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2, 2024년, pp.269 - 283
채희인 (평택청아초등학교)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n experiment f or determining whether gas occupies spac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identify and improve problems in its presentation,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interviewed thi...
강헌태, 이규호, 노석구(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에서 제시된 해륙풍 모형실험 분석 및 개선 방안.?초등과학교육, 36(1), 1-15.
고영신, 김세경, 이혜경(2004). 초등학교 과학과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3(2),?152-158.
교육부(2018). 과학 3-2 교사용 지도서. 세종: 교육부.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권치순, 권성기, 김태규, 박종욱, 박헌우, 윤회정, 정정인,?홍준의, 김민성, 김지훈, 김천웅, 김현이, 나희정, 남일균, 박상희, 박용신, 박현광, 박혜림, 송기선, 오한기, 이길경, 이창훈, 장은정, 정선희, 정순화, 정효해, 최보미,?홍정숙(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지학사.
김미영(2005). 초등과학 교과서 내용 중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 실험에 대하여. 대한화학회지, 32(4), 24-31.
김성실(2013). 인지갈등 전략을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학습자 특성별 개념변화.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안양.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2).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노을, 장낙한(2015).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끓는점?측정 방법 분석 및 개선점 제안. 과학교육연구지, 39(3),?446-456.
류오현, 최문영, 송주현, 권장근, 백성혜, 박국태(2001). 중학교 분별증류 실험의 비교 분석 및 개선. 대한화학회지, 45(5), 481-490.
박일우, 홍영식, 이규호, 주은정, 박지선, 이현숙, 우석민,?강원정, 김소린, 류미, 구슬기, 윤미영, 이용민, 이하은,?김지은, 김현익, 김선동, 이영진, 한우석, 김석갑, 장덕자, 박응식, 유지원, 정원진, 권순미(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금성출판사.
박찬주, 동효관, 신영준(2007).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과학선호도 차이와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16-225.
박헌우(2008). 이산화탄소의 성질 실험 장치 개선 방안?탐색. 초등과학교육, 27(3), 244-251.
박헌우, 강심원(2007). 초.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환경 인식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92-100.
방정아, 윤희숙, 최원호, 정대홍(2006). 기체 부피변화를?이용한 화학반응속도 측정 실험의 이해 및 개선 연구:?HCl 수용액과 고체 Mg의 반응에 대하여. 대한화학회지, 50(5), 404-414.
백명주, 정대홍(2022). 무선 온도 센서를 활용한 샤를 법칙 실험 개선. 현장과학교육, 16(3), 425-438.
서혜리(2017). 대류실험상자의 개선 방안과 초등과학 수업에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성숙경, 최취임, 정대홍(2009). 화학 I 금속의 반응성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대한화학회지, 53(3), 368-376.
성태제(2010).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손원기, 김준영, 정대홍(2018). 중학교 교과서에 도입된 용해도 측정 실험의 한계점 분석 및 대체 실험 제안. 현장과학교육, 12(3), 367-376.
윤희숙, 정대홍(2006).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 교사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05-812.
이난희(2004).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중 백반 결정 만들기 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상원, 김지나, 문병찬, 신애경, 최도성, 권진희, 김보영,?김석주, 김진한, 김태훈, 박예선, 손준호, 심예지, 오정민, 유영석, 이병훈(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천재교과서.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장소영, 노석구(2005).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에 영향을?주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24(4),?435-442.
장신호, 최선영, 김수진, 이윤정, 박상희, 김상협, 염진서,?임희준, 심병주, 송윤미, 박재근, 한문현, 김율리, 남기수, 박권태, 정은영, 박시현, 박경중, 권금주, 김덕호(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동아출판.
전영화, 홍란선, 강영진(2004). 산-염기 중화반응 실험의?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대한화학회지, 48(2), 189-194.
전지선(2006).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소금 결정?만들기 실험의 개선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 37-47.
정대균, 이혜정, 정선희, 오창호, 박국태(2007). 기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조사 및 대안개념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59-371.
정미현(2011).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물의 전기분해 실험 분석 및 개선.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조정호, 안미경, 지경준, 우영진, 이수환, 강철웅, 한홍수,?허희선, 이윤종, 한강민, 서유지, 강대훈, 김계형, 박세희, 문승환, 윤소영, 허양원, 송용준, 김두식, 오현석(2022). 과학 3-2 교과서. 서울: 비상교과서.
조한국, 이영희, 조윤호, 류재인, 김재희, 이경학, 박훈, 신연옥, 오병현, 하우영(2022). 과학 3-2 교과서. 파주: 김영사.
채희인(2017). 과학핵심역량의 재구조화에 기반한 초등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인천.
최영재, 고영신(1994). 초등학교 자연과 실험지도방법의?오류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0, 131-150.
최혜정, 정진수, 김상호(2015).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1), 28-43.
팽애진, 백성혜(2005).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46-161.
한수연(2004).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교육원리연구, 9(1), 47-82.
현동걸, 양일호, 김영신, 임성만, 김성운, 임재근, 김동현,?백명주, 정미연, 박유정, 박서정, 문양희, 권석원, 정재훈, 양용철, 조현준, 한신, 박선옥, 심현섭, 이민하, 이봉석, 김창원(2022). 과학 3-2 교과서. 성남: 아이스크림 미디어.
황찬숙(2014). 끓음과 끓는점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관찰과?추론 활동 및 반성적 사고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Bybee, R., & D eBoer, G. (1994). Research on goals for?the science curriculum.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57-387). NY: Macmillan.
Esler, W. K., & Esler, M. K. (1993). Teaching Elementary?Science (6th ed).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Company.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laboratory.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93-108). London: Routledge.
Johnstone, A. H., & Al-Schuaili, A. (2001). Learning in?the laboratory; some thoughts from the literature. University of Chemistry Education, 5, 42-51.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Matthews, M.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NY: Routledge.
Roth, W.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Boston, MA:?Kluwer Academic Publications.
Woolnough, B. E. (1998). Authentic science in schools,?to develop personal knowledge. In J. Wellington (Ed.).?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109-125). London: Routledge.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