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자료 활용을 위한 온라인지원체계 구축방안 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조성일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09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보건복지부
등록번호 TRKO201300000485
DB 구축일자 2013-05-20
키워드 지표수요도.FGI.GIS.demand for indicators.

초록

연구목적 : 이 연구는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나아가, 이러한 방안에 따라 개발된 지원체계를 통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지역단위인 253개 시군구의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결과와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국의 건강관련 통계자료에 대한 온라인 지원시스템과 국내 지방정부와 중앙행정조직의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지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of internet-based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users of data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CHS). The on-line support system aims at enhancing usage of CHS data and promoting evidence-based health planning in
communities.
Methods
Systematic review

목차 Contents

  •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2
  • 목차 ... 3
  • 표 차례 ... 4
  • 그림 차례 ... 5
  •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 7
  • Summary ... 8
  • 학술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 9
  •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9
  • 1.1 목표 ... 9
  • 1. 연구의 목적 ... 9
  • 2. 지역사회 건강조사 실시배경 ... 9
  • 3.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생산과 활용상황 ... 10
  • 4. 자료 활용도 제고의 중요성 ... 10
  • 5. 연구배경 ... 11
  •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12
  • 1.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결과에 대한 적절한 접근방법 모색 ... 13
  • 가. 중앙 기관(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 13
  • 나. 지역 기관(보건소, 지방자치단체, 광역단체) ... 13
  • 다. 지역주민 ... 13
  • 2. 사업계획과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 ... 13
  • 가. 중앙 기관(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 13
  • 나. 지역 기관(예: 보건소, 광역단체) ... 14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4
  • 제2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5
  • 2.1 연구내용 ... 15
  • 1. 외국의 건강관련 통계자료에 대한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대한 고찰 및 국내 적용 가능한 방안 ... 15
  • 1. 국내 국가, 지방정부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 ... 15
  • 2.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에 대한 활용 분야 및 지표에 대한 수요 ... 15
  • 3. 건강형평성 관련 정보 제공 방안 ... 15
  • 4. 온라인 정보제공체계에 GIS 활용 방안 ... 15
  • 5.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평가기준 및 지표 ... 16
  • 6. 지원시스템의 분석결과 제시 형식의 접근성 높은 설계모형 ... 16
  • 2.2 연구방법 ... 16
  • 1. 외국의 건강관련 통계자료에 대한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대한 고찰 및 국내 적용 가능한 방안 ... 16
  • 2. 국내 국가, 지방정부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 ... 16
  • 3.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에 대한 활용 분야 및 지표에 대한 수요 파악 ... 16
  • 4. 건강형평성 관련 정보 제공 방안 고찰 ... 17
  • 5. 정보제공체계에 GIS 활용 방안 고찰 ... 17
  • 6.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평가기준 및 지표 고찰 ... 17
  • 7. 온라인 지원체계 모형 ... 17
  • 제3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8
  • 3.1 외국의 건강관련 통계자료에 대한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대한 고찰 및 국내 적용 가능한 방안 ... 18
  • 1.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만성병 예방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감시체계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18
  • 가. 행동위험요인 감시체계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BRFSS) ... 18
  • 나. 국가 당뇨병 감시체계 (The National Diabetes Surveillance System) ... 21
  • 다. 국가 암 등록사업 (National Program of Cancer Registries)과 미국 암 통계 (United States Cancer Statistics, USCS) ... 23
  • 라. 주 흡연 현황 및 평가 시스템 (State Tobacco Activities Tracking and Evaluation, STATE System) ... 24
  • 2. 영국 암 정보체계와 공중보건관측소의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25
  • 가. NCIN(National Cancer Intelligence Network) : Cancer e-Atlas ... 25
  • 나. PHO(Public Health Observatories) ... 26
  • 3. 캐나다 보건정보국, 통계청의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27
  • 가. CIHI(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Health Indicator Reports ... 27
  • 나. E-stat ... 28
  • 4. 호주 통계청의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31
  • 가. Cencusdata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 31
  • 나. National Regional Profile 2005-2009 ... 33
  • 다. Interactive mapping : PHIDU ... 33
  • 5. 유럽연합 통계국의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34
  • 가. Eurostat ... 34
  • 3.2 국내 국가, 지방정부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 ... 35
  • 1. 통계청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35
  • 가. e-지방지표 ... 35
  • 나. e-나라지표 ... 36
  • 다. 지도로 보는 행정구역 통계(SGIS) ... 37
  • 2. 행정안전부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38
  • 가. 내고장 살림 ... 38
  • 3. 서울특별시청 온라인 정보제공체계 ... 39
  • 가. 시청 홈페이지에서 행정 정보 ... 39
  • 나. 서울시 통계지도 서비스 : 서울통계 ... 40
  • 3.3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에 대한 활용 분야 및 지표에 대한 수요 파악 ... 42
  • 1. 지역보건소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 ... 42
  • 가. 서론 ... 42
  • 나. 목적 ... 42
  • 다. 방법 ... 42
  • 1. Focus group interview 결과와 문헌고찰을 이용한 설문지 작성 및 Web-based Survey ... 57
  • 가. 서론 ... 57
  • 나. 목적 ... 58
  • 다. 조사 대상 및 방법 ... 58
  • 라. 설문조사표 ... 60
  • 2. 2010년 시·군·구 지역사회건강조사 통계집의 ‘우리 지역사회의 주요 건강이슈’에 사용된 지표 분석 ... 78
  • 가. 서론 ... 78
  • 나. 목적 ... 78
  • 다. 방법 ... 79
  • 라. 결과 ... 79
  • 마. 결론 ... 85
  • 3. 신문기사(미디어)에 나타난 ‘지역사회건강조사’ ... 85
  • 가. 서론 ... 85
  • 나. 목적 ... 86
  • 다. 조사방법 ... 86
  • 라. 조사결과 ... 86
  • 마. 고찰 ... 91
  • 바. 결론 ... 93
  • 3.4 건강형평성 관련 정보 제공 방안 고찰 ... 93
  • 1. 서론 ... 93
  • 2. 건강형평성 지표와 측정 ... 93
  • 3. 형평성 지표의 제시 방안 ... 96
  • 3.5 온라인 정보제공체계에 GIS 활용 방안 고찰 ... 97
  • 1. 서론 ... 97
  • 2. 목적 ... 97
  • 3. 광역단위 정보 제공에 있어서의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의 필요성 ... 97
  • 4. 지역사회건강조사 온라인 지원체계에서의 GIS 활용 방안 ... 97
  • 가. 온라인 지원체계에서의 일차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활용방안 ... 97
  • 나. 온라인 지원체계에서의 GIS 활용 방안 예시 ... 97
  • 다.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자료의 심층 분석을 위한 활용방안 ... 101
  • 라.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있어 GIS 활용의 제한점 ... 101
  • 마. 결론 ... 102
  • 3.6 통계자료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평가기준 및 지표 고찰 ... 102
  • 1. 서론 ... 102
  • 2. 평가기준 ... 102
  • 3.7 온라인 지원체계 모형 ... 103
  • 1. 서론 ... 103
  • 2. 지역사회 현황분석 ... 104
  • 3. 보건문제 우선순위 결정 ... 113
  • 4.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지표 산출 ... 118
  • 5. 온라인 지원체계 모형 요약 ... 119
  • 가. 온라인에서 제공할 지표 ... 119
  • 나. 지표제공 형식 ... 120
  • 다. 온라인정보제공단계 제안 ... 123
  •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24
  • 4.1 연구결과 고찰 ... 124
  • 1. 사용자의 활용에 관련된 검토사항 ... 124
  • 가. 지표 정의와 결과해석 ... 124
  • 나. 신뢰도에 대한 설명 ... 124
  • 다. 지역 순위 ... 124
  • 라. 시도 이외의 지역통합 통계와 임의의 비교집단 선택 ... 125
  • 2. 관리상의 검토사항 ... 125
  • 가. CAPI 연계를 통한 예비결과의 조기 활용 ... 125
  • 나. 관리 업무 ... 126
  • 다. 다른 DB와의 연계 (국건영, 심뇌혈관질환 감시 등 질병관리본부 내부사업, 통계청 등) ... 126
  • 라. 향후 수정 가능성 ... 126
  • 마. 시군구 보고서 작성시 온라인 형식과의 일치 ... 126
  • 4.2 결론 ... 127
  • 4.3 향후과제 ... 127
  • 1. 정책 및 시행과제 ... 127
  • 가. 안정적 분석자료 제공을 위한 서버의 확보 ... 127
  • 나. 온라인 지원체계 구축 및 사용자 매뉴얼 작성 ... 128
  • 다. 분석결과 조기 활용체계 구축 ... 128
  • 라. 온라인 지원체계 사용평가 (개발직후 기획하여 1년간 추적) ... 128
  • 마. 온라인 지원체계 활용효과 평가 및 개선방안 (개발 직후 기획하여 2년간 추적) ... 128
  • 2. 연구과제 ... 128
  • 가. 지역사회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보건정책 심층연구 ... 128
  • 나. 만성병관리 통합정보체계 개발연구 ... 129
  • 제5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130
  • 5.1 활용성과 ... 130
  • 가. 연구논문 ... 130
  • 나. 학술발표 ... 130
  • 다. 지적재산권 ... 130
  • 라. 정책활용 ... 130
  • 마. 타연구/차기연구에 활용 ... 130
  • 바.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 130
  • 사. 기타 ... 130
  • 5.2 활용계획 ... 131
  • 1. 온라인 지원체계 구축 ... 131
  • 2. 지역사회건강조사 수행과정 개선 ... 131
  • 3.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활용 향상방안에 반영 ... 131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32
  • 제7장 연구비 사용 내역 ... 133
  • 제8장 참고문헌 ... 134

표/그림 (45)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