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중 각종 위해 요인의 위해성 평가와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Hazards in Food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DongGuk University
연구책임자 신효선
참여연구자 김창민 , 임현술 , 김종배 , 김근성 , 신동화 , 김명희 , 이효민 , 이서래 , 정명섭 , 조양희 , 신효선 , 이광호 , 박완수 , 성낙주 , 천석조 , 김영찬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05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동국대학교
DongGuk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300000333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식중독.식중독균.효소중합반응.항균 물질.박테리오신.식품첨가물.식이섭취량.농약.중금속.내분비계장애물질.식품포장재.에틸카바메이트.이환방향족아민.다환방향족탄화수소.니트로스아민.위해성 평가.위해성 관리.위해성 정보전달.food poisoning.foodbornemicroorganism.polymerase chain reation.anti-microbial.bacteriocin.pesticide.heavy metal.food additive.dietaryintake.endocrine disruptors.food-packaging materials.ethyl carbomate.heterocyclic aromatic amines.polycyclicaromatic hydrocarbon.N-nitosamines.risk assessment.risk management.risk communication.

초록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인 주요 위해인자에 대한 위해성 평가와 억제기술 및 관리방안을 개발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8개의 세부과제를 설정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제 1세부과제: 국내의 설사환자의 원인균 파악 및 식중독 역학조사의 기초자료를 위하여, 부산, 광주 , 춘천 지역에서 설사 증세를 보여 내원한 환자의 stool sample 622건으로부터 식중독균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최근 식중독 발생동향과 정부의 활동을 파악하고, 식중독 보고체계의 개선방안과 역학조사반의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with eight subjects to carry ut risk assessment, to develop controlling technology and to manage microbial and chemical factors affecting food safety.

(1) The 1st sub-project

목차 Contents

  • I. 연구개발결과 요약문...7
  • (한글)...7
  • (영문)...11
  • II.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5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7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21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5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68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80
  • 6. 첨부서류...83
  • III.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373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375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376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381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11
  •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414
  •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415
  • 7. 참고문헌...416
  • IV.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419
  • 1.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421
  • 2.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22
  • 3.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36
  • 4.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459
  • 5.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465
  • 6.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467
  • 7. 참고문헌...468
  • V.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473
  • 1.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475
  • 2.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475
  • 3.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478
  • 4.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518
  • 5.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521
  • 6.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522
  • 7. 참고문헌...523
  • VI. 제4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525
  • 1.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527
  • 2.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527
  • 3.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533
  • 4.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566
  • 5.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570
  • 6.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571
  • 7. 참고문헌...571
  • VII. 제5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575
  • 1.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577
  • 2.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578
  • 3.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587
  • 4.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606
  • 5.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616
  • 6. 제5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618
  • 7. 참고문헌...618
  • VIII. 제6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623
  • 1.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625
  • 2.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626
  • 3.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638
  • 4.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666
  • 5.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681
  • 6.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682
  • 7. 참고문헌...683
  • IX. 제7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689
  • 1.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691
  • 2.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692
  • 3.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701
  • 4.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742
  • 5.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751
  • 6.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752
  • 7. 참고문헌...753
  • X. 제8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757
  • 1.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759
  • 2.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761
  • 3.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762
  • 4.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784
  • 5.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786
  • 6. 제8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787
  • 7. 참고문헌...788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