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사회 정책 거버넌스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방안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Multicultural Governance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2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등록번호 TRKO201300015140
과제고유번호 1105005549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09-28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5140

초록

○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와 관련된 문제는 유래가 찾기 어려운 새롭고 이질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이주민이 늘면서 이주민의 신분보장 및 인권, 경제적 문제, 가정폭력, 다문화가정 이혼급증, 다문화가정 2세 아동의 교육문제 및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이르기까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서구에서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한 배경이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이질적이고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계층제나 시장으로는 답을 찾을 수 없었다는 점이었다면,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에서도 거버넌스 개념은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present conditions of multicultural governance in Korea and suggested a series of desirable directions and measures of multicultural governance for the future. In this study, multicultural governance is defined as a governance mode, involving diverse actors, such as the centr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4
  • 연구요약 ... 6
  • 목 차 ... 38
  • 표 차 례 ... 41
  • 그 림 차 례 ... 43
  • Ⅰ 서론 ... 44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45
  • 2. 연구내용 및 방법 ... 49
  • 가. 연구내용 ... 49
  • 나. 연구방법 ... 51
  • Ⅱ 다문화 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 54
  • 1. 거버넌스의 개념과 정책 연구에의 적용 ... 55
  • 가.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과 변화 ... 55
  • 나. 정책 연구에서의 거버넌스 개념의 적용과 시사점 ... 59
  • 2. 다문화사회 전개와 다문화 거버넌스 ... 61
  • 가. 한국에서의 다문화사회 전개 ... 61
  • 나. 다문화 거버넌스: 국가주도와 시민사회주도 다문화주의 간의 균형적 발전모형 ... 65
  • 3. 다문화 거버넌스 선행 연구 ... 70
  • Ⅲ 한국 다문화 거버넌스의 기본 구조와 특징: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 74
  • 1. 한국 다문화정책 관련 법률체계 ... 75
  • 2. 한국 다문화 거버넌스의 구성 행위자 ... 79
  • 가. 외국인정책위원회와 다문화가족위원회 ... 81
  • 나. 중앙정부 ... 82
  • 다. 지방자치단체 ... 86
  • 라. 다문화관련 정부산하 혹은 위탁기관(집행기관) ... 90
  • 마. 다문화관련 시민단체 ... 97
  • 바. 기업 ... 101
  • 사. 기타 다문화관련 단체 ... 105
  • 3. 대상자별 다문화 거버넌스의 기본 구조와 특징 ... 106
  • 가. 이주노동자 ... 106
  • 나. 결혼 이민자 ... 113
  • 다. 외국인 전문인력 ... 121
  • Ⅳ. 지역사례 분석 ... 131
  • 1. 연구의 분석틀 ... 132
  • 가. 거버넌스 개념의 주된 분석요소 ... 133
  • 나. 사례의 선정 ... 136
  • 2. 지역별 다문화 거버넌스의 현황 ... 140
  • 가. A시의 다문화 거버넌스 구조 ... 140
  • 나. B시의 다문화 거버넌스 구조 ... 144
  • 다. C군의 다문화 거버넌스 구조 ... 147
  • 3. 한국의 지역 다문화 거버넌스 분석 : 행위자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152
  • 가. 행위자의 자율성 ... 153
  • 나. 거버넌스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 ... 160
  • Ⅴ 다문화 거버넌스의 일본 사례 ... 170
  • 1. 일본의 다문화공생 발전과정 ... 171
  • 2. 일본의 다문화 거버넌스 ... 176
  • 가. 중앙정부 ... 176
  • 나. 교육대책 ... 179
  • 다. 고용대책 ... 180
  • 라. 주택대책 ... 181
  • 마. 귀국지원 ... 181
  • 바. 국내외 정보의 제공 ... 182
  • 사. 지방정부 ... 182
  • 아. 외국인집주도시회의 ... 184
  • 3. 일본의 다문화 거버넌스 지역사례: 오사카와 히로시마 ... 187
  • 가. 오사카의 다문화공생정책 ... 187
  • 나. 히로시마의 다문화공생정책 ... 190
  • 4. 일본 다문화공생 사례의 정책적 함의 ... 193
  • Ⅵ 결론 및 정책제언 ... 197
  • 1. 연구의 요약 ... 198
  • 2. 다문화 거버넌스에 관한 정책제언 ... 200
  • 가. 행위자의 자율성 신장을 위한 제언 ... 200
  • 나. 행위자들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위한 제언 ... 203
  • 참고문헌 ... 209
  • 부 록 ... 217
  • 부록 1: 다문화 거버넌스 질문지 ... 218
  • 부록 2: 미래지향적 다문화 거버넌스 방향에 관한 정책자문 ... 222
  • Abstract ... 224

표/그림 (1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