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DongGuk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용욱
|
참여연구자 |
김영미
,
윤홍태
,
박진서
,
최우철
,
오승희
,
김유진
,
이상용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1-10 |
주관부처 |
농림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
등록번호 |
TRKO201100001858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콩에 포함된 phytic acid는 중성, 알카리성 ph에서 강한 (-)전하를 띠어 양이온이나 단백질과 불용성인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생리적인 조건하에서 이용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하고, 항산화를 도와주는 금속제거제(chelating agent)로서 이용 되기도 하였는데, 최근의 연구에서는 양성을 띠는 유해중금속과 결합하여 중금 속의 체내흡수를 방지할 가능성을 갖고있는데 비료를 주어 재배한 sorghum에서 함량이 증가하기도 하고 대두식품 제조 중 조리 가공에 따른 함량변화, 메주 제조 중 피트산과 무기질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으나 우
콩에 포함된 phytic acid는 중성, 알카리성 ph에서 강한 (-)전하를 띠어 양이온이나 단백질과 불용성인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생리적인 조건하에서 이용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하고, 항산화를 도와주는 금속제거제(chelating agent)로서 이용 되기도 하였는데, 최근의 연구에서는 양성을 띠는 유해중금속과 결합하여 중금 속의 체내흡수를 방지할 가능성을 갖고있는데 비료를 주어 재배한 sorghum에서 함량이 증가하기도 하고 대두식품 제조 중 조리 가공에 따른 함량변화, 메주 제조 중 피트산과 무기질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으나 우리나라 콩 품종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는 없는 실정이다.
lecithin은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동물에는 뇌, 간장, 신장, 근육 등의 세포조직에 많고 식물에는 종자, 열매, 곡물 등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천연유화제, 노화방지를 위한 생리활성물질 등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지질들은 인체 내 생리활성물질의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능성을 지닌 필수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개념의 유지 신소재의 개발과 연관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공업적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는 lecithin중에 대두 lecithin 이 있는데 대두유제품 제조 할 때의 부산물로 제조되고 있으며 대두에는 0.4-0.5%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다. 대두 이외의 유지종자로는 채종, 면실, 옥수수, 해바라기 등이 있으나 원료공급사정이나 유화능, 색, 맛 등의 여러 점에서 뛰어난 대두 lecithin이 공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1994년 세계적으로 대두유는 약 1500만톤 정도가 착유되고 있는데(1994년 보고), 정제공정으로부터 약30만톤의 대두 인지질이 생산되어 10-13만톤 정도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나머지는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사료의 동물체내 이용률을 높이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대두 소요는 137만톤, 대두 lecithin은 2.7만톤이 생산된 것으로 추측되나, 정확한 통계는 없고,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생산되는 인지질의 대부분이 식용이외의 동물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이런 인지질을 생산하여 식품공업용, 사료용, 식품용 등으로 이용하면서 수출을 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고, 각국은 지적 자원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기술를 지적재산권으로 확립하여 보유하려 노력하고 있어, lecithin을 이용한 우수상품 제조 조건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는 점점 어려워지는 형편이고 외국에서 연구 조사된 새로운 개량방법은 각 제조회사의 비법으로 외부유출이 금지되어 있어, 점점 정보의 취득이 어려워지고 있고, 그나마 우리가 쉽게 얻을 수 있는 기술 등은 특허 등으로 등록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부한 콩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나 phytic acid와 lecithin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어서 제조 및 정제 후 산업화하기 위한 기술이 취약한 실정에 있는 국내산 콩자원의 개발을 목적으로,
○ 국내외 품종을 공시하여 phytic acid, lecithin함유성을 조사하여 이들 콩품종에 대한 함유적 특성을 분류하고
○ 조lecithin함량 중 phosphatidylcholine의 함량을 조사하고
○ 국내산 콩에서 추출한 대두유를 가지고 lecithin을 제조하고 제조공정조건과 용매 추출, 온도조건 등 제반조건을 조사하여 추출율 및 추출된 lecithin의 성분을 조사하며, 이를 외국에서 생산된 자원과 비교함으로써, 국내 콩재배 생산에 콩헌코자 수행하였다.
Abstract
▼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ssify high phytic acid and high lecithin soybeans and to improve technique of application of soybean lecithin , The phytic acid content ranged from 8.9 to 14.7mg/g of seed. Namhekong, Keunolkong, Milyang#81 and Suwon#185 were classified as high phytic acid soybean,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ssify high phytic acid and high lecithin soybeans and to improve technique of application of soybean lecithin , The phytic acid content ranged from 8.9 to 14.7mg/g of seed. Namhekong, Keunolkong, Milyang#81 and Suwon#185 were classified as high phytic acid soybean,
- The lecithin content ranged from 0,7 to 5.4% among soybeans tested in this study, Danbaekkong showed the highest lecithin content of 5,4% compared to other soybeans , Jinpumkong, Saeolkong and Danyubkong contained 4,8, 4.6 and 4.6% of lecithin, respectively. But Suwon#189 and Suwon#190 were included into low lecithin soybeans.
목차 Contents
- 표지 ...1
- 제출문 ...2
- 요약문 ...3
- SUMMARY ...8
- CONTENTS ...10
- 목차 ...11
- 제1장 서론 ...12
- 제1절 연구개발의 배경 ...12
- 제2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범위 ...14
- 제3절 현재의 연구동향 ...15
- 제2장 phytic acid와 lecithin 함량조사 ...17
- 제1절 서설 ...17
- 제2절 재료 및 방법 ...19
- 제3절 결과 ...22
- 제3장 Lecithin 정제 ...41
- 제1절 서설 ...41
- 제2절 재료 및 방법 ...43
- 제3절 결과 ...44
- 제4장 Lecithin 이용성 조사 분야 ...68
- 제1절 서설 ...68
- 제2절 재료 및 방법 ...70
- 제3절 결과 ...78
- 참고문헌 ...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