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연구책임자 |
김현철
|
참여연구자 |
황여정
,
민경석
,
윤혜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2 |
과제시작연도 |
2012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300030859 |
과제고유번호 |
1105005818 |
사업명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DB 구축일자 |
2014-01-13
|
키워드 |
창의적 체험활동.청소년 체험활동.동기.몰입.지역사회연계.코디네이팅.자기주도적 청소년 참여.Creative hands-on activities.Youth activities.Motivation.Flow.Community network.Coordinating.Self-directed participation of youth.
|
초록
▼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운영모형을 개발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자원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내 청소년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시범사업운영 및 평가, 설문조사,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자문회의, 정책협의회, 세미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청소년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연계가 동기형성 및 몰입과 같은 청소년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운영모형을 개발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자원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내 청소년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시범사업운영 및 평가, 설문조사,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자문회의, 정책협의회, 세미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청소년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연계가 동기형성 및 몰입과 같은 청소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기대감도 크며, 특히 학교와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하는 코디네이터 기능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체험활동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체험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자아존중감이나 몰입수준을 제고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조사 결과,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의지와 교사의 열의가 중요하지만, 합리적인 업무분장과 유연한 조직 운영 등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체험활동 효과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기대감과 확신의 형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관이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코디네이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시범사업을 통해서 청소년기관은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로부터 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관이 프로그램 제공자에서 네트워커로서 역할을 전환해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 모형을 도출하였다. 운영주체의 주도성에 따라 학교 중심모형과 지역중심모형, 청소년들의 참여 수준에 따라 성인 주도형과 청소년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학교중심-성인주도형, 학교중심-청소년주도형, 지역중심-성인주도형,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의 네 가지 모형을 도출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모형은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 모형으로, 이러한 모형의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으로 교육과학기술부과 및 여성가족부 간의 유기적 협력, 청소년활동정책 전달체계 재정비, 코디네이터 역량강화, 교사 및 코디네이터의 업무경감책마련, 예산확보, 농어촌지역 지역 네트워크 지원방안 등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operational model for creative hands-on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thereby to provide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help various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school to make an organic network with one another in which creative hands-on acti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operational model for creative hands-on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thereby to provide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help various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school to make an organic network with one another in which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s well as regular youth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re stimulated. Literature research, operation and evaluation of pilot projects, surveys, and case studie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attempts on the same theme were employed as the methods of study. Expert councils, policy consultations, and seminars were also hel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reviewing of preceding studies revealed that young people get better motivated and experience a higher degree of flow whe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community context. Also, it was definite that the higher their engagement is, the more positive outcomes they are likely to achieve. The survey showed that schools, as having great expectation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re aware that they are strongly in need of coordinators who can link schools to community resources because they find it to be a lot pressure to operate the project on their own without proper expertise. Stud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hands-on activiti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ctivities was proved to lead them to have more self-respect and the higher degree of flow. Case studies demonstrated that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outcome from the project, priorities should be given to creating more open and transpar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rational allocation of work and flexibility in operation counts although personal factors like principals’ determination and teachers’ passion, expectations and trust of all the parties involved, instructo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project still play a key role. Youth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could build up trust as a coordinator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the pilot projects designed for the institutions to function not so much as a program provider as a community networker.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were drawn four different operational models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depending upon who takes the initiative and the degree of youth’s engagement in the project. The matrix shows a school-and-adultbased, a community-and-adult-based, a school-and-youth-based, and a community-and-youth-based model, among which a community-and-youth-based one was proved to be the most desirable.
We suggest that some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 get this model invigorated. First, organic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restructuring of communication system among youth policy groups are very crucial in setting a unified direction of the project. A larger number of capable coordinators, means to relieve their workload as well as that of teachers, sufficient budget, and the building of the network in the rural areas are the ones required for the actual scenes of implementatio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2
- 국문초록 ... 3
- 연구요약 ... 4
- 목차 ... 9
- 표 목차 ... 11
- 그림 목차 ... 16
- 제I장 서론 ... 18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0
-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23
- 제II장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모형의 이론적 배경 ... 28
- 1.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모형의 개요 ... 29
- 2. 체험활동의 효과 : 무동기 상황에서 몰입경험까지 ... 31
- 3. 지역사회 네트워크 효과 : 사회적 자본에서 청소년 주도적 지역사회 참여까지 ... 38
- 제III장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실태 조사결과 ... 44
- 1. 조사의 개요 ... 45
- 2. 조사 결과 ... 53
- 1) 시범사업 운영실태 조사 ... 53
- 2) 일반 학교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 84
- 3. 설문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 144
- 제IV장 지역사회연계 청소년 체험활동 사례조사결과 ... 151
- 1. 사례조사의 개요 ... 152
- 2. 지역사회연계 청소년 체험활동 운영사례 조사결과 ... 155
- 1) 시범사업의 운영평가 ... 155
- 2) 지역사회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사례 ... 164
- 제V장 지역사회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모형 ... 188
- 1. 모형개발의 절차 ... 189
- 2. 모형의 분석 ... 190
- 1) 모형① : 학교중심-성인주도 모형 ... 193
- 2) 모형② : 학교중심-청소년주도 모형 ... 193
- 3) 모형③ : 지역사회기관중심-성인주도 모형 ... 194
- 4) 모형④ : 지역사회기관중심-청소년주도 모형 ... 194
- 3. 청소년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 모형의 제시 ... 195
- 4. 청소년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 장기적 발전 모형 ... 197
- 제VI장 정책제언 ... 199
- 1. 정책제언의 도출과정 ... 200
- 2. 정책제언 ... 200
- 참고문헌 ... 210
- 부록 ... 216
- Abstract ... 273
- 2012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 27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