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의 특성에 따른 생애주기별 건강성 결정요인
Factors of Healthy Lifestyle by Life Cyc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8 no.1, 2024년, pp.13 - 25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김정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인가구 증가는 전 세계적 현상으로 한국 또한 1인가구 비중의 증가가 급속히 진행 중이다. 1인가구는 그 형성 계기, 성별, 생애주기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1인가구 집단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라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 1인가구 등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1인가구 건강성 수준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나아가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1인가구 삶의 특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22년도 김포시 거주 1인가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고, 기술통계, 평균차이 검증(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1인가구의 전반적 건강성 수준을 살펴보면 생애주기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청년기 1인가구가 노년기 1인가구에 비해 건강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1인가구 건강성에는 성별, 교육수준, 자발성, 차별경험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성을 구성하는 하위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차이가 있었다. 생애주기에 따른 1인가구의 건강성 수준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1인가구 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re has been a particularly rapid increase in them in Korea. Single-person households show unique and variou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asons for becoming a single-person household, gender, life cycle, and so o...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강은나.이민홍(2018).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 연구: 성향매칭분석을 통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 보건사회연구, 38(4), 196-226.? 

  2. 고선강.송혜림.강은주(2023).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1), 25-39. DOI : 10.22626/jkfrma.2023.27.1.003.? 

  3. 김수진.김호범(2019). 1인가구의 소비지출의 특징과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7(2), 13-37. DOI : 10.31324/JRS.2019.06.27.2.13.? 

  4.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2016 정책연구-1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5. 김정은.남영주(2019). 남녀 1인가구의 주관적 웰빙과 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가족과가족치료, 27(3), 397-428. DOI : 10.21479/kaft.2019.27.3.397.? 

  6. 김정은.박정윤.서지원.송혜림(2023). 1인가구의 생애 주기별 생활실태 및 생활만족도: 김포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3), 21-37. DOI : 10.22626/jkfrma.2023.27.3.002.? 

  7. 김정주.박형신(2015). 어머니가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67-87.? 

  8. 김정화(2013).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가정건강성 및 학교생활 건강성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5(3), 129-148. I410-ECN-0102-2014-300-001644800.? 

  9. 박지니(202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태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799-809.? 

  10. 서지원.양진운(2017).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성별 생활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90.? 

  11. 석소원(2023). 생애주기별 1인가구의 행복과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 요인 검증.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송인숙.홍달아기.박현성(2013).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4), 579-598. DOI : 10.13049/kfwa.2013.18.4.579.? 

  13. 송혜림.박정윤.진미정.고선강(2021). 1인가구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35-45. DOI : 10.22626/jkfrma.2021.25.1.003.? 

  14. 송혜림.고선강.강은주(2022).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53-70. DOI : 10.22626/jkfrma.2022.26.2.004.? 

  15. 송혜림.고선강.강은주(2023). 자녀가 있는 맞벌이가정의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3), 1-19. DOI : 10.22626/jkfrma.2023.27.3.001.? 

  16. 이민정(2020). 한국 1인가구의 행복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자의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은주.박경진.권명수.정병일.서종수(2017). 노인 가구의 가정건강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노년 1인가구와 가족동거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61-274.? 

  18. 장미나.진미정.노신애(2022).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 탐색. 가족정책연구, 2(2), 51-67.? 

  19. 정경희(2011).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72, 1-8.? 

  20.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77-197.? 

  21. 정은숙(2019).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 성인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건강수준과 삶의 질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정혜원.노경혜.노혜진.유다영(2021). 경기도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 빈곤과 범죄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3. 지현호(2022.04.04). 세계는 지금, 1인가구 시대...한국도 40% 향해 질주. 1코노미뉴스. https://www.1conom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31에서 2023.12 인출? 

  24. 최하영.진미정(2020). 청년과 중장년 비혼 1인가구의 일상생활 어려움 잠재프로파일과 가족 관련 태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2), 195-223. DOI : 10.21321/jfr.26.2.195.? 

  25. 추예린.김소연.김난도(2023).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한 생애주기별 1인 임차가구의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34(3), 159-188.? 

  26. 통계청(2022).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tag&actview&list_no422143&ref_bid 에서 2023. 12 인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