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9 no.4, 2023년, pp.73 - 88
한주영 (국공립 푸르지오 어린이집) , 오주은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esteem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32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Incheon. Teacher-report measures of playfulness, self...
고소영 (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선진 (2015).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소향, 조준오 (2016).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정서 조절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5), 349-374.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14
김영랑 (2022). 자기효능감의 매개를 통한 유아 창의적 성향의 놀이성에 대한 효과. 군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원경, 우남희 (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16.
김종석 (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 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지연 (2021). 유아의 자아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놀이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강릉원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호 (2016).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 교육논총, 36(3), 1-20.?https://doi.org/10.25020/je.2016.36.3.1
남윤주 (2017). 어머니의 양육 행동 및 정서표현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2), 27-41.
단현국, 이미숙 (2006). 교사용 유아 자기존중감 척도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81-104.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이화선, 이지혜 등 (2010).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박숙희, 유경훈 (2011). 자아존중감, 창의적 인성,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11(2),?127-140.
박은희 (2010). 창의성 함양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계발 동기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정옥, 김준희 (2000).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지, 9(1), 11-28.
박찬옥, 김진희 (2014). 역사 인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역사의식 및 창의적 인성에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389-408.
성은현 (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심수현 (2017). 부모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윤정 (2021).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의사 결정력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옥태순 (2016).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 지능, 창의적 인성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연옥, 허미자 (1999). 그림 창의성 검사(TCT-DP)에 의한 유아의 창의성 발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157-183.
이민국 (2011). 유아의 놀이성이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 김수연, 신혜원 (2002).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85-97.
이정미 (2016). 부모의 창의적 인성,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자녀의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귀자 (201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영숙 (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 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장영숙,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영향. 교육문화연구, 16(2), 309-336. https://doi.org/10.24159/JOEC.2010.16.2.309
정선화, 이채호, 최인수 (2011). 유아 창의성과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족 기능 간의 관계.?생활과학, 14, 17-25.
조현정 (2010).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2020). 만 4세 유아 말놀이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종덕, 문정화 (2011). 소외계층 영재의 영재교육 서비스 만족도 및 자아효능감. 한국창의력교육학회지, 11(2), 87-105.
하주현 (2001). 창의적 사고의 발달 경향 연구.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1,?75-86.
홍미경 (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15-34.
황윤세 (2008). 유아의 행동적 자기 조절력과 정서 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293-309.
Aguilar, T. E. (1985). Social and environmental barriers to playfulness. When Children Play, 73-76.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and Development, 11(1), 55-7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101_4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Kogan page.
Feist, G. J. (2010). The function of personality in creativity: The nature and nurture of the creative?personality.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113-1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ufman, J. C. & Sternberg, R. J. (2019).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2nd ed.). Cambridge?University Press.
Maccoby, E. E. (1984). Children's disposition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t 12 and 18 months: A?short-term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20(3), 459-472. https://doi.org/10.1037/0012-1649.20.3.459
Piirto, J. (1998).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2nd ed.). Gifted Psychology Press.
Rimm. (1983).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Schaffer, D. R. & Kipp, K. (2013). Development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9th ed.).?Wadsworth.
Stipek, D. J. & Maclver, D. (1989). Developmental change in children's assessment of intellectual?competence. Child Development, 60(3), 531-538. https://doi.org/10.2307/1130719
Torrance, E. P.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R. E. Krieger.
Vygotsky, L. S. (2004).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hood. Journal of Russian & East European?Psychology, 42(1), 7-97. https://doi.org/10.1080/10610405.2004.11059210
Yau, C. (1991). An essential interrelationship: Healthy self-esteem and productive creativity. Journal?of Creative Behavior, 25(2), 154-161.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1.tb01365.x?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