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B형 간염의 수혈감염 위험도 분석 및 핵산증폭검사(NAT) 도입에 따른 비용효과 연구
Cost effectiveness analysis for the introduction of NA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충주산학협력단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0-10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질병관리본부
Korea Center for Diease Control and Prevention
등록번호 TRKO201300000358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B형 간염,수혈감영,잔존위험도,핵산증폭검사HBV,transfusion infection,residual risk,NAT

초록

배경 : 헌혈혈액에 대한 B 형 간염의 선별검사로 HBV-NAT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HBV-NAT 도입과 관련하여 객관적인 근거 산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현행 B 형 간염 선별검사 (CLIA)에 추가적 HBV-NAT 검사를 도입하였을 때, 예상되는 B 형 간염 잔존위험도의 변화량을 추정하고, HBV-NAT 도입의 효과, 편익 및 효용과 비용의 비교를 통해 HBV-NAT 도입의 경제적 가치를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HBV-NAT 도입의 경제성 평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한

Abstract

Background :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HBV-NAT test in the screening of donated blood is continuously raised. This research is focused to evaluated the necessity of HBV -NAT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first, we estimated the improvement of residual risk after the introduction of HBV-NAT

목차 Contents

  • 학술연구용역사업 결과보고서 ... 1
  • 목 차 ... 5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7
  • Summary ... 9
  •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11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1
  • 1. 목표 ... 11
  • 2. 목표달성도 ... 30
  • 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2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66
  • 1. 연구수행체계 ... 66
  • 2. 연구내용 ... 67
  • 3. 연구방법 ... 69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91
  • 1. 결과 1 : B형 간염 수혈감염 잔존위험도 ... 91
  • 2. 결과 2 : HBV-NAT 도입에 대한 경제성 평가 ... 93
  • 결과 3 : 전문가 의견조사 ... 96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01
  • 1. B형 간염 잔존위험도 비교 ... 101
  • 2. 경제성 평가 ... 103
  • 3. 결론 ... 105
  • 제5장 연구 성과 ... 107
  • 1. 활용성과 ... 107
  • 2. 활용계획 ... 107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09
  • 제7장 참고문헌 ... 110
  • 제8장 첨부서류 ... 113
  • 전문가 조사 설문지 ... 114
  • 핵산증폭검사 실시에 따른 운영 지침(보건복지부) ... 117
  • 끝페이지 ... 12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