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가족에 대비한 가족법 및 가족관련 현행법의 정비
Revisit Korean family law and the related regulations for future famil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9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등록번호 TRKO201400003160
과제고유번호 1105007968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6-07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3160

초록

Ⅰ. 서론
□ 2012년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던 미래 가족 변화의 한 축은 개인중심적 가족의식으로, 한국의 가족은 형태적으로나 관계적 측면에서 개별화(개인화) 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혼인의 제도적 지위 약화 및 집합으로서의 가족 중심성보다 개인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실제로 2012년 연구에서 도출된 가족미래 시나리오에서는 2030년 한국사회의 가족은 개인중심가치가 강화되지만 여전히 가족에게 많은 부담이 지워지기 때문에 개인가치-가족생활이 경합(시나리오1)하거나, 이러한 가족

Abstract

Recently Korean family system or style has been changed in modern society and Korean people has focused on personal life much more than conventional one. Despite that, Korean legal system of marriage hardly ever covers the these transitions so that we should endeavor to narrow the gap and to integr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6
  • 연구요약 ... 8
  • 목차 ... 36
  • 표 목차 ... 41
  • 그림 목차 ... 42
  • Ⅰ. 서 론 ... 44
  • Ⅱ. 헌법에 보장된 가족제도 ... 48
  • 1. 서론 ... 50
  • 2. 헌법상 혼인 및 가족제도 대한 전통적 해석 ... 51
  • 가. 헌법 제36조 제1항의 의의 ... 51
  • 나. 혼인 및 가족의 개념 ... 53
  • 다. 판례에 나타난 혼인 및 가족제도의 내용 ... 55
  • 라. 혼인 및 가족개념에 대한 새로운 헌법해석의 요청 ... 58
  • 3. 제도보장으로서 혼인 및 가족제도의 이해 ... 60
  • 가. 제도보장에 대한 일반적 이해 ... 60
  • 나. 헌법 제36조 제1항의 제도보장적 성격 ... 65
  • 다. 제도보장의 대상으로서 혼인 및 가족‘제도’ ... 67
  • 4. 헌법상 혼인 및 가족‘제도’의 핵심영역에 대한 해석과 검토 ... 70
  • 가. 헌법상 혼인과 가족개념의 확장 ... 70
  • 나. 혼인 및 가족생활의 자유 ... 74
  • 다. 헌법 제36조 제1항의 규범목적 ... 76
  • 라. 맺음 ... 77
  • 5. 결론 ... 78
  • Ⅲ. 가족(친족) ... 80
  • 1. 가족법 개정에 따른 가족 개념의 변화 ... 82
  • 가. 가족법 개정 ... 82
  • 나. 가족개념의 변화 ... 83
  • 2. 현행 민법상 가족과 친족 ... 85
  • 가. 가족 ... 85
  • 나. 친족 ... 87
  • 다. 가족과 친족의 관계 ... 91
  • 3. 미래가족의 전망 ... 92
  • 가. 다양한 가족유형의 등장 ... 92
  • 나. 혈연공동체에서 생활공동체로의 가족 변화 ... 95
  • 다. 가족범위 규정의 필요성 여부 ... 96
  • 라. 가족 내에서의 정의 실현 ... 98
  • Ⅳ. 혼인(이혼) ... 100
  • 1. 약혼 ... 102
  • 가. 약혼의 의의 ... 102
  • 나. 약혼의 성립 ... 102
  • 다. 약혼의 효과 ... 103
  • 라. 약혼의 해제 ... 103
  • 2. 혼인 ... 104
  • 가. 혼인의 의의 ... 104
  • 나. 혼인의 성립 ... 104
  • 다. 혼인의 효과 ... 108
  • 라. 혼인의 종료・해소 ... 111
  • 3. 이혼 ... 112
  • 가. 이혼의 의의 ... 112
  • 나. 협의이혼 ... 112
  • 다. 재판상 이혼 ... 114
  • 라. 이혼의 효과 ... 116
  • 4. 사실혼 ... 124
  • 가. 사실혼의 의의 ... 124
  • 나. 사실혼의 성립 ... 124
  • 다. 사실혼의 효과 ... 125
  • 라. 사실혼 관계존재 확인의 소 ... 126
  • 마. 사실혼의 종료・해소 ... 126
  • 5. 미래가족의 전망 ... 127
  • 가. 혼인제도의 지위 약화 ... 127
  • 나. 새로운 유형의 혼인 행태 등장 ... 129
  • 다. 혼인법제의 정비 ... 140
  • Ⅴ. 친자법 ... 144
  • 1. 민법상 친자법 ... 146
  • 가. 친자법의 기본구조 ... 146
  • 나. 친자의 유형 ... 146
  • 2. 친생자 ... 147
  • 가. 의의 ... 147
  • 나. 혼인 중의 출생자 ... 147
  • 다. 혼인 외의 출생자 ... 156
  • 라. 인공수정 또는 체외수정으로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 167
  • 3. 양자 ... 169
  • 가. 의의 ... 169
  • 나. 일반양자 ... 170
  • 다. 친양자 ... 181
  • 4. 현행 친자법상 가족의 기본형태 ... 186
  • 5. 미래가족과 친자법의 정비 ... 187
  • 가. 2030년 가족형태 ... 187
  • 나. 친생친자법의 정비 ... 197
  • 다. 양자법의 정비 ... 201
  • Ⅵ. 부양법 ... 206
  • 1. 민법상 부양법 ... 208
  • 가. 부양법의 기본구조 ... 208
  • 나. 부양을 받을 권리의 특질 ... 209
  • 2. 제1차적 부양 ... 210
  • 가. 부부 사이의 부양 ... 210
  • 나. 부모의 미성년인 자녀에 대한 부양 ... 215
  • 3. 제2차적 부양 ... 222
  • 가. 의의 ... 222
  • 나. 부양당사자 ... 222
  • 다. 부양의 방법과 정도 ... 224
  • 라. 과거의 부양료 청구 ... 225
  • 마. 가사소송법상 부양의무의 이행 확보 수단 ... 226
  • 4. 현행 부양법상 가족의 기본형태 ... 227
  • 5. 미래가족과 부양법의 정비 ... 227
  • 가. 2030년 가족형태 ... 227
  • 나. 사적 부양과 공적 부양의 적용범위 ... 229
  • 다. 부부 사이의 부양 ... 231
  • 라. 부모의 미성년자녀 부양 ... 233
  • 마. 친족적 부양 ... 234
  • Ⅶ. 상속법(상속인과 상속분을 중심으로) ... 236
  • 1. 서론 ... 238
  • 가. 인구의 변화와 상속제도 ... 238
  • 나. 상속제도의 근거 ... 241
  • 다. 상속권의 제한 ... 243
  • 2. 상속제도의 변천 ... 245
  • 가. 현행법 이전의 상속제도 ... 246
  • 3. 현행법상 상속제도 ... 249
  • 가. 현행법상 상속제도 개요 ... 249
  • 나. 민법의 개정과 상속법제의 변화 ... 252
  • 4. 미래가족에 대비한 상속법제의 정비 ... 254
  • 가. 현행 상속법의 기본문제 ... 254
  • 나. 가족의 변화와 상속제도에 대한 근본적 검토 ... 256
  • 다. 유언과 유증의 활성화 ... 257
  • 라. 상속인 자격의 조정 ... 257
  • 마. 상속분의 변화 ... 262
  • 바. 상속재산의 변화 ... 262
  • 5. 맺음말 ... 263
  • Ⅷ. 결 론 ... 266
  • 참고문헌 ... 270
  • Abstract ... 276
  • 끝페이지 ... 278

표/그림 (16)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