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국민의식 실태 조사 및 법제화 방안 연구
Survey of the People`s Understanding o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Management and Proposal of its Legisl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윤성
참여연구자 김장한 , 이인영 , 유성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06
주관부처 보건복지가족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과학재단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tion
등록번호 TRKO200900074844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1.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유사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되어 여러 가지 용어가 사용되며, 이런 용어 때문에 연명 치료 중단에 대하여 혼동을 겪고 있다.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 심폐소생술 하지않기(DNR; Do-Not-Resuscitate), 의사조력자살(PAS; Physician Assisted Suicide), 존엄사, 완화의료, 호스피스 등에 대한 개념을 문헌과 사례를 통하여 바르게 정의한다.
2.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국민과 의료계의 의식과 실태 조사
직접 및 과거의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Abstract

Recent advance in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has made big changes in intensive care, particularly for the patients in fatal and terminal diseases and injuries. Many lives could be saved. However, despite of intensive care, some patients with artificial life-sustaining management be in the irreve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18
  • 제 2 장 용어의 정의 ...20
  • 제 1 절 죽음과 말기 환자 등 ...20
  • 제 2 절 안락사 등 ...23
  • 제 3 장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국민 의식 ...32
  • 제 1 절 서론 ...32
  • 제 2 절 조사 대상 및 방법, 조사 내용 ...34
  • 제 3 절 조사 결과 ...37
  • 제 4 절 고찰 ...54
  • 제 4 장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 ...56
  • 제 1 절 서론 ...56
  • 제 2 절 조사 대상 및 방법, 조사 내용 ...56
  • 제 3 절 조사 결과 ...57
  • 제 4 절 고찰 ...67
  • 제 5 절 소결 ...70
  • 제 5 장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외국의 현황 ...73
  • 제 1 절 미국 ...73
  • 제 2 절 유럽 ...86
  • 제 3 절 오세아니아 ...93
  • 제 4 절 아시아 ...93
  • 제 6 장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법리적 검토 ...97
  • 제 1 절 헌법적 근거로서 환자의 자기결정권 ...97
  • 제 2 절 치료중단의 요구에 응할 의사의 의무 ...108
  • 제 7 장 "연세대학교병원 '존엄사' 사건" 대법원 판결 ...115
  • 제 1 절 사건 개요 ...115
  • 제 2 절 판결 요지 ...115
  • 제 3 절 소결 ...118
  • 제 8 장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의료계 현실 ...119
  • 제 1 절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의료 ...119
  • 제 2 절 의료비용 ...119
  • 제 3 절 보라매병원 사건 ...120
  • 제 4 절 의료계의 논의 ...121
  • 제 9 장 법률 제정에 고려할 사항 ...134
  • 제 1 절 입법 필요성 논의 ...134
  • 제 2 절 입법 안 ...137
  • 제 10 장 결론 ...145
  • 참고문헌 ...148
  • 표2-1. 안락사의 고전적 유형과 분류 ...24
  • 표3-1. 응답자의 특성 ...35
  • 표3-2. 유서 작성 필요성 ...38
  • 표3-3. 말기환자 기대수명 ...39
  • 표3-4. 연명치료 여부 문서 작성 ...40
  • 표3-5. 의료진 권유 시 문서 작성 필요성 ...41
  • 표3-6. 연명치료 중단 요청 여부 ...42
  • 표3-7. 말기환자의 인공호흡기 제거 요청 수용 찬반 ...43
  • 표3-8. 말기환자의 심장마사지 등 치료중단 요청 수용 찬반 ...44
  • 표3-9. 말기환자 튜브관 제거 요청 수용 찬반 ...45
  • 표3-10. 말기환자의 약물처 방 요청 수용 찬반 ...46
  • 표3-11. 말기환자 가족의 인공호흡기 제거 요청 수용 찬반 ...47
  • 표3-12. 말기환자 가족의 심장마사지 등 치료중단 요청 수용 찬반 ...48
  • 표3-13. 말기환자 가족의 튜브관 제거 요청 수용 찬반 ...49
  • 표3-14. 말기환자 가족의 약물처방 요청 수용 찬반 ...50
  • 표3-15. 말기환자의 인공호흡기 제거 요청 수용 법률제정 찬반 ...51
  • 표3-16. 말기환자의 심장마사지 등 치료중단요청 수용 법률제정 찬반 ...52
  • 표3-17. 말기환자의 약물처방 요청 수용 법률제정 찬반 ...53
  • 표4-1. 조사 대상 의료인의 구성 ...56
  • 표4-2.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법률 제정에 대한 의견 ...58
  • 표4-3. 환자의 퇴원에 의사가 고려할 사항에 대한 의견 ...58
  • 표4-4. 장기 공여 대상이 아닌 뇌사자의 퇴원에 대한 의견 ...59
  • 표4-5. 생존 가능성 없는 퇴원에 대한 의견 ...59
  • 표4-6. 사전 의료 지시가 있는 안정적인 식물상태 환자의 퇴원에 대한 의견 ...60
  • 표4-7. 환자의 의사를 알 수 없는 식물 상태 환자에 대한 가족의 퇴원 요구에 대한 의견 ...60
  • 표4-8. 의사 표시가 있는 환자에 대한 가족의 퇴원 요구에 대한 의견 ...61
  • 표4-9. 의사를 알 수 없는 환자에 대한 가족의 퇴원 요구에 대한 의견 ...61
  • 표4-10. 환자의 의학적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 ...62
  • 표4-11. 병원윤리위원회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 ...62
  • 표4-12. 일반 연명치료로 생존하는 환자의 가정 퇴원에 대한 의견 ...63
  • 표4-13. 일반연명치료의 종류에 대한 결정 주체에 대한 의견 ...63
  • 표4-14. 최소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 ...64
  • 표4-15. 환자의 상태를 추후 판정하는 절차에 대한 의견 ...65
  • 표4-16. 심폐소생술 하지 않기에 대한 의견 ...65
  • 표4-17.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 판단에 대한 의견 ...66
  • 표4-18. 신생아 부모의 치료 중단 요구에 대한 의견 ...66
  • 표4-19. 사전의료지시의 형식에 대한 의견 ...67
  • 표4-20. 사전지시서가 있는 경우에 의사의 면책에 대한 의견 ...67
  • 표5-1. 외국의 연명치료 중지와 관련된 입법 사례 ...96
  • 표9-1. 연명치료 중지의 결정 내용과 주체 ...142
  • 표9-2. 연명 치료 중지의 결정 원칙 ...143
  • 그림2-1. 존엄사와 안락사의 관계 ...26
  • 그림2-2. 안락사의 시행 방법에 따른 분류 ...27
  • 그림2-3. 존엄사와 소극적 안락사의 관계 ...28
  • 그림2-4. 연명 치료 중지 ...29
  • 그림2-5. 의사조력자살 ...30
  • 그림8-1. 임종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의 결정 과정 ...131
  • 그림9-1. 연명치료에 관한 의견 차이 조정 절차 ...143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