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연작 소설은 당대의 복잡한 양상 뒤에 숨은 진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70년대의 독특한 소설 형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작품으로서의 독자성과 그 독립된 작품을 하나의 서사체로 엮어내는 통합성은 연작 소설의 미학적 특성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연작 소설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가 가운데 이문구, 조세희 두 작가에 주목을 하였다. 두 작가가 다루고 있는 대상은 당대가 갖고 있는 여러 모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등의 문제들이다. 특히 사회 속의 개인, 산업화시대의 문제점과 소외된 인간들에 대한 삶의 문제들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문구, 조세희의 70년대 연작소설을 중심으로 서사 전략의 ‘양가성(ambivalence)’을 통해서 연작구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문구, 조세희 두 작가가 전개하는 연작 방식은 현실의 복합적인 성격을 인정하고 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을 하고 있다. ‘시점의 교차를 통한 현실 인식의 확대’와 ‘공간의 의미 확장을 통한 대안적 전망의 제시’ 등과 같은 연작구성의 원리와 그 양상은 동일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고자 했던 모색의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두 작가의 연작소설이 취하고 있는 서사 전략의 ‘양가성’은 통합 지향의 근대화를 추구하는 작가의식의 반영이다.
이와 같이 두 작가의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전략의 ‘양가성’은 현실의 모순과 그 모순의 구조적 본질을 파악하여 다변화 된 70년대 사회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게 한다. 이것은 70년대를 보다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는 계기로써 한국 문학사에서 70년대가 중요하게 언급되어야 하는 또 하나의 근거가 되고 있다.
1970년 연작 소설은 당대의 복잡한 양상 뒤에 숨은 진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70년대의 독특한 소설 형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작품으로서의 독자성과 그 독립된 작품을 하나의 서사체로 엮어내는 통합성은 연작 소설의 미학적 특성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연작 소설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가 가운데 이문구, 조세희 두 작가에 주목을 하였다. 두 작가가 다루고 있는 대상은 당대가 갖고 있는 여러 모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등의 문제들이다. 특히 사회 속의 개인, 산업화시대의 문제점과 소외된 인간들에 대한 삶의 문제들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문구, 조세희의 70년대 연작소설을 중심으로 서사 전략의 ‘양가성(ambivalence)’을 통해서 연작구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문구, 조세희 두 작가가 전개하는 연작 방식은 현실의 복합적인 성격을 인정하고 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을 하고 있다. ‘시점의 교차를 통한 현실 인식의 확대’와 ‘공간의 의미 확장을 통한 대안적 전망의 제시’ 등과 같은 연작구성의 원리와 그 양상은 동일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고자 했던 모색의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두 작가의 연작소설이 취하고 있는 서사 전략의 ‘양가성’은 통합 지향의 근대화를 추구하는 작가의식의 반영이다.
이와 같이 두 작가의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전략의 ‘양가성’은 현실의 모순과 그 모순의 구조적 본질을 파악하여 다변화 된 70년대 사회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게 한다. 이것은 70년대를 보다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는 계기로써 한국 문학사에서 70년대가 중요하게 언급되어야 하는 또 하나의 근거가 되고 있다.
In the 1970s, short story sequences actively disclosed truth hidden behind the complex contenporary patterns and settled down as a unique novel format of the decade. Their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re especially comprised of independence as works and combination for them to be written in a narr...
In the 1970s, short story sequences actively disclosed truth hidden behind the complex contenporary patterns and settled down as a unique novel format of the decade. Their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re especially comprised of independence as works and combination for them to be written in a narrative style. This study focused on Lee Moon-goo and Cho Se-hee among the many writers who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story sequences well, trying to shed some light onto laborers, farmers, and the urban poor they dealt with as the core of the various contradictions of the times. They particularly handled individuals in society, problems with Industrialization Age, and life issues of the alienated with such importance.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the sequence composition through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with the short story sequences of the two authors in the 1970s. Both of them adopted a sequence style of recognizing the complex nature of reality and illuminating it from various angles. Their principles and patterns of sequence composition such as “expanding reality perceptions through intersecting points of views” and “offering alternative prospects through the meaning expansion of space” were the results of their search for solutions for the same problems. Thus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that the two writers adopted in their short story sequences reflects their consciousness as writers to seek out modernization toward combination. In the short story sequences of the two writers,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gets to the contradictions in reality and to their structural essence and thus effectively reflects the multifaceted society of the 1970s, which create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period in diverse ways and provides another ground for the need that the period should be mentioned with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short story sequences actively disclosed truth hidden behind the complex contenporary patterns and settled down as a unique novel format of the decade. Their aesthetical characteristics are especially comprised of independence as works and combination for them to be written in a narrative style. This study focused on Lee Moon-goo and Cho Se-hee among the many writers who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story sequences well, trying to shed some light onto laborers, farmers, and the urban poor they dealt with as the core of the various contradictions of the times. They particularly handled individuals in society, problems with Industrialization Age, and life issues of the alienated with such importance.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the sequence composition through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with the short story sequences of the two authors in the 1970s. Both of them adopted a sequence style of recognizing the complex nature of reality and illuminating it from various angles. Their principles and patterns of sequence composition such as “expanding reality perceptions through intersecting points of views” and “offering alternative prospects through the meaning expansion of space” were the results of their search for solutions for the same problems. Thus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that the two writers adopted in their short story sequences reflects their consciousness as writers to seek out modernization toward combination. In the short story sequences of the two writers, “ambivalence” of the narration strategy gets to the contradictions in reality and to their structural essence and thus effectively reflects the multifaceted society of the 1970s, which create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period in diverse ways and provides another ground for the need that the period should be mentioned with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