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경상대학교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02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300013930 |
과제고유번호 |
1395028000 |
사업명 |
농식품위해요소안전관리기술개발및평가체계구축 |
DB 구축일자 |
2013-07-29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3930 |
초록
▼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세부 과제에서는 작물별 재배환경, 재배 전 단계, 그리고 수확 후 관리 시설 및 유통단계에 대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중점 관리점(CCP)을 결정하였고, 2세부 과제에서는 위해요소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HACCP 원리에 따라 한계기준, 모니터링 방법, 개선조치방법, 검증방법 등의 설정과 기록 및 문서화를 실시하여 GAP 실천모델을 개발하였다. 3세부과제에서는 각 농산물 생산 농가 및 수확 후 관리시설의 기준 개선과 보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4세부 과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세부 과제에서는 작물별 재배환경, 재배 전 단계, 그리고 수확 후 관리 시설 및 유통단계에 대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중점 관리점(CCP)을 결정하였고, 2세부 과제에서는 위해요소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HACCP 원리에 따라 한계기준, 모니터링 방법, 개선조치방법, 검증방법 등의 설정과 기록 및 문서화를 실시하여 GAP 실천모델을 개발하였다. 3세부과제에서는 각 농산물 생산 농가 및 수확 후 관리시설의 기준 개선과 보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4세부 과제에서는 GAP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해 GAP 인증심사원과 농민대표 및 사후관리에 대한 교육교재를 개발하고 GAP의 확산을 위한 로드맵을 개발하였으며. 5세부 과제에서는 GAP 인증 농산물을 대상으로 유통 중에 잔류 가능성이 높은 농약에 대한 모니터링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Abstract
▼
This study conducted to improve food safety of produces and to establish GAP. Study I surveyed chemical, physical, microbiological hazards at post-harvest and distribution to determine CCPs with regard to grains, leafy greens, stawberry, tomato, garlic, radish, fruits, and root vegetables. Study II
This study conducted to improve food safety of produces and to establish GAP. Study I surveyed chemical, physical, microbiological hazards at post-harvest and distribution to determine CCPs with regard to grains, leafy greens, stawberry, tomato, garlic, radish, fruits, and root vegetables. Study II developed GAP team, produce description, work flow, hazard analysis, CCP determination, establishment of the critical limit, monitoring methods, corrective action, documentation, and record keeping procedure, using the results from Study I. Study III suggested that GAP management standard to establish new GAP regulation and adjusted 13 items for GAP to 14 items after the Preparation of GAP Management for CCPs was added. Moreover, 32 system requirements was suggested with considering practical problems in farms, especially the APC combined with microbiological hazard management was also suggested. Study IV suggested the road map to globalize GAP and activate domestic GAP.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 materials were also developed in the Study IV. Study V monitored GAP produces to improve consumers' recognition, especially for organic produces, no pesticide produces, and low pesticide produces. In the results from Study V, pesticide was detected from normal produces.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 U M M A R Y ... 6
- 목 차 ... 7
- 제1장 서 론 ... 8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8
- 제2절 연구의 목적 ... 11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2
- 제1절 국내 연구 현황 ... 12
- 제2절 국외 연구 현황 ... 15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20
- 제1절 주요 작물의 위해요소 분석 및 CCP 결정연구 ... 20
- 제2절 위해요소 분석에 기초한 주요 작물의 GA P실천모델 개발 ... 315
- 제3절 효과적 GA P현장 적용을 위한 선행요건 기준개선 ... 531
- 제4절 GA P제도 조기정착 및 확산을 위한 장ㆍ단기적 로드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 673
- 제5절 유통 GA P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 986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078
- 제1절 목표대비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078
- 제2절 정량적 성과 ... 1079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084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85
- 제7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 ... 1087
-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장비 현황 ... 1088
- 제9장 참고문헌 ... 108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