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황인경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4-11 |
과제시작연도 |
2004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
등록번호 |
TRKO201000016389 |
과제고유번호 |
1470000881 |
사업명 |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위장관 기능.기능성 평가체계.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gastrointestinal tract function.functionality.generic health functional food.aloe.lactic acid bacteria.dietary fiber containing products.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중 위장관 기능 조절과 관련된 품목인 식이섬유, 유산균, 알로에 제품을 대상으로 기능성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년도에 제시했던 위장관 기능성 평가 시험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알로에가 가지고 있는 위장관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으로 알려져 있는 위 손상의 억제 또는 개선, 장 손상의 억제 또는 개선, 장 운동 및 배변 활동 개선(쾌변) 기능이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평가하기 위해 문헌 조사와 동물 실험을 실시하여 이들 기능성이 실제로 알로에에서 나
본 연구에서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중 위장관 기능 조절과 관련된 품목인 식이섬유, 유산균, 알로에 제품을 대상으로 기능성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년도에 제시했던 위장관 기능성 평가 시험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알로에가 가지고 있는 위장관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으로 알려져 있는 위 손상의 억제 또는 개선, 장 손상의 억제 또는 개선, 장 운동 및 배변 활동 개선(쾌변) 기능이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평가하기 위해 문헌 조사와 동물 실험을 실시하여 이들 기능성이 실제로 알로에에서 나타난다는 결론을 얻었다.
유산균에서는 문헌 연구와 실험 연구를 통해서 유산균 함유 제품의 기능성을 재평가하고, 유효 균수를 제시하였으며, 표준 실험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험 논문의 review를 통한 문헌 연구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하여 보충하였다. 인체 실험 연구 결과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a의 단일 균주 또는 혼합 균주 분말이나 발효유를 1일 $10^{8}$CFU/g 이상 섭취하였을 경우 유익한 유산균이 증가하고, 장내 유해균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Bifidobacteria를 분말 1일 $10^{8}$ ~ $10^{10}$CFU/g 섭취하였을 때 control에 비하여 transit time이 짧아졌다. 또한 실험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균의 유익한 유산균의 증진, 장내 유해균 억제, 장 연동운동 증진, 정장 작용의 네 가지 기능성 모두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결론을 얻었다.
식이섬유의 경우 문헌 조사와 국내외 식이섬유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 및 자문을 통해 배변 활동 원활이라는 기능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국내외 섭취 현황과 각종 기능성이 나타날 수 있는 유효량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전년도 과제에서 제안한 위장관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 평가 시험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보완하였는데 위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 평가 영역에 있어서는 위 손상의 개선 기능에 중점을 두어 건강기능식품의 위장 보호 기능을 평가하는 시험법을 검토하고 보완하였다. 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위 손상의 개선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여야 하며, 그 외에 위 관련 기능성 영역으로 분류했었던 위 소화 기능의 개선 및 H.pylori에 대한 억제 기능의 경우에는 표시하기를 원하는 제품에 한해 개별 인정형 식품으로 분류하여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 평가 영역의 경우 전년도 과제에서 제안한 장내 균총 개선, 장 운동 장애 및 장 손상으로 인한 설사, 쾌변 기능이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평가에 있어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위장 기능 관련 기능성 평가에 있어 활용 가능한 바이오마커를 검토한 결과, 위 손상 개선 평가와 관련된 바이오마커로서 피험자의 혈청을 sample로 사용한 serological analysis가 가장 적절하며, serum 내의 지표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년도에 제시했던 serum pepsinogen I/II ratio를 포함하여 위 손상과 상관관계가 높은 H, K-ATPase antibodies, H. pylori antibodies, serum pepsinogenⅠ, gastrin-17 을 측정하여 이들 결과를 조합하여 위 손상을 평가해야 한다.
Abstract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erform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assessment for reevaluation for functionality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gastrointestinal tract, dietary fiber, lactic acid bacteria and aloe product.
In Aloe part, literature review and animal study were performed to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erform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assessment for reevaluation for functionality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gastrointestinal tract, dietary fiber, lactic acid bacteria and aloe product.
In Aloe part, literature review and animal study were performed to evaluate scientific validity of aloe product on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damage, intestinal motility and defecation. We concluded that aloe products had supportive properties for those claims.
Lactic acid bacteria part was carried out to review of experimental paper and performance of practical experiment about lactic acid bacteria containing product. When single strain or mixed strains of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a were treated more than $10^{8}$ CFU/g?day, beneficial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and harmful intestinal microorganisms were inhibited.
Also when the same strains were administrated $10^{8}$ ~ $10^{10}$CFU/g?day by powder type or fermented milk, subjects' transit tim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Consequently four claimed fun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increase in beneficial bacteria, inhibition of harmful intestinal microorganism, promotion of intestinal peristalsis, and improvement of intestinal environment, were supported by the literature reviews and performed experiments.
Dietary fiber part was designed to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sources and lev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found a new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in addition of already known functions, and the range of effective dose of dietary fibers.
Additionally, we confirmed the validity presented in our previous project on the evaluation methods related to the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 for health functional food on gastrointestinal tract. We focused on improvement of gastric damage in gastric function section.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biomaterials on gastric damage was shown. We suggest that a newly developed functional food which show improvement of gastric digestive function or inhibition of H. pylori may be approved under the category of individually approved functional foods. In the intestinal function section, we concluded that categories of the functions such as improvement of intestinal microflora, improvement of diarrhea caused by the interference of intestinal motility and damage of intestinal tract, and ease defecation were appropriate.
We studied available biomarker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on gastric damage. Serum analytes such as pepsinogen Ⅰ/Ⅱ ratio, H, K-ATPase antibodies, H. pylori antibodies, serum pepsinogenⅠ, gastrin-17 might be useful biomarker for evaluating the claimed functions. However, none of these markers alone is sufficient for a reliable diagnosis. Therefore combinations of serum analytes are recommended to diagnose and evaluate gastric damage.
목차 Contents
- 용역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보고서...1
- 제출문 ...2
- 연구결과보고서 요약문...3
- Project Summary...4
- 목차 ...5
- 제1장 서 론 ...6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8
- 제1절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현황 ...8
- 제2절 위.장관 기능 관련 기능성 평가 현황 ...12
- 제3장 연구 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21
- 제1절 위장관 기능 조절 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재평가 ...21
- 제2절 2003년도에 제안한 위장관 기능 조절 관련 기능성 평가 시험법의 타당성 검토.보완 ...118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130
- 가. 연구 개발 목표 달성도 ...130
- 나. 대외 기여도 ...130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 ...132
- 가. 계량적 성과 ...132
- 나. 성과 내용 기술 ...132
- 다. 활용 계획 ...132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33
- 가. 예산 항목 변경 ...133
- 나. 연구 보조원 변경 ...133
- 제7장 참고문헌 ...134
- 총괄 연구과제 요약 ...14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