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심혈관질환의 유전자요법을 위한 기술과 소재개발;심근용 유전자전달체의 개발;심근염 생쥐모델 개발 및 동물모델에서의 유전자치료 유효성 및 안정성 검증;허혈성심질환의 신혈관조성 유전자요법 개발
Development of Gene-based Therapeutic Products and Technology for Cardiovascular Diseas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선영
참여연구자 전은석 , 김덕경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05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등록번호 TRKO200300001964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심혈관질환.유전자치료.유전자전달체.심근염.허혈성심질환.cardiovascular disease.gene therapy.myocarditis.ischemic heart disease.

초록

본 연구과제는 심혈관질환의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개발과 질병 모델에서의 그 응용을 위한 과제로서 target 질환은 심근염과 허혈성심혈관질환이며 유전자전달벡터는 naked DNA와 렌티바이러스이다. 제1세부과제는 다양한 유전자전달체를 제조하고 평가하여 최적의 유전자전달체를 개발하였으며, 제2세부과제는 개발된 유전자전달체를 바탕으로 심근염에서의 발현 효율 검증 및 치료효과를 연구하였으며, 제3세부과제는 개발된 유전자전달체를 이용하여 허혈성심질환에서 발현 효율 검증 및 치료효과를 연구하였다.
제1세부과제에서는 다양한 전사조절인자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ne-based therapeutic products and technology for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ischemic heart disease and myocarditis using naked DNA and lentiviral vector as gene delivery vehicles. To reach the goal, we have undertaken the following studies: First, we dev

목차 Contents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9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9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5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24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27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31
  • 6. 첨부서류...32
  • Ⅲ.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23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24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126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130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38
  •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39
  • 6.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41
  • 7. 참고문헌...142
  • Ⅲ.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43
  • 1.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44
  • 2.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145
  • 3.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149
  • 4.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50
  • 5.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51
  • 6.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52
  • 7. 참고문헌...153
  • Ⅲ.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155
  • 1.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156
  • 2.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157
  • 3.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158
  • 4.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167
  • 5.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및 목표달성도...169
  • 6.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활용계획...170
  • 7. 참고문헌...17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