vol. 85, pp. 451-474, 2021.? 

  13. S. Druga, S. Vu, E. Likhith, and T. Qiu(2019). Inclusive AI literacy for kids around the world, 2019 Proceedings of FabLearn, 104-111, 2019.? 

  14. ACM. IEEE-CS, Draft Report of the Computing Curricula 2020 Project, https://www.cc2020.net, 2020.? 

  15. Seon-Kwan Han. Digital Content to Improv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25, No. 15, pp. 93-100, 2020.? 

  16. Chul-hyun Lee.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in Practical Arts for Cultivating Competencies in the AI Era",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Vol. .26, No. .2, pp. 41-64, 2020.? 

  17. Chang-Mo Yang. "The Effect of AI Learning Program on AI Attitude and Literacy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26, No. 1, pp.35-44, 2022.? 

  18. G. Wong, X. Ma, P. Dillenbourg. & J. Hua. "Broaden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12: Where to start?", ACM Inroads, 11(1), pp. 20-29.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