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정화토 재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Recycling of Remediated Soil with Sustained Soil Health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8 no.5, 2023년, pp.59 - 67  

김민철 ((주)국제환경정책연구원) ,  박용하 ((주)국제환경정책연구원) ,  천미희 ((주)국제환경정책연구원) ,  정명채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김정욱 (세종대학교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view examined the current administrative policie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reclaimed soils after remediation processes and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potential value of the remediated soil as a resource. Three management practices are proposed to facilitate more eff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화토를 토양자원으로 관리하고 합리적인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법제도 정비 방안과 정화토 관리시스템 구축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정화토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는 것으로 이를 위한 제도 정비 및 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할 것이다.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정화토 재활용 정책의 주요 목적은 현행의 토양오염물질 위주의 관리방법을 개선하여 정화토의 양적 및 질적 관리뿐 아니라 토양건강성 관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정화토를 토양자원으로 관리하는 것이다(Fig.
  • 본 연구는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정화토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는 것으로 이를 위한 제도 정비 및 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할 것이다. 토양건강성을 고려한 정화토 재활용 정책의 주요 목적은 현행의 토양오염물질 위주의 관리방법을 개선하여 정화토의 양적 및 질적 관리뿐 아니라 토양건강성 관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정화토를 토양자원으로 관리하는 것이다(Fig.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 Y.J. and Jeong, S.W., 2017, Development of soil health?assessment technology for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after?physicochemical treatments, KEITI, Ministry of Environment. 

  2. Han, S.H., Jung, M.C., Kim, J.W., Jeon, S.W., Nguyen, Q.T.,?Yoon, K.W., and Min, S.K., 2020,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status of off-site contaminated soils in Korea, J. Soil?Groundwater Environ, 25(4), 1-6. 

  3. Hwang, S.I., Moon, H.J., Ki, B.M., and Yoon, S.J., 2014, A?study on promotion of recycling of cleaned soil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n off-site remediation, 50-52,?KEI. 

  4. Jung, M.C. and Kim, M.C., 2023, Establishment of clean-up soil?recycling management system linked to soil health, KEITI, Ministry of Environment. 

  5. Kim, S.H. and Bae, B.H., 2023, Field application of technologies for the recovery of soil health and establishment of its?guideline, KEITI, Ministry of Environment. 

  6. Ko, I.W. et al., 2020, Statistical study on the technology and?industry of the soil and groundwater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related information, 61-63, KEITI. 

  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Guideline for the remediation?technologies of contaminated soil, NO.11-1480000-000841-01, 1-214.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tudy on the management of?the off-site remediated soils, 1-195. 

  9.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2nd soil conservation master plan (2020~2029), 74-75. 

  1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1, A guide to the website?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its for owners and managers in?the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1-214. 

  11. NIER, 2021, Understanding and operating of the off-site remediated soil management system, 1-73, Ministry of Environment. 

  12. Park, Y.H. et al., 2023, Development of soil health assessment?system for contaminated and remediated soil, KEITI, Ministry?of Environment. 

  13. Shni, K.H. et al., 2016, Study on recycling and quality certification of the remediated soil, 22-23, KEIT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